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입
관찰사항의 기술 및 해석
1. 코스1 – 관찰 ①
2. 코스1 – 관찰 ②
3. 코스1 – 관찰 ③
4. 코스2 – 관찰 ④
5. 코스2 – 관찰 ⑤
6. 코스2 – 관찰 ⑥
야외수업활동을 하며
관찰사항의 기술 및 해석
1. 코스1 – 관찰 ①
2. 코스1 – 관찰 ②
3. 코스1 – 관찰 ③
4. 코스2 – 관찰 ④
5. 코스2 – 관찰 ⑤
6. 코스2 – 관찰 ⑥
야외수업활동을 하며
본문내용
클리노미터, 염산
활동 지점
- 코스1 (2013년 10월 29일) : 관찰 ①, ②, ③ [그림1-1]
[그림1-1] 코스1
코스2 (2013년 11월 5일) : 관찰 ④, ⑤[그림1-2]
[그림1-2] 코스2
관찰사항의
기술
및
해석
코스1 관찰 ①
기술
암석 시료
- 해머를 이용해 노두를 부수는데 노두가 너무 쉽게 잘 부서졌다. 시료는 약간 붉은색이었으며 손으로도 쉽게 부서졌다.
- 퇴적물이 속성작용으로 인해 점차 암석화 되어가고 있는 퇴적암인 것 같기도 하고, 암석이 풍화작용을 많이 받아서 쉽게 부서지는 것 같기도 했다.
해석
- 이 노두의 경우, 암석이 쉽게 부수어 지는 이유는 암석이 풍화작용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풍화로 인해 노두의 상태가 좋지 못하고 이 노두를 통해 어떤 종류의 암석인지는 아직 파악 중에 있다.
- 풍화작용: 암석이 물리적이거나 화학적인 작용으로 인해 부서져 토양이 되는 변화과정을 말한다
2. 코스1 관찰 ②
기술
노두
깨뜨려본 노두
바닥에 나타난 노두이므로 흙과 모래가 많이 쌓여있었고, 표면의 색으로는 어떤 암석인지 파악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곧바로 깨뜨려보았지만, 그래도 파악을 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 암석시료를 캐기에도 어려움이 있었으며, 훨씬 단단하고 엽리(편리)로 보이는 줄무늬가 보였다. 변성작용을 받은 것 같은 암석처럼 보였다.
해석
- 줄무늬처럼 보이는 것은 엽리구조이다. 어떤 암석인지는 아직 잘 모르지만 변성작용에 의해 생겨난 암석 노두라는 것은 확실하다. 남은 정상을 가보면 더욱 확실히 알 수 있다.
- 엽리: 변성암의 평행구조. 암석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아 온도와 압력이 변화하면 운모 같은 판상의 광물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조이다.
3. 코스1 관찰 ③
정상부 노두1
(a) (b)
[그림4-2] 정상부 노두2
- 산 정상에 도착해보니 커다란 바위덩이가 있었다. 이것 또한 노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석
- 노두를 전체적으로 관찰해보면 엽리구조가 보인다. 그래서 이 암석은 화강암은 맞는데 화강암에서 약간의 엽리구조를 띤 화강편암 정도 되는 암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코스2 관찰 ④
노두
- 두 암석층으로 나누어진 것처럼 보였다. 풀들에 가려서 자세히 보이진 않았지만 밑에 암석은 셰일 같았고, 위에 암석은 잘 구분이 되지 않았다. 단층구조를 보이는 것 같기도 하고, 층리구조를 보이는 것 같기도 했다.
깨뜨린 노두
- 노두를 깨뜨려 암석시료를 보았는데 약간의 맥 같은 것들이 보였다.
해석
- 염산을 준비하지 못하여 암석에 직접 염산을 떨어뜨려보는 실험을 해보 지는 못하였으나, 교수님의 도움 하에 석회질암석이라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하지만 완전히 석회암이 아니라 진흙이 섞여있는 석회질 암석으로 이회암이다.
- 염산반응 : 2HCl+CaCO₃ → H₂O+CaCl+CO₂
- 퇴적환경은 석회성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예전 선캄브리아나 고생대 초 기 때 옥천대 자락의 끝 부분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이회암: 석회분이 풍부한 이암이다. 탄산염을 35∼65 % 함유한다. 지층 을 이루어 넓게 분포하는 경우와 사암이나 이암 내에서 결핵상 으로 산출되는 경우가 있다. 석회공급재와 벽돌 제조에 사용된 다.
