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 카프의 바람은 엄청난 것이었다. 즉 사회주의 문학이 문학 전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을 때 염상섭은 그 시각을 부정적으로 보기보다는 민족주의 문학과의 협력을 생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덕기라는 심퍼다이저(동조자)의 모습을 생산해 낸 것으로 보인다. 즉, 프로 문학과 민족 문학의 이념적 갈등과 일제 강점하라는 시대 속에서 민족의 현실을 파헤치고 이를 통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국 그 모습이 이 소설의 주제가 되는 것이다.
「삼대」는 三代에 걸친 가족사의 전개를 통하여 식민지 시대인 당대의 사회적 현실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변천과 정신사의 이면을 함께 묘사한 1930년대의 '가족사 소설의 대표작'이다. 한말 세대의 보수성과 개화기 세대의 정신적 파탄, 식민지 세대의 진보성으로 대표되는 조부손의 삼대라는 안정된 구도 속에서 가족 계보 안의 갈등과 세대간의 단층과 대치가 무리 없이 그려져 있다. 몰락과정과 이에 대한 의식, 당시 청년들의 정신적 갈등이 사실적 수법으로 묘사되고 있고 미묘한 인간 심리의 변전을 탁월하게 묘사하고 있다. 유교 전통 사회에서 일제의 식민지 통치를 거쳐 근대 사회로 변모하고 있는 현실을 그린 이 작품은 가족사를 통한 시대사의 再構(다시 구성함)로 요약된다. 민족 항일기 동안 여러 유형의 한국인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살아갔으며 또 당시의 사회구조의 모순이나 세대교체의 무제가 한국 근대사의 변천과정에서 어떻게 파악될 수 있는가를 문제 삼은 한국 근대 문학의 대표적 작품이다.
6. 참다운 리얼리즘의 완성 염상섭
염상섭의 문학적 출발은 민족의 수난을 정신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구체적인 현실체험을 바탕으로 시대를 바라보고 있으며, 그러한 현실인식에 근거하여 문학의 세계에 도달했던 것이다. 그의 문학론이 자신의 절실한 체험과 시대정신을 함께 융합시킨 것처럼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확실히 그는 본격적인 의미에서 문학과 사회사상을 연결하는 교량의 역할을 한 문학가로 손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문학론의 기준에 극도로 섬세하고 비타협적이었지만 개성의 발견을 통해 문학에 대한 근대적 인식에 도달하였고, 개성의 문제를 생활의 현실과 결부시키면서 그것을 소설적으로 형상화 한 진지한 실천자였다고 할 수 있다. 리얼리즘의 목표가 인간의 삶의 총체성에 대한 인식에 두어질 경우 자기 생명과 객체와의 합일은 바로 삶의 총체성을 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런 면에서 염상섭은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가 개인의 삶을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는 참다운 리얼리즘의 소설을 창작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염상섭 문학의 재조명」김윤식 외,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새미 .1998
「1920년대 문학과 염상섭」박상준, 역락 .2000
「염상섭 문학의 재인식」문학과 사상 연구회, 깊은샘 .1998
「난세의 문학」이보영, 예림기획 .2001
「현대한국문학사」정한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염상섭 문학 연구」권영민, 민음사 .1987
「삼대」는 三代에 걸친 가족사의 전개를 통하여 식민지 시대인 당대의 사회적 현실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변천과 정신사의 이면을 함께 묘사한 1930년대의 '가족사 소설의 대표작'이다. 한말 세대의 보수성과 개화기 세대의 정신적 파탄, 식민지 세대의 진보성으로 대표되는 조부손의 삼대라는 안정된 구도 속에서 가족 계보 안의 갈등과 세대간의 단층과 대치가 무리 없이 그려져 있다. 몰락과정과 이에 대한 의식, 당시 청년들의 정신적 갈등이 사실적 수법으로 묘사되고 있고 미묘한 인간 심리의 변전을 탁월하게 묘사하고 있다. 유교 전통 사회에서 일제의 식민지 통치를 거쳐 근대 사회로 변모하고 있는 현실을 그린 이 작품은 가족사를 통한 시대사의 再構(다시 구성함)로 요약된다. 민족 항일기 동안 여러 유형의 한국인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살아갔으며 또 당시의 사회구조의 모순이나 세대교체의 무제가 한국 근대사의 변천과정에서 어떻게 파악될 수 있는가를 문제 삼은 한국 근대 문학의 대표적 작품이다.
6. 참다운 리얼리즘의 완성 염상섭
염상섭의 문학적 출발은 민족의 수난을 정신적으로 극복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구체적인 현실체험을 바탕으로 시대를 바라보고 있으며, 그러한 현실인식에 근거하여 문학의 세계에 도달했던 것이다. 그의 문학론이 자신의 절실한 체험과 시대정신을 함께 융합시킨 것처럼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확실히 그는 본격적인 의미에서 문학과 사회사상을 연결하는 교량의 역할을 한 문학가로 손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자신의 문학론의 기준에 극도로 섬세하고 비타협적이었지만 개성의 발견을 통해 문학에 대한 근대적 인식에 도달하였고, 개성의 문제를 생활의 현실과 결부시키면서 그것을 소설적으로 형상화 한 진지한 실천자였다고 할 수 있다. 리얼리즘의 목표가 인간의 삶의 총체성에 대한 인식에 두어질 경우 자기 생명과 객체와의 합일은 바로 삶의 총체성을 뜻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런 면에서 염상섭은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가 개인의 삶을 통해 구체적으로 드러날 수 있는 참다운 리얼리즘의 소설을 창작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염상섭 문학의 재조명」김윤식 외, 문학사와 비평연구회, 새미 .1998
「1920년대 문학과 염상섭」박상준, 역락 .2000
「염상섭 문학의 재인식」문학과 사상 연구회, 깊은샘 .1998
「난세의 문학」이보영, 예림기획 .2001
「현대한국문학사」정한숙, 고려대학교출판부 .2003
「염상섭 문학 연구」권영민, 민음사 .1987
추천자료
황순원 단편 소설
새로운 한국화로의 도전 朴生光(박생광) 그의 작품 세계
소설 탁류의 줄거리와 감상문
1920년대 한국소설의 특징
(현대문학강독) 최서해 작품에 나타난 신경향파적 특징과 1920년대 후반 프로소설의 주요 특징
[현대소설] 카프소설
박태원의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근대문학에대하여
운수좋은날(생애, 현대사회의 모습, 줄거리, 작품개관, 등장인물성격, 작품의 구성, 이해와 ...
근대 소설에 대해서 흐름을 정리해 봤습니다.
시인 김광균에 관한 조사
한국문학(한국문학사) 1910년대와 1920년대 문학, 한국문학(한국문학사) 1930년대와 1940년대...
1910년, 1920년대 소설 (우리나라 신소설)
새 민족문학사 강좌(창비) 2권 요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