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Ⅰ.서론
1.연구 배경과 목표
2.연구범위
Ⅱ.본론
1.GIS의 개념
2.GIS의 발달과정
3.GIS의 활용
4.우리나라 국가 GIS 구축 계획
5.GIS 사업의 현황
1)외국의 GIS 사업의 현황
2)국내의 GIS 사업의 현황
6.국내 GIS 사업의 문제점
7.국내 GIS 사업의 활성화 방안
Ⅲ.결론
1.연구 배경과 목표
2.연구범위
Ⅱ.본론
1.GIS의 개념
2.GIS의 발달과정
3.GIS의 활용
4.우리나라 국가 GIS 구축 계획
5.GIS 사업의 현황
1)외국의 GIS 사업의 현황
2)국내의 GIS 사업의 현황
6.국내 GIS 사업의 문제점
7.국내 GIS 사업의 활성화 방안
Ⅲ.결론
본문내용
공적으로 이끌어 가는데 큰 걸림돌이 되었다. 이를 해결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정부 주도형에서 민간주도형의 자유 시장경제에서 산업육성,상호 공존을 중시하는 산업 문화의 조성, 공간정보의 유통 및 활용을 위한 기반요건 마련, 유통되고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 공리주의에 입각한 GIS 정책입안을 내놓았음을 본문에 명시하였다.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IT 강국을 자부하면서 많은 국익을 얻은게 사실이다. GIS 사업의 성공은 IT강국을 넘어서 우리나라가 선진국으로 가는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표 차 례 >
4. 우리나라 국가 GIS 구축계획 - 라 - 2. 부문별 투자소요(추정)
(단위 : 억원)
부 문
소요금액
기본지리정보의 구축 및 유지관리
4,504
GIS활용체계 구축 및 유지관리
7,336
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
250
국가GIS 기술개발
805
GIS 산업육성
250
국가GIS 표준화
90
GIS전문인력 양성 및 홍보
148
지원연구 및 제도개선
117
계
13,500
5. GIS사업의 현황 - 나 -1 - 1)
<수치지형도 수정 사업계획>
구분
’02년 실적
’03년 계획
1/1,000
1/5,000
1/1,000
1/5,000
수정갱신 및
신규제작
1,465도엽
수정
1,268도엽
신규제작
1,827 도엽
수정
2,335 도엽
수정 및
신규제작
1,300 도엽
수정
5. GIS사업의 현황 - 나 -1 - 2)
<토지관리정보체계 구축 현황>
’98
’99
’00
’01
’02
‘03
대구시 남구
시범사업
과천시 등 12개 시군구
서울시 등 60개 시군구
광주시 등 63개
시군구
논산시 등 28개 시군구
용인시등
20개
지자체
『2003년 시행계획 사업별 투자규모』
구 분
주관기관
투자계획
2002년
2003년
비고(증△감)
합 계
89,923
90,835
912
기본지리정보구축
30,042
35,687
5,645
ㅇ 국가기준점정비 및 체계확립
국립지리원
5,367
9,864
4,497
ㅇ 기본지리정보구축
국립지리원
999
799
△200
ㅇ 수치지형도 및 국가기본도수정
국립지리원
12,371
12,310
△61
ㅇ 국토모니터링체계구축
국립지리원
2,152
2,152
0
ㅇ 국토공간정보종합시스템
국립지리원
1,061
1,097
36
ㅇ 지적도면전산화
행정자치부
4,752
4,675
△77
ㅇ 해안선조사측량및DB구축
해양수산부
1,890
2,240
350
ㅇ 연안해역정보조사 및 DB구축
해양수산부
0
400
400
ㅇ 전자해도갱신및기본지리정보구축
해양수산부
500
700
200
ㅇ 해양공간정보시스템
해양수산부
950
1,450
500
활용체계구축
47,572
39,823
△7,749
토지
이용
및
공공
제한
정보
ㅇ 토지관리정보체계
건설교통부
11,456
6,103
△5,353
ㅇ 농촌지형정보체계
농림부
2,654
2,646
△8
ㅇ 통계지리정보시스템
통계청
250
68
△182
ㅇ 산업지리정보체계
산업자원부
500
420
△80
소 계
14,860
9,237
△5,623
7대
지하
시설물
지리
정보
ㅇ 도로와지하시설물공동구축
건설교통부
20,888
18,338
△2,550
