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과정 및 결과를 직접 관찰하고, 그 관찰 결과를 전문적으로 판단하는 평가방식”을 의미한다.
2) 유사용어들과의 관계
① 진정한 평가 (참평가)
평가 상황이 실제 상황과 동일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이다.
진정한 평가는 수행평가의 특수사례이다.
② 직접평가
간접적인 방법보다는 직접적인 방법을 중시하는 평가이다.
수행평가는 가능한 한 직접평가의 성격을 풍부하게 포함하려고 한다.
③ 실기평가
아는 것(지식)이 아니라 할 수 있는 것(기능)을 재는 평가이다.
실기평가는 수행평가의 한 유형이다.
④ 포트폴리오 평가
시험이 아니라 학생이 쓰거나 만든 작품집이나 서류철 등을 이용한 평가를 말한다.
결과가 나오게 된 과정 및 변화에 대한 평가를 중시한다.
수행평가의 대표적인 방식이다.
⑤ 대안적 평가
한 시대의 주류를 이루는 평가체제와 성질을 달리하는 평가체제이다.
선택형 문항을 사용하는 표준화된 검사의 대안적인 평가이다.
수행평가는 대안적 평가의 한 사례이다.
(3) 역사과 수행평가의 방법
(1) 수행평가 도구
역사교과의 수행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유형으로 마인드맵(mind map)이나 개념도(concept map)그리기, 역사지도 그리기, 역사신문 만들기, 연표 만들기, 역할극, 극화학습, 모의재판, 사상의 만남, 모형 만들기 등을 생각 할 수 있다.
(2) 수행평가의 활용
① 제작물의 형태로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나타내는 방법
역사지도 그리기, 연표 만들기, 역사신문 만들기, 역사상상화 그리기 등의 작업을 통해 학생들의 역사이해를 표현하게 할 수 있다. 역사를 접하고 느끼고 이해하는 방식이 다양한 만큼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도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평가형태이다.
② 역사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글쓰기 방식
역사시 쓰기, 역사논술 쓰기, 유적지 답사 보고서 등과 같은 형식이 가능하다. 지필평가의 서술형 문항이 주제와 자료를 한정하고 교사가 의도하는 답안을 요구하는데 반해, 이러한 글쓰기는 좀 더 광범한 역사대상에 대해 학생들이 자유롭게 사고하고 다양하게 표현하게끔 하는 평가방식이다.
③ 학생들이 말과 몸짓으로 직접 표현하는 방식
역할극이나 모의재판 등에서, 연기에 나타나는 역사수업에 참여하는 태도와 표현능력을 평가하는 것도 평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역사를 주제로 한 무용, 마임, 노래 등도 가능하다.
(4) 역사과 수행평가의 유의점
① 수업과정과 평가 대상을 가급적 일치시킨다.
② 신뢰성과 객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한다.
③ 일반적인 기능이나 능력보다 역사학습의 수행과 관련된 것을 평가척도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역사교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구체적인 수행평가 도구들을 수집하거나 개발하는데 힘써야 한다.
♣ 참고문헌
송춘영.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형설, 2000.
정선영 외. 역사교육의 이해. 서울 : 삼지원, 2002.
최완기. 역사학습지도의 원리와 실제. 서울 : 느티나무, 2000.
박성현. 테마 교육학. 서울 : 박문각, 2005.
2) 유사용어들과의 관계
① 진정한 평가 (참평가)
평가 상황이 실제 상황과 동일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평가이다.
진정한 평가는 수행평가의 특수사례이다.
② 직접평가
간접적인 방법보다는 직접적인 방법을 중시하는 평가이다.
수행평가는 가능한 한 직접평가의 성격을 풍부하게 포함하려고 한다.
③ 실기평가
아는 것(지식)이 아니라 할 수 있는 것(기능)을 재는 평가이다.
실기평가는 수행평가의 한 유형이다.
④ 포트폴리오 평가
시험이 아니라 학생이 쓰거나 만든 작품집이나 서류철 등을 이용한 평가를 말한다.
