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키 스노우보드의 역사 경기방법 장비 운동기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키 스노우보드의 역사 경기방법 장비 운동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역사
 (1) 스키의 역사
 (2) 스노우보드의 역사

2.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경기 방법
 (1) 스키의 경기 방법
 (2) 스노우보드의 경기 방법

3.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장비
 (1) 스키 장비
 (2) 스노우보드 장비

4.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운동 기술
 (1) 스키의 운동 기술
 (2) 스노우보드의 경기 기술

본문내용

피포트 보다 아랫부분. 메이커나 모델에 따라서 두께가 다르다.
▶ 바인딩 - 소프트 바인딩 · 2스트랩소프트 부츠의 바인딩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타입이다. 최근에는 보드의 움직임을 직접 느낄 수 있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없는 타입도 판매되고 있다. - 소프트 바인딩 · 3스트랩알파인 스타일의 움직임에 매치되는 타입이다. 월드컵 레이스에서 사용하는 선수도 있다. - 하드 바인딩 ·1피스 부츠로부터 전해지는 힘을 더욱 직접적으로 보드에 전달하는 타입이다. 다소 무거운 것이 단점이다. - 하드 바인딩 ·2피스 경량화에 중점을 두고 설계된 타입이다. 1피스에 비하면 무척 가볍지만 부츠로부터 전해지는 힘이 발 앞 부분 또는 정강이, 발뒤꿈치로 분산되기 때문에 보드의 뒤틀림이 생기기도 한다.
▶ 보드 웨어- 프리 스타일 웨어 헐렁한 실루엣은 움직이기 쉽게, 길이가 긴 재킷은 눈 위에 앉았을 때 엉덩이를 젖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의는 재킷과 풀 오버 타입 외에 스웨터와 비슷한 것도 있다. 하의는 팬츠 타입과 오버 올 타입이 있는데, 모두 헐렁한 실루엣이 주류를 이룬다. - 알파인 스타일 웨어 팬츠는 스피드를 의식한 타이트 실루엣. 재킷은 유럽풍의 프린트물이 많다. 알파인 스타일 경기용 레이싱 슈트. 스키와 같이 공기 저항을 적게 하는 1피스가 일반적이다.
4. 스키 및 스노우보드의 운동 기술
(1) 스키의 운동 기술
▶ 웨데른.베데른-
wedeln(독) / 연속 소회전(連續小回轉):
상체를 고정시키고, 두 스키를 최대한 붙인 상태에서 하체, 특히 엉덩이 아래만 빠르게 좌우로 흔들리듯 스키를 빠르게 회전해 나가는 기술.
스키 꼬리의 움직임이 마치 개가 꼬리를 치는 것과 같다고 하여 \'꼬리 치기\'(wagging), 혹은 \'뱀꼬리\'(snake tail)라고도 부른다. 한 회전의 종결 단계가 직접적으로 다음 회전에 대한 준비로 이어져야 하는 평행 회전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알파인 스키어들이 종국적으로 지향하는 기술이다.
▶ 슈템턴-
stem turn(미) / 다리 벌려 돌기:
회전을 시작할 때 스키를 벌렸다가 회전의 후반부에서 스키를 다시 모으며 나아가는 회전. 일본에서는 이를 \'반제동 회전\'(半制動 回轉)이라고 부르며, 우리 나라에서는 \'꼬리 밀어 돌기\'라고도 한다.
이 기술은 알파인 스키 기술을 개척한 마티어스 즈달스키가 오스트리아의 리리엔펠트에 살고 있을 때, 노르웨이의 노르딕 스키 기술을 알프스에 맞는 스킹 형태로 바꾸기 위하여 1890년부터 1896년 사이에 단독으로 개발한 기술이다.
