목차
들어가며
한국전쟁과 관련된 국가들의 시각
1) 미국의 시각 - 냉전적 사고와 대외전략의 일환
2) 소련의 시각 - 공산주의의 세계적 확산과 대외전략의 실험으로서의 한국전쟁
3) 중국의 시각 - 형제애에 발로한 전쟁개입
4) 일본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 - 국가 재건의 행운
한국전쟁을 직접 경험한 사람들의 시각
5) 이승만의 시각 - 정치적 위기 탈출의 기회
6) 한국전쟁 당시 전라북도 정읍에서 한 가족의 며느리이자, 어머니였던 그리고 아내였던 저의 할머니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 - 가족의 안위로 인한 두려움 공포
7)해방 후 남측에서 여전히 기득권층을 이루고 있던 친일세력 및 후손들의 시각 - 자신들의 안위, 영화, 생명의 위기
8) 한국전쟁 전 남측에 머물렀던 이승만 반대세력 의 시각 - 새로운 시대로의 안내자
9) 한국전쟁 전쟁을 통해서 큰돈을 벌었던 사람들의 시각 - 재운
한국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의 시각
10) 김구 선생님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 - 슬픔
마치면서
참고 문헌 및 인터뷰 대상
한국전쟁과 관련된 국가들의 시각
1) 미국의 시각 - 냉전적 사고와 대외전략의 일환
2) 소련의 시각 - 공산주의의 세계적 확산과 대외전략의 실험으로서의 한국전쟁
3) 중국의 시각 - 형제애에 발로한 전쟁개입
4) 일본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 - 국가 재건의 행운
한국전쟁을 직접 경험한 사람들의 시각
5) 이승만의 시각 - 정치적 위기 탈출의 기회
6) 한국전쟁 당시 전라북도 정읍에서 한 가족의 며느리이자, 어머니였던 그리고 아내였던 저의 할머니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 - 가족의 안위로 인한 두려움 공포
7)해방 후 남측에서 여전히 기득권층을 이루고 있던 친일세력 및 후손들의 시각 - 자신들의 안위, 영화, 생명의 위기
8) 한국전쟁 전 남측에 머물렀던 이승만 반대세력 의 시각 - 새로운 시대로의 안내자
9) 한국전쟁 전쟁을 통해서 큰돈을 벌었던 사람들의 시각 - 재운
한국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의 시각
10) 김구 선생님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 - 슬픔
마치면서
참고 문헌 및 인터뷰 대상
본문내용
남측지역으로 밀고 내려왔을 당시에 자신들이 거주하던 곳에서 피난길에 오르지 않고 오히려 북측의 세력을 환영하였으며, 북측세력이 남측을 지역을 통치하는데 협조하였다. 이들에게는 한국전쟁은 잠시나마나 새로운 시대를 가져다준 구세주였을지 모르겠다.
9) 한국전쟁 전쟁을 통해서 큰돈을 벌었던 사람들의 시각 - 재운
이러한 사람들의 시각에서 한국전쟁을 본다면 한국전쟁이란 자신들에게 부를 가져다준 재운 이였을지 모르겠다. 한국전쟁 초기에 북측의군이 남측의군을 몰아붙이며, 남한의 지역으로 밀로 내려왔을 때 수많은 사람들이 전선을 따라서 남측으로 피난길에 오르게 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안 그래도 의식주와 관련된 공급이 부족하여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데, 일부의 지역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유입되면서 그 지역의 물량부족은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피난민들은 의식주와 관련된 재화를 구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가운데 피난민들이 유입된 지역에 기존에 거주하였던 사람들 중 일부는 높은 가격에 재화를 판매하여 많은 이득을 보게 되었고, 전쟁 후 이들은 이때 벌어들인 재원을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 이들의 입장에서 한국전쟁을 본다면 재운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의 시각
10) 김구 선생님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 - 슬픔
김구선생님에게 있어서 한국전쟁은 큰 슬픔 이였을 것이다. 일본식민지지배 시절 국가와 민족의 해방을 위해 활동하셨고, 해방 후 세계열강들의 이해관계와 국내세력들 사이의 이해관계에 의해서 국가와 민족이 분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끝까지 노력하였던 김구선생님의 시각에서 본다면 한국전쟁은 민족상잔의 비극이요 슬픔 이였을 것이다.
마치면서
단순이 반공적인 시각에서 머물렀던 한국전쟁에 대한 짧았던 생각과 시각이 이번 과제를 계리로 보다 폭넓은 사고를 가능케 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전쟁은 국제간, 국낸가 다양한 참여자들의 이해관계가 얽혀서 일어나 사건이었다. 역사사건은 하나의 시각이 아닌 다양한 시각에서 살펴봄으로서 보다 폭넓은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번 과제를 통해서 더욱 느끼게 되었다.
참고 문헌 및 인터뷰 대상
-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박지향. 김철, 김일영, 이영훈 책세상출판사)
- 20세기 우리역사(강길만 창작과비평사출판)
- 전쟁과 사회(김동춘 돌베개출판)
- 각종 인터넷 자료
-인터뷰 대상 : 한국전쟁을 체험하신 주위의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다.
9) 한국전쟁 전쟁을 통해서 큰돈을 벌었던 사람들의 시각 - 재운
이러한 사람들의 시각에서 한국전쟁을 본다면 한국전쟁이란 자신들에게 부를 가져다준 재운 이였을지 모르겠다. 한국전쟁 초기에 북측의군이 남측의군을 몰아붙이며, 남한의 지역으로 밀로 내려왔을 때 수많은 사람들이 전선을 따라서 남측으로 피난길에 오르게 되었다. 전쟁으로 인해 안 그래도 의식주와 관련된 공급이 부족하여 물가가 상승하게 되는데, 일부의 지역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유입되면서 그 지역의 물량부족은 더욱 심화되었다. 특히 피난민들은 의식주와 관련된 재화를 구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가운데 피난민들이 유입된 지역에 기존에 거주하였던 사람들 중 일부는 높은 가격에 재화를 판매하여 많은 이득을 보게 되었고, 전쟁 후 이들은 이때 벌어들인 재원을 바탕으로 한국사회에서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되었다. 이들의 입장에서 한국전쟁을 본다면 재운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의 시각
10) 김구 선생님의 시각에서 본 한국전쟁 - 슬픔
김구선생님에게 있어서 한국전쟁은 큰 슬픔 이였을 것이다. 일본식민지지배 시절 국가와 민족의 해방을 위해 활동하셨고, 해방 후 세계열강들의 이해관계와 국내세력들 사이의 이해관계에 의해서 국가와 민족이 분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끝까지 노력하였던 김구선생님의 시각에서 본다면 한국전쟁은 민족상잔의 비극이요 슬픔 이였을 것이다.
마치면서
단순이 반공적인 시각에서 머물렀던 한국전쟁에 대한 짧았던 생각과 시각이 이번 과제를 계리로 보다 폭넓은 사고를 가능케 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국전쟁은 국제간, 국낸가 다양한 참여자들의 이해관계가 얽혀서 일어나 사건이었다. 역사사건은 하나의 시각이 아닌 다양한 시각에서 살펴봄으로서 보다 폭넓은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번 과제를 통해서 더욱 느끼게 되었다.
참고 문헌 및 인터뷰 대상
- 해방 전후사의 재인식(박지향. 김철, 김일영, 이영훈 책세상출판사)
- 20세기 우리역사(강길만 창작과비평사출판)
- 전쟁과 사회(김동춘 돌베개출판)
- 각종 인터넷 자료
-인터뷰 대상 : 한국전쟁을 체험하신 주위의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