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생애,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경전공부,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교육방법과 실천실학,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일원세계와 대세계주의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생애,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경전공부,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교육방법과 실천실학,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일원세계와 대세계주의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생애

Ⅱ.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경전 공부
1. 성장배경을 통해본 경전공부
1) 유년시절 - 유학 중심
2) 구도시절 - 증산교, 불교 중심
3) 소태산대종사에 입문 후
2. 자료를 통해 본 ꡐ경전ꡑ 공부
3. 정산종사의 ꡐ경전ꡑ공부방법
1) 정전에 주체를 두고 천만경전을 연마(공부의 표준)
2) 용어의 적절한 해석에 중심(공부의 방법: 시대성과 대중성)
3) 실행활에 운용하는 것에 중심(공부의 활용 : 생활성)
4) 통만법명일심 (공부의 목적과 결과)

Ⅲ.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교육 방법
1. 도치
2. 덕치
3. 정치

Ⅳ.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실천실학

Ⅴ.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일원세계와 대세계주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심학(心學)이 실학이라고 한 것이니, 허학(虛學)·노장학·불교를 배격하고, 실학(實學)을 숭상한다(崇實黜虛)는 의미의 실학이다. 숭실(崇實)하는 학문에는 실심(實心), 실념(實念), 실언(實言), 실증(實證), 실사(實事), 실풍(實風), 실천(實踐), 실행(實行), 실공(實功), 실효(實效), 무실(務實) 등등이 모두 실을 숭상하고 허위를 물리치는(崇實黜虛) 실학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실학은 첫째, 비판정신에 깨인 것이요, 허(虛), 위(僞)에 대한 학문적 비판 정신이 투철하다. 둘째, 경세사상(經世思想), 조선의 경우 토지제도의 불합리성에서 기준(奇遵)의 정전(井田), 柳馨遠의 공전(公田), 이익(李瀷)의 균전(均田), 정약용(丁若鏞)의 여전법(閭田法), 박지원(朴趾源)의 한전론(限田論)등 빈부(貧富)의 균등(均等)에 주목한 것이 특징이다. 셋째, 과학정신, 조선은 청나라에 사신으로 갔다 온 사람을 통하여 먼저 서양과학에 관하여 눈 뜨게 되었다.
넷째, 이용후생(利用厚生), 실사구시(實事求是) 등 상공업에 대한 자각은 곧 시민의식의 발로이며, 실사구시는 문헌학·금석연구·고고학(考古學) 등에 대한 각성(覺醒)이 있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명(明)의 최선(崔銑, 14781541)은 「송나라의 4선생( 주렴계, 정이천, 장횡거, 소강절)의 연구가 정밀하니, 모두 실학(實學)이다.」(원사(洹詞)권10)하고, 장학성(章學誠)도 「성명(性命), 사공(事功), 학문, 문장을 종합한 주자학은 황간(黃幹), 채원정(蔡元定), 진덕수(眞德秀), 위료옹(魏了翁)은 모두 주자를 계승하여 실학(實學)에 노력했다.」(文史通義 卷3, 朱陸)고 하였는데 이들의 실학(實學)이란 허위(虛僞), 가언(假言), 공언(空言)이 아니라는 의미의 실학(實學)이다. 따라서 정산종사가 실천실학이라고 하는 일원상(一圓相) 곧 참마음의 실효(實效)와 실증(實證)을 실천한다는 실학과는 큰 차이가 있다. 정산종사의 실천실학은 참마음(一圓相)을 실사(實事)에서 증득(證得)하는 것이다.
Ⅴ. 원불교 정산종사(정산송규종사)의 일원세계와 대세계주의
정산종사의 새 역사 창조의 역할의 구체적 사실이 삼동윤리의 선포이다. 삼동윤리는 세계 인류가 대동 화합할 세 가지 대동의 관계를 밝힌 원리이다.
「이는 곧 대종사님의 일원대도에 근거한 대세계주의로서 정산종사께서 이르신 그대로 곧 천하의 윤리요, 만고의 윤리이다.」