결과가 나오게 된 과정 및 변화에 대한 평가를 중시한다.
수행평가의 대표적인 방식이다.
⑤ 대안적 평가
한 시대의 주류를 이루는 평가체제와 성질을 달리하는 평가체제이다.
선택형 문항을 사용하는 표준화된 검사의 대안적인 평가이다.
수행평가는 대안적 평가의 한 사례이다.
(3) 역사과 수행평가의 방법
(1) 수행평가 도구
역사교과의 수행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유형으로 마인드맵(mind map)이나 개념도(concept map)그리기, 역사지도 그리기, 역사신문 만들기, 연표 만들기, 역할극, 극화학습, 모의재판, 사상의 만남, 모형 만들기 등을 생각 할 수 있다.
(2) 수행평가의 활용
① 제작물의 형태로 학생들의 학습 결과를 나타내는 방법
역사지도 그리기, 연표 만들기, 역사신문 만들기, 역사상상화 그리기 등의 작업을 통해 학생들의 역사이해를 표현하게 할 수 있다. 역사를 접하고 느끼고 이해하는 방식이 다양한 만큼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도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평가형태이다.
② 역사주제에 대한 학생들의 다양한 글쓰기 방식
역사시 쓰기, 역사논술 쓰기, 유적지 답사 보고서 등과 같은 형식이 가능하다. 지필평가의 서술형 문항이 주제와 자료를 한정하고 교사가 의도하는 답안을 요구하는데 반해, 이러한 글쓰기는 좀 더 광범한 역사대상에 대해 학생들이 자유롭게 사고하고 다양하게 표현하게끔 하는 평가방식이다.
③ 학생들이 말과 몸짓으로 직접 표현하는 방식
역할극이나 모의재판 등에서, 연기에 나타나는 역사수업에 참여하는 태도와 표현능력을 평가하는 것도 평가하는 것도 포함된다. 역사를 주제로 한 무용, 마임, 노래 등도 가능하다.
(4) 역사과 수행평가의 유의점
① 수업과정과 평가 대상을 가급적 일치시킨다.
② 신뢰성과 객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한다.
③ 일반적인 기능이나 능력보다 역사학습의 수행과 관련된 것을 평가척도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
④ 역사교과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구체적인 수행평가 도구들을 수집하거나 개발하는데 힘써야 한다.
♣ 참고문헌
송춘영. 역사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형설, 2000.
정선영 외. 역사교육의 이해. 서울 : 삼지원, 2002.
최완기. 역사학습지도의 원리와 실제. 서울 : 느티나무, 2000.
박성현. 테마 교육학. 서울 : 박문각, 2005.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학 서브노트]교수학습이론
[교육학/교과교육론A+]유아 수학교육 목적과 내용,교수학습방법 분석
[교과교육론/교육학A+]유아 수학교육 목적 및 내용,교수학습방법 분석
[이산수학]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성격,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목표, 고등학교 이산수학의 인식,...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단원의 특징,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단원의 동향과 내용, 고등학교 확...
고등학교 영어Ⅰ 교과의 특성과 목표, 고등학교 영어Ⅰ 교과 필요성, 고등학교 영어Ⅰ 교과 내용...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방향,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 사회과(사회과교육) 교수학습의 모형,...
고등학교 기술가정과의 성격, 고등학교 기술가정과의 목표, 고등학교 기술가정과의 10학년 교...
교수매체(교수학습매체) 개념, 교수매체(교수학습매체) 필요성, 교수매체(교수학습매체) 선택...
유아음악교육자료, 국악교육자료(교수학습지도자료), 안전교육자료, 수개념교육자료(교수학습...
교육학 서브노트 - 교수학습이론 내용정리본
[교육학개론]교육방법에 대한 이해 - 교육방법의 기초, 교수-학습지도, 교수 이론, 교육방법...
[영양교육학] 유아영양교육 - 유아영양교육 교수학습계획안 | 제제 : 골고루 먹어요 | 학습주...
영유아교수학습모델에는 개념학습모델, 탐구학습모델, 직접적 교수모델, 협동학습모델 등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