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야기를 나누도록 격려 한다.
⑦ 환자가 현재와 과거의 환각을 묘사하고 비교하도록 돕는다.
- 환자의 환가가 양상 유무를 결정한다.
- 환자에게 처음 환각이 시작되었을 때를 기억하도록 격려한다.
- 환각의 내용에 주의를 기울인다.
- 환자에게 지시적인 환각이 있는지를 경계한다.
- 환자에게 환각과 관련된 과거와 현재의 생각, 느낌, 행동들을 묘사하도록 격려한다.
⑧ 환각의 내용에 반영되어 있을 욕구들을 환자가 확인하도록 돕는다.
⑨ 환자의 증상들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 환자가 증상, 증상유발요인, 그리고 증상관리 전력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망상과 환각의 예
망상과 환각은 기질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기질적"인 것과 "기능적"인 것은 다른데, 기계로 치자면 기질적인 문제는 그 기계 부품 자체가 잘못된 것이고, 기능적인 문제는 부품은 괜찮은데 프로그램상의 문제로 무언가 잘못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즉, 기질적이라는 것은 조작적 학습에 의한 망상, 기능적이라는 것은 뇌에 이상에 따른 망상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질적 장애가 존재할 때조차도 망상, 환각 및 기타 형태의 기괴한 행동의 발생 빈도는 강화의 함수일 수가 있다.
망상과 환각의 예로는
① Layng과 Andronis는 자기 집 뒷마당에서 빨랫줄을 매어놓은 장대들을 뽑으려고 하다가 폐쇄 병동에 입원하게 된 중년 남자 환자에 대해 얘기했다. 이 환자는 장대들이 십자가를 모독하는 우상이며 예수가 자기에게 이것들을 부셔버리라고 말했다고 소리 질렀다. 그런데 자신의 힘겨운 사업 문제에 부인을 끌어들이려는 이 남자의 노력이 성공하지 못해, 자기 부인의 관심을 받으려고 이런 기괴한 행동을 하게 되었고, 계속 관심을 받게 되자 이런 병적인 행동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부인이 남편의 기괴한 행동이 아니라 사업상의 문제에 관심을 보이기를 배우고 나자 이 남자의 증상은 가라앉기 시작했다.
② Alford는 환자에게 쫓긴다는 느낌이 들면 그것을 기록해두라고 했는데 그 믿음의 강도를 0에서 100까지로 표시하도록 했다. 치료 기간 중 Alford는 이 환자가 그 마녀에 대한 의심을 표현하면 강화를 주었고, 그 망상에 대한 확신은 줄어들었다.
③ 이 경우는 앞의 예와는 좀 특이한 경우로 행동이 강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Goldiamond는 바퀴벌레에 대한 공포 때문에 사실상 마비가 된 상태의 여자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이 여자는 너무 무서워서 돌아다니지도 못하고, 침대에 계속 누워있었다. 그녀의 남편은 이를 동정해서 이전에 보이지 않았던 관심을 보여줬는데, 여기서 남편의 관심이 공포증적 행동을 유지시킨 강화물이었다. 그런데 그녀는 남편이 없을 때도 침대에 계속 누워있는 것이 아닌가. 그 이유는 어떤 사람이 기괴한 행동에 대한 강화가 가능할 때만 기괴하게 행동한다면 사람들이 눈치를 채기 때문에 기괴한 행동에 대한 강화는 행동이 일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강화가 가능하지 않을 때 행동이 일어나는 것을 수반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⑦ 환자가 현재와 과거의 환각을 묘사하고 비교하도록 돕는다.
- 환자의 환가가 양상 유무를 결정한다.
- 환자에게 처음 환각이 시작되었을 때를 기억하도록 격려한다.
- 환각의 내용에 주의를 기울인다.
- 환자에게 지시적인 환각이 있는지를 경계한다.
- 환자에게 환각과 관련된 과거와 현재의 생각, 느낌, 행동들을 묘사하도록 격려한다.
⑧ 환각의 내용에 반영되어 있을 욕구들을 환자가 확인하도록 돕는다.
⑨ 환자의 증상들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 환자가 증상, 증상유발요인, 그리고 증상관리 전력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망상과 환각의 예
망상과 환각은 기질적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기질적"인 것과 "기능적"인 것은 다른데, 기계로 치자면 기질적인 문제는 그 기계 부품 자체가 잘못된 것이고, 기능적인 문제는 부품은 괜찮은데 프로그램상의 문제로 무언가 잘못 돌아가고 있는 것이다
(즉, 기질적이라는 것은 조작적 학습에 의한 망상, 기능적이라는 것은 뇌에 이상에 따른 망상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질적 장애가 존재할 때조차도 망상, 환각 및 기타 형태의 기괴한 행동의 발생 빈도는 강화의 함수일 수가 있다.
망상과 환각의 예로는
① Layng과 Andronis는 자기 집 뒷마당에서 빨랫줄을 매어놓은 장대들을 뽑으려고 하다가 폐쇄 병동에 입원하게 된 중년 남자 환자에 대해 얘기했다. 이 환자는 장대들이 십자가를 모독하는 우상이며 예수가 자기에게 이것들을 부셔버리라고 말했다고 소리 질렀다. 그런데 자신의 힘겨운 사업 문제에 부인을 끌어들이려는 이 남자의 노력이 성공하지 못해, 자기 부인의 관심을 받으려고 이런 기괴한 행동을 하게 되었고, 계속 관심을 받게 되자 이런 병적인 행동이 조성되었던 것이다. 부인이 남편의 기괴한 행동이 아니라 사업상의 문제에 관심을 보이기를 배우고 나자 이 남자의 증상은 가라앉기 시작했다.
② Alford는 환자에게 쫓긴다는 느낌이 들면 그것을 기록해두라고 했는데 그 믿음의 강도를 0에서 100까지로 표시하도록 했다. 치료 기간 중 Alford는 이 환자가 그 마녀에 대한 의심을 표현하면 강화를 주었고, 그 망상에 대한 확신은 줄어들었다.
③ 이 경우는 앞의 예와는 좀 특이한 경우로 행동이 강화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Goldiamond는 바퀴벌레에 대한 공포 때문에 사실상 마비가 된 상태의 여자에 대해 기술하였는데 이 여자는 너무 무서워서 돌아다니지도 못하고, 침대에 계속 누워있었다. 그녀의 남편은 이를 동정해서 이전에 보이지 않았던 관심을 보여줬는데, 여기서 남편의 관심이 공포증적 행동을 유지시킨 강화물이었다. 그런데 그녀는 남편이 없을 때도 침대에 계속 누워있는 것이 아닌가. 그 이유는 어떤 사람이 기괴한 행동에 대한 강화가 가능할 때만 기괴하게 행동한다면 사람들이 눈치를 채기 때문에 기괴한 행동에 대한 강화는 행동이 일어나는 것뿐만 아니라 강화가 가능하지 않을 때 행동이 일어나는 것을 수반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인지주의 학습이론
뇌기능분화 및 인지 특성
정치학 방법론에 있어서의 개인주의-심리학적 접근방법
심리학개론 수업 노트정리
성격에 관한 조사
[발달심리학]프로이드(Freud)의 정신분석적 성격이론과 자아방어기제
학습의 정의, 학습의 범위, 파블로프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손다이크의 행동주의 학습이론, ...
Schizophrenia 간호 사례 연구 -case study
교육심리학의 이해와 주요 이론&교육 정책에 대한 고찰
교육 심리학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개념과 성격 및 발달이론,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성격과 적용기제...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특성 및 문제점과 복지적 대책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성인학습 및 상담론 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