- 옥천대: 강릉∼군산을 잇는 선과 울진-태백산-영동-목포를 잇는 선 사 이에 있는 지대. 남동쪽에는 영남지괴 또는 소백산 육괴가 있고, 옥천대 북서쪽에 경기지괴가 있다. 영남 및 경기지괴는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 으로 이루어진 기반이다. 옥천누층군은 약하게 변성된 석회암과 돌로마 이트(백운암 또는 고회암)ㆍ천매암ㆍ함력천매암ㆍ규암으로 되어 있다. 옥 천누층군의 시대를 선캄브리아기로 보는 학자도 있으나 암석의 변성도가 낮은 돌로마이트 가운데에서는 고생대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어 고생대의 지층일 가능성이 크다.
5. 코스2 관찰 ⑤
기술
이동된 노두
- 층리가 매우 뚜렷한 것으로 보아 퇴적암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두 의 색깔은 암회색 얇은 층리가 겹겹이 발달해 있었다.
- 클리노미터 사용법이 아직 미숙하여 주향과 경사를 측정하는데 어려움 이 따랐다.
- 주향: 지평면에 해수면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자연스럽게 수평이 되게 클리노미터를 가까이 한다. 눈금에 물방울이 가운데로 들어오게 한다. N극이 향하는 가까운 쪽 화살표의 바깥 눈금을 읽으니 N45˚E가 나왔다.
- 경사: 주향선에 직각으로 클리노미터를 세우고, 하트 모양의 중간 뾰족 한 부분이 가리키는 안쪽 눈금을 읽으니 50˚SE가 나왔다.
해석
- 출발점에서 보았던 노두와 마찬가지로 옥천대 거의 끝자락의 석회질 암석이다. 이 암석은 엽층리가 발달해 있고 층리가 곧게 발달해 주 향과 경사를 측정하기 쉬운 암석이다.
6. 코스2 관찰 ⑥
기술
건지산의 삼각점1
건지산의 삼각점2
- 삼각점에 도달하니, 석회암지대는 완전히 사라지고 다시 코스1의 암석구 조가 나타나면서 코스1의 정상에 도착하였다.
해석
- 코스2를 따라 산을 오를 때는 코스1 때와는 완전히 다른 암석구조, 즉 석회암 노두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작은 범위 내에서 석회암 구조가 나타난다.
정리
야외수업활동을 하며
코스1과 코스2를 다녀와서 종합해보면서 정상에는 화강편암지대에 왼쪽으로 석회암지대가 작게 분포하고 있는 지질도를 상상해 볼 수 있었다. 실험실에서 계속 지질도만 그리다가 우리학교 뒷산에도 이런 야외지질탐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했다. 실험실에서 지질도를 계속 그려본 이유도 이 야외실습을 통해 지질도를 분석하여 야외에서 써먹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정말 실용적인 수업 이었던 것 같다. 또한 계속 지형도에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나의 위치를 확실히 파악을 하여 지형도의 세밀함과 유용성에 대해서도 감탄할 수 있었다. 클리노미터 사용법에 대해서도 직접 재봄으로써 자세히 알 수 있었다. 장소를 지정하여 여러 노두를 직접 관찰함으로써 점점 밝혀지는 퇴적구조, 암석구조나 퇴적환경에 대해 알 수 있는 수업이 되었다.
먼저 관찰사항을 기술하고 이 문제에 대한 생각을 해본 다음 나중에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시는 해석을 들으므로 더욱 이해하기 수월한 수업이었다.
활동 지점
- 코스1 (2013년 10월 29일) : 관찰 ①, ②, ③ [그림1-1]
[그림1-1] 코스1
코스2 (2013년 11월 5일) : 관찰 ④, ⑤[그림1-2]
[그림1-2] 코스2
관찰사항의
기술
및
해석
코스1 관찰 ①
기술
암석 시료
- 해머를 이용해 노두를 부수는데 노두가 너무 쉽게 잘 부서졌다. 시료는 약간 붉은색이었으며 손으로도 쉽게 부서졌다.
