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호배 PACKAGE 배변장애와 관장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호배 PACKAGE 배변장애와 관장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배변>
1. 배변활동
2. 위장관계 해부생리구조
3. 배변기전
4. 배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배변장애
1) 간호사정
2) 배변장애 종류와 중재
<관장>
1. 정의
2. 목적
3. 지침
4. 종류
1) 배출관장
2) 정체관장
3) 역류관장
4) 용수관장
5. 관장시 주의사항
Ⅲ. 결론
안호배 case 적용
* 출저

본문내용

운동, 완화제나 좌약 및 배출관장 등이다.
노인은 변비와 분변 매복의 경향이 심하므로 예방적 방법을 조기에 취하도록 한다. 오랜 기간 침상안정을 해야 하는 대상자나 방사선 검사에 사용된 barium이 장 내에 정체된 대상자, 정신상태가 혼미한 대상자들은 분변매복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대상자들은 규칙적인 장운동이 있는지 살펴본다.
손가락을 항문 속으로 삽입할 때의 불편함을 감소시키기 위해 국소마취제를 사용할 수 있다. 장갑 낀 집게손가락에 1~2ml의 lidocaine을 바른 뒤 항문 주위에 바르고 5분 정도 기다린 뒤 분변매복을 제거한다. 이 방법은 의사의 지시에 따라 행해야 한다.
필요하다면 기름관장을 한다. 관장은 분변 매복을 손가락으로 제거하기 전에 행해질 수도 있고 또는 손가락으로 제거하는 것이 실패했을 때에 행해질 수 있다.
분변매복을 제거 후 직장 주위를 관찰하여 내부 치질에 자극을 주지 않았는지 또는 그로 인한 직장출혈이 발생했는지를 확인한다.
분변매복을 제거한 뒤 좌욕을 하거나 더운물 통목욕을 하면 자극된 항문 주위를 부드럽게 할 수 있다.
5. 관장의 주의사항
관장시 체위는 왼쪽 sim's position을 취하고, 간호사는 관장하기 편안 위치에 서서 최대한 동선에 불편함을 없앤다.
직장관은 배꼽을 향하는 각도로 삽입한다.
금기환자 : 마비성 장폐색, 대장폐색, 뇌압상승이 우려되는 환자, 임신초기, 급성맹장염,
자궁외 임신(응급수술시), 노인 및 심장질환자는 금한다.
수돗물 관장이나 비눗물 관장 시 순환 과부담(circulatory overload), 수분중독, 근육의 손상과 괴사, 고칼륨혈증, 부정맥을 초래할 수 있다.
많은 양의 관장용액 주입 시 천공과 출혈을 초래할 수 있다.
위장관이나 부인과 수술 직후 관장 시 봉합선이 터질 수 있다.
대장에 궤양이나 염증이 있으면 Saline Enema를 실시한다.
소아인 경우 S-S Enema시 수돗물 대신 Saline을 사용한다.
관장용액 주입 시 사정할 내용 : 피부색깔, 발한, 호흡곤란.
Ⅲ. 결론
안호배 님의 주관적 설명에 의해 배변장애가 일주일 이상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간호사는 이전 안호배님의 식이와 수분섭취량 배변환경 등을 점검해보아야 하며 constipation이 일어난 원인을 사정해 본다. 안호배님과 보호자에게 constipation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간호중재에 따라 적절한 식이제공, 수분섭취량 증가, 정서적 지지를 뒷받침하는 올바른 배변환경 등을 제공해 안호배님의 배변장애를 효율적으로 간호할 수 있다.
사정
1. 일주일 동안 배변을 하지 못함.
2. 오랜기간의 BR.
3. 복부통증 호소.
간호진단
1. 수분섭취 부족과 관련된 변비.
2. 운동부족(오랜기간의 BR)과 관련된 변비.
3. 스트레스와 관련된 변비.
원인
1. 생리적 원인
① 수분부족: dyspnea는 호흡기계 질환으로 호흡곤란과 심한 기침, 가래를 동반하기 때문에 적절한 수분섭취가 부족했을 수 있다.
② 섭취량 부족: 84세의 F이므로 음식 섭취량이 부족해 섬유소, 티아민 등 을 적절한 식이 섭취량보다 적게 섭취했을 수 있다.
2. 기능적
① 신체활동 부족: dyspnea로 인해 심한 기침과 호흡곤란을 호소했던 안호배 님은 호흡량이 부족해 적절한 운동을 게을리 했을 수 있고 입원 후 더욱 운동량이 부족했을 수 있다.
② 복부 근육 약화: 호흡기계가 좋지 않았기 때문에 복부 근육이 약화되었을 수 있다.
3. 심리적
① 정서변화: 낯선 환경으로 인한 스트레스, 치료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환경변화: 입원과 치료, 병원환경의 적응 기간이므로 낯선 환경과 적응부 족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배변장애의 요인이 되었을 수 있다.
4. 신체적
① 폐렴 : 호흡곤란으로 산소공급까지 받았던 안호배님의 신체대사율 감소는 constipation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목표
1. 안호배님이 정상적인 배변을 한다.
2. 수분, 전해질의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3. 섭취량, 배설량의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계획
수행
안호배님의 상태
모니터하기
1. 배변양상을 확인하였다.
(빈도, 농도, 형태, 양, 색)
2. 정기적으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4. 장음 모니터를 통해 장의 상태를 알아보았다.
5. 위장관 부작용을 알기 위해 투약일지 확인해 보았다.
6. 영양 내용물을 알기 위해 식이 섭취량 을 평가하였다.
수분섭취와 식이조절
1. 고섬유질의 균형 잡힌 식이를 제공한다.
2. 수분섭취량을 증가시킨다.
정서적 돌봄
(스트레스 관련)
1. 병원환경 중 여성 노인분들이 쉬는 장소와 간편한 운동을 할 수 있는 곳을 안내한다.
2.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배변환경 제공해 배변시 안정감을 갖도록 한다.
운동부족
1. 운동부족 상황을 설명하고 활동과 운동을 격려한다.
2. 배변에 도움이 되는 운동을 권한다.
정보 제공
안호배님과 보호자가 알아듣기 쉽도록
1. 변비와 식이, 운동, 수분섭취의 상호관계에 대해 교육한다.
2. 변의 색, 양, 빈도, 농도를 기록하도록 교육한다.
3. 고섬유식이에 대해 교육한다.
참고문헌
1) 손영희 외 다수 공저 : “기본간호학”, 현문사, 2003.2, p.742-743.
2) Sigma Theta Tau Lambda 외 편 :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1999.1, p.658-659.
3) 최영희 외 다수 공저 :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현문사, 1991.1, p.78-91.
4) 성미혜 외 다수 공저 : “간호진단분류”, 수문사, 2005.2, p.44-47.
5) http://cafe.daum.net/1004NT
6) http://www.cyh.com/HealthTopics/HealthTopicDetails.aspx?p=240&np=297&id=2002
7) http://www.fccc.edu/pdq/print/English/Patients/SmallIntestineCancer.html
8) 후지타 고이치로·요리후지 분페이 : “쾌변천국”, 시공사.
9) 양선희 외 다수 공저 : “기본간호 수기”, 현문사. 2003.2, p.240-248.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3.10.25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79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