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촌수필』 _ 이문구 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촌수필』 _ 이문구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2

Ⅱ. 본론 -2

 1. 전반적인 줄거리 -2

 2. 작품의 구성 및 문체 -3
  (1) 삽화식 나열
  (2) 인물중심의 구성
  (3) 이야기꾼의 문체
  (4) 구이지학(口耳之學)

 3. 인물분석 및 상징적 의미 -5
  (1) 인물분석
  (2) 상징적 의미

Ⅲ. 결론 -8

참고문헌 -8

본문내용

러난다. 결국 할아버지에 대한 회상은 물질적 욕망과 탐욕이라는 근대의 상황 속에서 온전한 자화상을 환기시켜주는 계기가 된다. 민병인 「이문구 소설 연구-농경문화 서사와 구술적 문체 분석」p80~81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0년
즉,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자각의 계기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는 할아버지의 선비의식이 가진 신분제도와 같은 전근대성을 인정하고 비판하기도 하며 곧이어 함께 지냈던 이웃들을 회상하고 할아버지를 비롯한 그들이 지닌 순수한 인간성(‘뭇사람의 본마음’ 민병인 11)의 글 p81
)을 추구하는 데에 이른다. (교재 p186~187)
그러한 이들과 함께 했던 과거를 추억하는 고향에 왔지만 화자가 본 고향은 과거의 그것이 아니다. 전쟁과 근대 산업화로 농촌이 점차 해체되고 전통적 공동체의식이 모조리 소멸되어 가는 시대 상황에서 그가 추억하는 고향은 사라져 버린 것이다. 민병인 11)의 글 p140
더구나 그 곳은 이제 돌아갈 수 있는 세계가 아니다. 그렇기에 화자는 자신을 ‘실향민’으로서 느낄 수밖에 없고 그것을 계속해서 그리워하는 것이다. (교재 p172)
Ⅲ. 결론
이문구는 근대화 사회에서 물질적 부와 풍요를 얻는 과정에서 생겨난 이기적이며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친화적이고 전인적인 인물(예: 석공=신현석)에 대한 자세한 묘사를 통해 우회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또한 자신의 내면 속에 간직되어있는 정결한 선비적 세계관을 통해 근대화 도시화 산업화에 대한 우울한 정서와 비판을 담아내고 있다. 그가 이 작품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하는 이상세계는 아마도 고향 시절의 인간과 인간이, 인간과 자연이, 자연과 자연이 서로 친화 관계를 맺고 있던 안온한 모성적 공간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그러므로 그는 의도적이든 그렇지 않든 그의 작품 속에서의 유년 시절에 대한 회상을 자연과 인간의 조화롭고 질서 잡힌 세계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자신의 체험에 바탕한 것으로, 화자 자신의 성장과정과 삶의 체험을 자유스런 방식으로 직접 말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어 마치 수필과 같은 인상을 준다. 이처럼 보고 들은 것은 삽화적으로 구성하고 긴밀한 통일 없이 자유롭게 서술하는 방식은 이문구 특유의 소설쓰기로 정착되었던 것인데, 이는 소설사적으로 볼 때, 채만식 이래의 서술전통을 계승하는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이야기체 소설의 현대적 가능성을 실험하였다는 점에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 글쓰기 형식을 구사하는 것이 원형적 공간으로의 회귀를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그것이 단순히 그리움이나 복고적 취향에 의한 것은 아니다.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사고가 요구되는 근대 사회에서 작가는 오랜 세월 축적 되어온 말의 지혜(전통적 글쓰기)를 통해 실상 비합리적이고 모순투성이인 사회를 비판하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
구자황,「이문구 소설연구- 구술적 서사전통과 변용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구자황,「이문구 소설의 구술적 서사전통 연구」,『희귀 잡지로 본 문학사』,깊은샘, 2002, 334쪽
권성우, 「1991년에 읽은 관촌수필」, 『 관촌수필 』,문학과 지성사, 1991
김만수, 「전래의 농촌에 대한 회고적 시각」,《작가세계》1992
김우창, 「근대화속의 농촌」,《세계의 문학》,1981, 겨울
민병인 「이문구 소설연구-동경문화 서사와 구술적 문체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0
민충환, 『이문구 소설어 사전』, 고려대 문족문화 연구소 200
서혜지, 「이문구 소설의 담론 연구」, 충남대학교 석사논문, 2003
월터 J.옹,『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74쪽,1995
유복순, 「이문구의 관촌수필 연구」-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2
이문구, 「 일락서산 」,『 관촌수필 』,문학과 지성사, 1991
이문구, 『지금은 꽃이 아니라도 좋아라』, 문학과 지성사, 1979,89쪽
이숭원 「생태학적 상상력과 우리 시의 방향」p206 『실천문학』 1966 가을
이철환. 이문구 소설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1
전은옥, 「이문구 소설의 문체연구」, 중앙대학교대학원 , 1999
조용미, 「이문구 소설 연구-1960~7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1998
진영복, 「이문구론-인정(人情)의 세계에서 인정(認定)의 세계로」,한국문학연구회,
『현역 중진 작가 연구 Ⅱ』,국학자료원, 1998, 161~162쪽
진정석, 「이야기체 소설의 가능성」,『1970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4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11.09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2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