- 퇴적물이 속성작용으로 인해 점차 암석화 되어가고 있는 퇴적암인 것 같기도 하고, 암석이 풍화작용을 많이 받아서 쉽게 부서지는 것 같기도 했다.
해석
- 이 노두의 경우, 암석이 쉽게 부수어 지는 이유는 암석이 풍화작용을 많이 받았기 때문이다. 풍화로 인해 노두의 상태가 좋지 못하고 이 노두를 통해 어떤 종류의 암석인지는 아직 파악 중에 있다.
- 풍화작용: 암석이 물리적이거나 화학적인 작용으로 인해 부서져 토양이 되는 변화과정을 말한다
2. 코스1 관찰 ②
기술
노두
깨뜨려본 노두
바닥에 나타난 노두이므로 흙과 모래가 많이 쌓여있었고, 표면의 색으로는 어떤 암석인지 파악하기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곧바로 깨뜨려보았지만, 그래도 파악을 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 암석시료를 캐기에도 어려움이 있었으며, 훨씬 단단하고 엽리(편리)로 보이는 줄무늬가 보였다. 변성작용을 받은 것 같은 암석처럼 보였다.
해석
- 줄무늬처럼 보이는 것은 엽리구조이다. 어떤 암석인지는 아직 잘 모르지만 변성작용에 의해 생겨난 암석 노두라는 것은 확실하다. 남은 정상을 가보면 더욱 확실히 알 수 있다.
- 엽리: 변성암의 평행구조. 암석이 광역변성작용을 받아 온도와 압력이 변화하면 운모 같은 판상의 광물이 평행하게 배열되는 구조이다.
3. 코스1 관찰 ③
정상부 노두1
(a) (b)
[그림4-2] 정상부 노두2
- 산 정상에 도착해보니 커다란 바위덩이가 있었다. 이것 또한 노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해석
- 노두를 전체적으로 관찰해보면 엽리구조가 보인다. 그래서 이 암석은 화강암은 맞는데 화강암에서 약간의 엽리구조를 띤 화강편암 정도 되는 암석으로 구분할 수 있다.
4. 코스2 관찰 ④
노두
- 두 암석층으로 나누어진 것처럼 보였다. 풀들에 가려서 자세히 보이진 않았지만 밑에 암석은 셰일 같았고, 위에 암석은 잘 구분이 되지 않았다. 단층구조를 보이는 것 같기도 하고, 층리구조를 보이는 것 같기도 했다.
깨뜨린 노두
- 노두를 깨뜨려 암석시료를 보았는데 약간의 맥 같은 것들이 보였다.
해석
- 염산을 준비하지 못하여 암석에 직접 염산을 떨어뜨려보는 실험을 해보 지는 못하였으나, 교수님의 도움 하에 석회질암석이라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하지만 완전히 석회암이 아니라 진흙이 섞여있는 석회질 암석으로 이회암이다.
- 염산반응 : 2HCl+CaCO₃ → H₂O+CaCl+CO₂
- 퇴적환경은 석회성분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예전 선캄브리아나 고생대 초 기 때 옥천대 자락의 끝 부분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이회암: 석회분이 풍부한 이암이다. 탄산염을 35∼65 % 함유한다. 지층 을 이루어 넓게 분포하는 경우와 사암이나 이암 내에서 결핵상 으로 산출되는 경우가 있다. 석회공급재와 벽돌 제조에 사용된 다.
- 옥천대: 강릉∼군산을 잇는 선과 울진-태백산-영동-목포를 잇는 선 사 이에 있는 지대. 남동쪽에는 영남지괴 또는 소백산 육괴가 있고, 옥천대 북서쪽에 경기지괴가 있다. 영남 및 경기지괴는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 으로 이루어진 기반이다. 옥천누층군은 약하게 변성된 석회암과 돌로마 이트(백운암 또는 고회암)ㆍ천매암ㆍ함력천매암ㆍ규암으로 되어 있다. 옥 천누층군의 시대를 선캄브리아기로 보는 학자도 있으나 암석의 변성도가 낮은 돌로마이트 가운데에서는 고생대의 화석이 발견되고 있어 고생대의 지층일 가능성이 크다.