\"쉬템\"은 즈달스키가 붙인 이름이고, 그는 2.4m의 노르딕 스키를 1.8m의 알파인 스키로 개량하고, 리리엔펠트식 바인딩을 발명했다.
▶ 패러렐-
parallel turn / 평행 회전(平行回轉):
다리를 모아 두 개의 스키를 평행으로 놓고, 무게 중심의 이동을 주로 하여 회전하는 기술. 중상급의 기술이며, 다리를 닫은 형태와 다리를 연 형태가 있다.
▶ 숏턴-
short turn / 짧은 회전:
스키의 구조에 의한 자연스런 회전인 \'긴 회전\'보다 훨씬 짧은 회전으로서 스키의 길이, 혹은 그 보다 조금 크게 1회의 회전이 일어나는 것으로부터 10여 미터 이내의 회전 반경으로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10여 미터 정도의 회전은 스키의 구조에 따른 자연적인 반경(natural radius)의 최소치에 가까운 회전이다.
이같은 소회전(小回轉)은 스키어의 몸 동작과 \'폴\' 등의 많은 요소들의 복합적인 물리적 작용에 의하여 가능해 진다.
▶ 보겐-
bogen(독) / \'V\'자 회전:
다리를 \'V\' 자로 벌리고 좌우 다리의 힘을 조절해 가며 좌우로 도는 저속 회전 기술. 원래는 \"곡선\" 혹은 \"원호\"를 뜻한다.
▶ 벤딩턴-
bending turn / 무릎 구부려 돌기:
스키의 회전을 돕기 위하여 \'무게 줄이기\'를 할 때 다리를 굽혀 회전하는 것을 의미한다.(영어의 retraction turn과 같은 의미로서, 벤딩 턴은 일본에서 만들어진 말이다.)
▶ 카빙턴-
carved turn, carving turn/ 날로 타기:
스키 허리 부분의 \'옆 들림\'이 한껏 휘도록 체중을 실어서 최소한의 미끄러짐만으로 타는 기술로서, 설면에는 둥글게 휜 날 자국만 좁게 나는 특징을 가진다. 조각도로 잘라 낸 듯한 자국이 난다고 하여 \'조각 회전\'(彫刻 回轉)이라고도 부른다.
(2) 스노우보드의 운동 기술
▶가중:보드를 탈 때 보드에 체중을 가하는 일
▶구피(goofy):바인딩 세팅시 오른쪽 다리를 진행방향으로 해서 타는 것. 반대 스탠스는 레귤러
▶그립(grip):점프 시 공중에서 보드의 한쪽 면을 손으로 잡는 것, 잡는 부위에 따라 기술의 이름이 달라진다.
▶덕 스타일:바인팅 세팅시 양 발이 보드와 평행하게 또는 양쪽 바깥쪽으로 하는 세팅의 종류.
▶드롭인:하프파이프를 탈 때 하프파이프 안쪽으로 들어가는 일.보통 여러 사람이 같이 하프파이프를 탈 때에 “드롭인”하고 먼저 탈 사람이 외치고 들어가는 것이 에티켓이다.
▶레귤러(regular):왼쪽 다리를 진행방향으로 하는 스탠스 한국인의 약 80%가 레귤러 스탠스라 한다.반대 스탠스는 구피 스탠스
▶레지스트레이션:대회의 점수
▶랜딩(rending):착지. 착지하는 경사면을 랜딩반 이라고 부른다.
▶롤아웃:하프파이프의 립으로부터 플랫홈으로 올라가는 일.
▶롤 인:립으로부터 하프파이프로 들어가는 일.
▶립:점프대와 하프파이프의 정점.
▶백 사이드(back side):발뒤꿈치쪽.힐 사이드라고도 함.백 사이드 엣지로 타는 턴을 백 사이드 턴.
▶백컨트리:정규슬로프가 아닌 장소 또는 그곳을 활주하는 행위.익스트림과는 의미가 약간 다름
▶뱅크슬라룸:코너에 뱅크를 세우기도 하고 여러 장애물을 설치해 그곳에서 행하는 레이스.
▶버텀:하프파이프에서 가장 낮은 부분
▶보더크로스:오토바이 모터 크로스경기를 스노우보드에 응용한 경기.여러 명이 동시에 스타트해서 점프대와 반으로 만들어진 코스를 활주하여 스피드가 가장 빠른 사람이 우승하는 경기
▶비텔리턴:프랑스의 세르지 비텔리가 고안해 냈다고 일컬어지고 있으며 몸을 크게 기울여 손이 설면에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3.10.28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5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