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1 <(지구과학) 수업 설계 및 학습과제 분석-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지도안> 11. 해수의 성분과 운동 (2) 해수의 운동 - 밀물과 썰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1 <(지구과학) 수업 설계 및 학습과제 분석- 교수·학습 과정안, 수업지도안> 11. 해수의 성분과 운동 (2) 해수의 운동 - 밀물과 썰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본시학습계획

지구과학과 본시 학습 지도안 (5/6차시)

탐구활동지

본문내용

.htm)
* 형성평가
=> 형성평가 문제지를 풀어보게 한다.
1..다음 글의 ( )안에 알맞은 것은?
밀물 시에 해수면이 가장 높을 때를
( A )(이)라 하고, 썰물 시에 해수면이
가장 낮을 때를 ( B )(이)라 한다.
A : 만조 B: 간조
2.갯벌에 놀러가서 매일 썰물이 되면 조개를 캐러 나갔다. 그런데 매일 같은 시간에 썰물이 되는 것이 아니라 약 50분씩 늦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그 이유로 옳은 것은? ( 5 )
① 해안선의 지형 때문에 물이 늦게 빠진다.
② 조류의 주기는 변화하기 때문이다.
③ 주변에 흐르는 해류의 영향 때문이다.
④ 태양의 위치 차이 때문이다.
⑤ 달의 공전으로 달이 매일 50분씩 늦게 뜨기 때문이다.
*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발표한다.
* 학생들은 교사 와 눈을 맞추고
오늘 배운 내용에
대해 정리한다.
* 주의를 집중하고 학습내용을 상기한다.
re : 밀물시 해수면이 가장높을 때를 (만조)라 하고 썰물시 해수면이 가장 낮을 때를
(간조)라 한다.
re : 5번입니다.
* ppt자료를 보여주며
탐구해
* 다양한 학생이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제공한다.
* 전체적인 수업분위기가 다양한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차시 예고
* 파동의 발생
지도 과정
지도내용
시간배당
교수-학습 활동
지도상의 유의점
평가
교사
학생




<학습 주제>
- 밀물과 썰물
(1) 조석 : 해수면이 하루에 두 번씩 주기적으로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현상.
① 조류 : 조석 현상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생기는 바닷물의 흐름.
② 조석의 원인 : 달과 태양의 인력(기조력)
※ 기조력 : 조석현상을 일으키는 힘
- 천체의 질량에 비례하고, 거리의 세제곱에 반비례한다.
- 달의 기조력이 태양에 비하여 2배정도 크다.
(2) 밀물과 썰물
① 밀물 : 해수면이 높아질 때 해안으로 흘러 들어오는 흐름.
② 썰물 : 해수면이 낮아질 때 바다 쪽으로 빠져나가는 흐름.
(3) 만조와 간조
① 만조 : 밀물 때 해수면의 높이가 가장 높아졌을 때.
② 간조 : 썰물 때 해수면의 높아가 가장 낮아졌을 때.
③ 조차 : 만조 때와 간조 때의 해수면의 높이 차.
(4) 조석 주기
① 만조(간조)에서 만조(간조)까지의 시간
② 12시간 25분(하루에 50분씩 늦어진다 - 지구가 자전하는 동안 달이 공전하기 때문)
(5) 사리와 조금
① 사리 : 해수면의 높이 차(조차)가 최대일 때.
㉠ 달과 지구 및 태양이 일직선이 되는 시기 : 삭(음력 1일)과 망(음력 15일).
㉡ 조차가 가장 큰 곳 : 캐나다의 펀디만 - 15m 이상, 우리 나라 서해안 - 9m 이상.
② 조금 : 해수면의 높이 차(조차)가 최소일 때.
㉠ 달과 지구 및 태양이 수직이 되는 시기 : 상현과 하현
(6) 조석의 이용 : 조력 발전
탐구활동지
대 단 원
11. 해수의 성분과 운동
소단원
해수의 운동
학습주제
밀물과 썰물
▣ 탐구활동 1
▶ 다음 그래프는 어느 날 하루 동안의 해수면의 높이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 만조와 간조가 일어난 시각을 각각 적어보자.
▶ 만조와 간조는 하루에 몇 번씩 일어났는가?
▶ 만조에서 다음 만조까지(간조에서 다음 간조까지) 걸리는 시간은 대략 얼마인가?
▶ 만조에서 다음 만조까지 걸리는 시간을 조석 주기라고 한다. 조석주기가 이와 같 이 나타나는 까닭은 무엇일까?
▣ 탐구활동 2
◆ 다음은 어느 해안의 한 달 동안의 조석곡선이다.
▶ 조석곡선에 조차가 가장 클 때와 조차가 가장 작을 때를 표시해보자.
▶ 조차가 가장 클 때와 가장 작을 때는 한 달에 각각 몇 번씩 있는가?
▶ 달의 모양과 조석현상을 비교하여 설명해 보자.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1.07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1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