대종사의 일원대도에 근거한 대세계주의가 정산종사에서 삼동윤리로 구체화되었다는 것이고, 또 대산종법사에 의하여 개교 반백년 기념대회 표어로 「진리는 하나 세계도 하나, 인류는 한 가족, 세상은 한 일터, 개척하자 일원세계」라고 계승되었다. 대산종법사가 추진했던 「종교연합운동」도 이 맥락에서 비롯하였으며, 「삼동윤리를 실현 할 때 세계의 종교, 사상, 정치, 종족, 전체가 대동화합되어 남북통일도 이룰 수 있어서 생산세계평화를 하는 것이다.」고 밝혔다. 이렇게 계승발전되는 대종사의 「일원대도에 근거한 대세계주의」와 정산종사의 「삼동윤리」, 대산종법사의 「일원세계」는 본질이 마음(圓)이다. 비록 대동화합의 대세계주의가 중국고대의「예기 예운편(禮記 禮運篇)」에서 「대도(大道)가 행해지는 세상에서는 천하를 公有로 삼아서, 어질거나 능력있는 자를 가려서, 신의를 밝히고 화목하도록 했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다만 자기의 어버이만 사랑하지 않고, 자기 아들만을 사랑하지 아니했고, 노인으로 하여금 편안하게 마치도록 하고, 젊은이는 일할 수 있게 하고, 어린이는 성장 할 수 있게 하고, 홀어미·고아·자식없는 사람·병든 사람을 불쌍하게 여겨서 부양한다. 남자는 일정한 직분이 있고, 여자는 모두 시집가게 된다. 재물은 버려지는 것을 싫어하나 私有物로 하지 아니하며, 힘은 자기가 발휘하지 아니한 것을 싫어하나 꼭히 자기만을 위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간사한 음모는 읽지 않고, 도적·강도·혼란한 세금이 일지 않는 까닭에, 문을 닫지 않고도 안심하니 대동이라한다.」고 설명한 것에서 「대동화합사상」의 기원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나라 陽村 權近의 「예기천견록(禮記淺見錄)」에 의하면 유교사상이 아니라 도가(道家)에서 온 것이라고 했으니 이 대도(大道)·대동(大同)은 노장(老莊)적인 유토피아에서 온것이요, 육왕학(陸王學)의 대동사상은 심즉리(心卽理)에 근본 하였으니 一圓大道 즉 마음을 본질로 한 대동화합과 같은 맥락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노자(老子)의 대도(大道)는 마음이 아니라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실체(實體)이니 대종사·정산종사의 대동화합의 대도와 같지 않고, 또 중국 청나라 말기에 강유위(康有爲)가 대동서(大同書)를 저술하여 대동주의(大同主義)를 밝히고 대세계주의를 포방했으나 그의 민주대동의 세계건설은 각국이 평등한 입장에서 연맹을 건설하고, 세계정부를 세워 각 연방을 통치하며, 나라 이름과 국토의 경계를 없앤다. 각기 지방자치를 원칙으로 하되, 세계정부로 통일한다. 세계정부는 총통이 없고, 각국에서 파견한 의원에 의하여 의장을 선출한다. 그리하여 세계대동으로 진입한다. 무병·무국·무군으로 인류의 평등·자유를 실현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대동주의는 유교, 불교, 유토피아사상, 민주주의, 사회주의 등 다양한 사상과 주의를 포괄하였다.
대동주의, 대세계주의라는 명호(名號)는 같으나 근본 원리는 다르다. 강유위의 근본핵은 대종사·정산종사처럼 「하나의 원심(圓心)이 아니라, 모든 것을 혼합한 것을 대동(大同)이라 생각했던 것 같으니, 정연한 체계가 성립되지 아니한다. 혼잡한 것을 함께 종합하자고 하는 강유위의 대동주의·세계주의와 정산종사의 세계는 한 마음(一圓相)을 본질로 한것과 다르다. 정산종사의 대동주의는 그 본 마음을 깨닫는다면 자연 대동이요, 대세계주의이며, 인간은 자기 본래를 회복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서, 종교사회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박선영, 불교의교육사상, 동화출판공사, 1981
윤석산, 동경대전, 동학사, 1996
원불교학교재연구회 편, 종교와 원불교, 원광대학교 출판국, 1992
한국철학사연구회, 한국철학사상사, 한울, 1997
한정원, 원불교 禪의 의미에서 본 공부, 원광대학교 원불교 사상연구원, 1994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4.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24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