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론] (A+) 해결중심 가족치료와 경험적 가족치료 프로그램들을 조사하고, 개인 의견을 기재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복지론] (A+) 해결중심 가족치료와 경험적 가족치료 프로그램들을 조사하고, 개인 의견을 기재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족복지론 A+레포트)해결중심 가족치료와 경험적 가족치료 프로그램들을 조사하고, 개인 의견을 기재하시오.



1. 해결중심 가족치료
 (1) 이론적 이해
 (2) 프로그램

2. 경험적 가족치료
 (1) 이론적 이해
 (2) 프로그램

3. 개인의견

본문내용

후 성장과정에서 자기존중 감정의 발달측면에서 부모의 영향을 중요시하면서 성장이후에도 자기존중 감정의 변화와 새로운 차원에서의 성장이 가능함을 강조하였다. 원가족도표를 사용하며, 가족원들이 공동으로 원가족 도표를 작성하는 과정과 완성한 원가족도표를 설명하고 재구조화 하고, 조각 내지는 역할극을 병행하면서 치료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원가족 도표작성(1단계) : 가족구성원의 성격, 자존감 정도, 의사소통 유형과 생존유형, 가족규칙, 가족의 역동성, 가족원들 상호관계, 세대간의 유사점과 차이점 그리고 사회와의 연계성 수준 등을 파악한다. ‘IP’라는 용어 대신에 ‘star’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원가족 도표는 가족원들이 의논하여 작성하도록 하며, 정보가 불명확한 것을 추리하여 완성하여도 무방하며, 도표는 현재의 가족, 아버지의 원가족, 어머니의 원가족을 작성한다.
- 원가족 도표를 사용하는 치료과정(2단계) : 원가족 도표를 설명하고 탐색하는 과정에서 가족전체에 대한 이해가 생기고, 부모의 입장과 위치 그리고 역할에 관한 이해, 부모와 자신과의 관계, 가족구조내에서 자신의 존재가치와 역할, 다른 가족들의 의사소통 유형 등에 관한 이해를 할 수 있게 된다. 이해가 증가함에 따라 여러 측면에서 새로운 발견과 인식, 잘못 이해하였던 것의 인식 등 내면의 변화과정이 발생하게 된다.
- 원가족 도표를 근거로 가족조각실시(3단계) : 가족조각은 과거 어려웠던 상황을 현재 실연해봄으로써 좀더 객관적으로 자기자신을 볼 수 있고, 다른 가족원들의 감정과 입장에 관하여 들어보고, 진정한 격려, 위로, 지지, 사과, 칭찬에 관하여 들으면서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과거에 충족하지 못하였던 욕구를 충족할 수도 있다.
해결중심 가족치료 프로그램은 내담자들은 대처질문에 처음에는 당황하게 되지만 자신의 잠재력을 인정하게 되고 부정적 자아상에서 벗어나는 데 매우 도움이 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2) 프로그램
창시자는 사티어로 사회사업 실천교수로서 3번 이혼하면서 건강한 가족모형을 연구했다.
인생 삶에서의 경험의 소중함
이성교제를 해본 경험이 있습니까?
입학시험에서 실패한 경험이 있습니까?
부모님으로부터 꾸중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까?
해외여행, 무전여행을 해본적이 있습니까?
지금 당신의 소중한 과제, 경험은 무엇입니까?
질문과 해답을 찾아보십시오.
건강한 가족모형
① 가족 중 자기 스스로 가치 있는 사람으로 인정하고 있는지?
② 직접적이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한지?
③ 가족 내의 일정한 규범이 있고, 잘 지켜지는지?
④ 건전한 사회봉사 활동을 참여하고 있는지?
지침
① 개입은 90%가 기술(art)이고, 10%는 과학(science) 또는 전문적 지식이라고 말한다.
② 치료자가 최선을 다하는 개입적인 관여
③ 치료자가 개방적, 정직성, 자발적이어야 한다.
④ 가족에게 참된 개인(real person)이 되도록 교육
⑤ 가족 구성원들의 정신건강에 초점을 둔다.
가족들의 경험 공유합니다.
개인의 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기록의 중요성을 깨닫는다.
구성원들의 감정과 욕구에 상호관심을 갖는다.
기쁨을 함께 나누듯이 실망, 두려움, 분노 등도 공유한다.
대화를 통해서 수용하고 대처방안에 초점을 둔다.
가족의 결속과 바람직한 의사소통; 개방적이고 직접적인 대화
가족 구성원끼리 비려하고 수용한다.
상호 의존적 관계 → 독립적 관계
성숙된 사랑의 기법; 구속하지 않고, 비소유적이며, 질투하지 않는다.
창조적이며 자발적인 사고, 행동, 감정을 공유한다.
경험적 가족치료의 목적
상황 중심적이며 현재를 강조하는데 중점을 둔다.
성장 중심적이다, 변화를 가능하게 돕는다.
자아실현, 개인의 통합, 선택의 자유
가족 성원들 간의 솔직한 관계 형성
가족조각의 원칙은 구성원들의 의미 있는 배치
가족그림은 치료자가 가족구성원들이 인식하는 때로 표현
치료자는 늘 새로운 경험을 유도해야 한다.
지금·여기에서 무슨 사건들이 일어나고 있는가?
3. 개인의견
100% 어느 것이 좋다 나쁘다 할 수는 없지만 개인적으로 경험적 가족치료에 좀 더 마음이 기운다. 요즘은 미디어의 발달로 가족 간의 대화가 없어진 현실이고, 거리감이 생긴 것도 현실이다. 이로써 여러 가지 가족문제들이 발생하는데 경험적 가족치료방법을 이용한다. 가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경험하게 될 것이다.
가족성원들이 각자 자신의 감정과 욕구에 민감하고 이를 가족과 나누며, 기쁨뿐 아니라 실망, 두려움, 분노에 대해서도 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0.28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8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