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주의 교육철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재건주의 교육의 출현과 배경

2. 기존 교육철학의 비판

3. 재건주의 교육의 내용

4. 재건주의 교육의 비판

본문내용

다. 하나의 인간관에 의해서 인간을 조정하려는 것은 위험스러운 생각이다. 뿐만 아니라 아직도 과학은 「인간의 가장 바람직한 가치란 무엇인가?」, 「어떤 사회체제가 가장 바람직한가?」에 대한 대답을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인간행동의 과학적 지식에 기초한다는 재건주의자들의 주장은 지지되기 어렵다.
3) 민주방식에 대한 지나친 기대이다. 오늘날의 민주주의는 초창기의 직접적인 참여방식을 잊은 <원거리 조작방식>으로 전락해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Platon의 말대로 민주방식은 잘못되면 중우체제(衆愚體制)로 타락할 수 있음을 상기하고, 민주방식이 최선이 아닌 차선의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눈앞에 보는 범속한 절대다수의 사람들의 의견의 집약방식이 여기에서 말하는 민주방식이라면 그것은 과거의 뛰어난 한 사람의 의견만도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뜻에서 재건주의자들은 미래만을 보지 말고 꾸준히 영원과 과거와 현재에 눈을 돌려야 할 것이다.
4) 실제 문제에서 교육의 힘으로 과연 이러한 새로운 이상향 사회의 그림과 같은 거창한 일을 할 수 있는가, 즉 실현 곤란성의 문제이다. 물론 교육이 지니는 적극적진보적 기능에 비추어 재건주의 이론에서 말하는 미래지향적이고 미래투시적인 전망은 전망 그 자체로는 가능할 수도 있겠으나 실제 문제에 있어서는 그들이 주장하는 유토피아적 이상향 사회의 건설은 교육의 힘만으로는 가능하지 못하다. 이상향의 사회는 멀리 고대의 Platon에서도 구상하였으나 지금껏 이루지 못하고 있다. 재건주의 교육이론은 너무 이상적인 미래에 치우친 나머지 그들 나름의 독선에 빠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1,2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1.14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