5. 코스2 관찰 ⑤
기술
이동된 노두
- 층리가 매우 뚜렷한 것으로 보아 퇴적암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두 의 색깔은 암회색 얇은 층리가 겹겹이 발달해 있었다.
- 클리노미터 사용법이 아직 미숙하여 주향과 경사를 측정하는데 어려움 이 따랐다.
- 주향: 지평면에 해수면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자연스럽게 수평이 되게 클리노미터를 가까이 한다. 눈금에 물방울이 가운데로 들어오게 한다. N극이 향하는 가까운 쪽 화살표의 바깥 눈금을 읽으니 N45˚E가 나왔다.
- 경사: 주향선에 직각으로 클리노미터를 세우고, 하트 모양의 중간 뾰족 한 부분이 가리키는 안쪽 눈금을 읽으니 50˚SE가 나왔다.
해석
- 출발점에서 보았던 노두와 마찬가지로 옥천대 거의 끝자락의 석회질 암석이다. 이 암석은 엽층리가 발달해 있고 층리가 곧게 발달해 주 향과 경사를 측정하기 쉬운 암석이다.
6. 코스2 관찰 ⑥
기술
건지산의 삼각점1
건지산의 삼각점2
- 삼각점에 도달하니, 석회암지대는 완전히 사라지고 다시 코스1의 암석구 조가 나타나면서 코스1의 정상에 도착하였다.
해석
- 코스2를 따라 산을 오를 때는 코스1 때와는 완전히 다른 암석구조, 즉 석회암 노두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작은 범위 내에서 석회암 구조가 나타난다.
정리
야외수업활동을 하며
코스1과 코스2를 다녀와서 종합해보면서 정상에는 화강편암지대에 왼쪽으로 석회암지대가 작게 분포하고 있는 지질도를 상상해 볼 수 있었다. 실험실에서 계속 지질도만 그리다가 우리학교 뒷산에도 이런 야외지질탐사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하기만 했다. 실험실에서 지질도를 계속 그려본 이유도 이 야외실습을 통해 지질도를 분석하여 야외에서 써먹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정말 실용적인 수업 이었던 것 같다. 또한 계속 지형도에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나의 위치를 확실히 파악을 하여 지형도의 세밀함과 유용성에 대해서도 감탄할 수 있었다. 클리노미터 사용법에 대해서도 직접 재봄으로써 자세히 알 수 있었다. 장소를 지정하여 여러 노두를 직접 관찰함으로써 점점 밝혀지는 퇴적구조, 암석구조나 퇴적환경에 대해 알 수 있는 수업이 되었다.
먼저 관찰사항을 기술하고 이 문제에 대한 생각을 해본 다음 나중에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시는 해석을 들으므로 더욱 이해하기 수월한 수업이었다.
추천자료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의의, 재량활동교육과정의 기본방향, 재량활동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
특별활동 적응활동 개관, 특별활동 적응활동 운영방침, 특별활동 적응활동 시간배당, 특별활...
재량활동의 개념, 미디어교육 재량활동 사례, 진로교육 재량활동 사례, 한국문화교육 재량활...
특별활동교육과정의 정의, 특별활동교육과정의 편성과 기본방향, 1학년과 2학년 특별활동교육...
교과재량활동의 의미, 교과재량활동의 기본지침, 교과재량활동의 실태와 편성, 교과재량활동...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배경과 영역,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교육적 의의와 기...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의의와 목표, 재량활동(교육과정)의 방침, 재량활동(교육과정)의 실제,...
특별활동(봉사활동) 정의와 배경, 특별활동(봉사활동) 특징과 목표, 특별활동(봉사활동) 동향...
계발활동(클럽활동, CA)의 목적과 편성, 계발활동(클럽활동, CA)의 부서조직과 전개, 계발활...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목표,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편제와 운영지침, 특별활...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기본방침, 재량활동(재량활동교육과정)의 신설배경, 재량활동(...
특별활동 자치활동영역의 개념과 필요성, 특별활동 자치활동영역의 목적과 방침, 특별활동 자...
자치활동(특별활동)의 목표와 특성, 자치활동(특별활동)의 운영방침과 영역별 내용, 자치활동...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특별활동(특별활동교육과정) 내용, 특별활동(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