ㅇ 광역상수도종합관리시스템
건설교통부
1,483
1,407
△76
ㅇ 항만지하시설물DB구축
해양수산부
200
600
400
ㅇ 산업단지GIS
산업자원부
700
1,000
300
소 계
23,271
21,345
△1,926
지하
지리
정보
ㅇ 국도건설종합지반DB구축
건설교통부
934
772
△162
ㅇ 폐탄광지리정보시스템
산업자원부
900
100
△800
ㅇ 문화재지리정보체계
문화재청
400
380
△20
소 계
2,234
1,252
△982
구 분
주관기관
투자계획
2002년
2003년(안)
비고(증△감)
수자원지리
정보
ㅇ 하천지도전산화
건설교통부
1,360
1,200
△160
ㅇ 지하수정보관리시스템
건설교통부
130
220
90
ㅇ 농촌용수 물관리 정보화사업
농림부
790
645
△145
ㅇ 물환경정보시스템
환경부
0
800
800
소 계
2,280
2,865
585
환경
및
농림
지리
정보
ㅇ 토지피복지도구축
환경부
1,000
1,000
0
ㅇ 자연환경종합GIS
환경부
400
400
0
ㅇ 대기환경예측평가시스템
환경부
709
792
83
ㅇ 산림지리정보시스템
산림청
810
857
47
ㅇ 농업토양환경정보 DB구축
농촌진흥청
645
550
△95
소 계
3,564
3,599
35
해양
수산
지리
정보
ㅇ 연안관리정보시스템
해양수산부
1,363
1,325
△38
ㅇ 해양관광정보 관리시스템
해양수산부
0
200
200
소 계
1,363
1,525
162
GIS 유통체계구축
5,389
5,490
101
ㅇ 지리정보유통체계구축
건설교통부
2,889
1,900
△989
ㅇ 해양지리정보 유통
해양수산부
0
390
390
ㅇ 위성영상 통합관리
정보통신부
2,500
3,200
700
GIS 기술개발
2,500
6,200
3,700
ㅇ 개방형LBS콤포넌트기술개발
정보통신부
0
3,000
3,000
ㅇ 고정밀위성영상처리기술개발
정보통신부
2,500
3,200
700
GIS 표준화
820
1,250
430
ㅇ 국가GIS표준화 연구
정보통신부
400
400
0
ㅇ 국가지리정보구축 표준화 연구
국립지리원
0
200
200
ㅇ GIS 국가표준의 체계확립
산업자원부
270
350
80
ㅇ 해양 GIS 표준화 체계구축
해양수산부
150
300
150
GIS전문인력양성 및 홍보
2,500
1,385
△1,115
ㅇ GIS 전문인력 양성사업
건설교통부
1,250
700
△550
ㅇ GIS 정보통신 산업인력양성
정보통신부
1,250
685
△565
지원연구 및 제도개선
1,100
1,000
△100
ㅇ 국가GIS 지원연구
건설교통부
1,000
800
△200
ㅇ 해양GIS 정책기반연구
해양수산부
100
200
100
< 그림 차례 >
4. 우리나라 국가 GIS 구축계획 - 다 - 3.지리정보 유통체계 구축
4. 우리나라 국가 GIS 구축계획 - 다 - 4.국가GIS 기술개발
5.GIS산업의 현황- 나 - 2 -2)-②지리정보유통현황
<지리정보유통센터 및 지리정보통합관리소 구축현황>
< 표 차 례 >
4. 우리나라 국가 GIS 구축계획 - 라 - 2. 부문별 투자소요(추정)
(단위 : 억원)
부 문
소요금액
기본지리정보의 구축 및 유지관리
4,504
GIS활용체계 구축 및 유지관리
7,336
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
250
국가GIS 기술개발
805
GIS 산업육성
250
국가GIS 표준화
90
GIS전문인력 양성 및 홍보
148
지원연구 및 제도개선
117
계
13,500
5. GIS사업의 현황 - 나 -1 - 1)
<수치지형도 수정 사업계획>
구분
’02년 실적
’03년 계획
1/1,000
1/5,000
1/1,000
1/5,000
수정갱신 및
신규제작
1,465도엽
수정
1,268도엽
신규제작
1,827 도엽
수정
2,335 도엽
수정 및
신규제작
1,300 도엽
수정
5. GIS사업의 현황 - 나 -1 - 2)
<토지관리정보체계 구축 현황>
’98
’99
’00
’01
’02
‘03
대구시 남구
시범사업
과천시 등 12개 시군구
서울시 등 60개 시군구
광주시 등 63개
시군구
논산시 등 28개 시군구
용인시등
20개
지자체
『2003년 시행계획 사업별 투자규모』
구 분
주관기관
투자계획
2002년
2003년
비고(증△감)
합 계
89,923
90,835
912
기본지리정보구축
30,042
35,687
5,645
ㅇ 국가기준점정비 및 체계확립
국립지리원
5,367
9,864
4,497
ㅇ 기본지리정보구축
국립지리원
999
799
△200
ㅇ 수치지형도 및 국가기본도수정
국립지리원
12,371
12,310
△61
ㅇ 국토모니터링체계구축
국립지리원
2,152
2,152
0
ㅇ 국토공간정보종합시스템
국립지리원
1,061
1,097
36
ㅇ 지적도면전산화
행정자치부
4,752
4,675
△77
ㅇ 해안선조사측량및DB구축
해양수산부
1,890
2,240
350
ㅇ 연안해역정보조사 및 DB구축
해양수산부
0
400
400
ㅇ 전자해도갱신및기본지리정보구축
해양수산부
500
700
200
ㅇ 해양공간정보시스템
해양수산부
950
1,450
500
활용체계구축
47,572
39,823
△7,749
토지
이용
및
공공
제한
정보
ㅇ 토지관리정보체계
건설교통부
11,456
6,103
△5,353
ㅇ 농촌지형정보체계
농림부
2,654
2,646
△8
ㅇ 통계지리정보시스템
통계청
250
68
△182
ㅇ 산업지리정보체계
산업자원부
500
420
△80
소 계
14,860
9,237
△5,623
7대
지하
시설물
지리
정보
ㅇ 도로와지하시설물공동구축
건설교통부
20,888
18,338
△2,550
ㅇ 광역상수도종합관리시스템
건설교통부
1,483
1,407
△76
ㅇ 항만지하시설물DB구축
해양수산부
200
600
400
ㅇ 산업단지GIS
산업자원부
700
1,000
300
소 계
23,271
21,345
△1,926
지하
지리
정보
ㅇ 국도건설종합지반DB구축
건설교통부
934
772
△162
ㅇ 폐탄광지리정보시스템
산업자원부
900
100
△800
ㅇ 문화재지리정보체계
문화재청
400
380
△20
소 계
2,234
1,252
△982
구 분
주관기관
투자계획
2002년
2003년(안)
비고(증△감)
수자원지리
정보
ㅇ 하천지도전산화
건설교통부
1,360
1,200
△160
ㅇ 지하수정보관리시스템
건설교통부
130
220
90
ㅇ 농촌용수 물관리 정보화사업
농림부
790
645
△145
ㅇ 물환경정보시스템
환경부
0
800
800
소 계
2,280
2,865
585
환경
및
농림
지리
정보
ㅇ 토지피복지도구축
환경부
1,000
1,000
0
ㅇ 자연환경종합GIS
환경부
400
400
0
ㅇ 대기환경예측평가시스템
환경부
709
792
83
ㅇ 산림지리정보시스템
산림청
810
857
47
ㅇ 농업토양환경정보 DB구축
농촌진흥청
645
550
△95
소 계
3,564
3,599
35
해양
수산
지리
정보
ㅇ 연안관리정보시스템
해양수산부
1,363
1,325
△38
ㅇ 해양관광정보 관리시스템
해양수산부
0
200
200
소 계
1,363
1,525
162
GIS 유통체계구축
5,389
5,490
101
ㅇ 지리정보유통체계구축
건설교통부
2,889
1,900
△989
ㅇ 해양지리정보 유통
해양수산부
0
390
390
ㅇ 위성영상 통합관리
정보통신부
2,500
3,200
700
GIS 기술개발
2,500
6,200
3,700
ㅇ 개방형LBS콤포넌트기술개발
정보통신부
0
3,000
3,000
ㅇ 고정밀위성영상처리기술개발
정보통신부
2,500
3,200
700
GIS 표준화
820
1,250
430
ㅇ 국가GIS표준화 연구
정보통신부
400
400
0
ㅇ 국가지리정보구축 표준화 연구
국립지리원
0
200
200
ㅇ GIS 국가표준의 체계확립
산업자원부
270
350
80
ㅇ 해양 GIS 표준화 체계구축
해양수산부
150
300
150
GIS전문인력양성 및 홍보
2,500
1,385
△1,115
ㅇ GIS 전문인력 양성사업
건설교통부
1,250
700
△550
ㅇ GIS 정보통신 산업인력양성
정보통신부
1,250
685
△565
지원연구 및 제도개선
1,100
1,000
△100
ㅇ 국가GIS 지원연구
건설교통부
1,000
800
△200
ㅇ 해양GIS 정책기반연구
해양수산부
100
200
100
< 그림 차례 >
4. 우리나라 국가 GIS 구축계획 - 다 - 3.지리정보 유통체계 구축
4. 우리나라 국가 GIS 구축계획 - 다 - 4.국가GIS 기술개발
5.GIS산업의 현황- 나 - 2 -2)-②지리정보유통현황
<지리정보유통센터 및 지리정보통합관리소 구축현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