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종류>
<관련값과 관련식>
<원심펌프의 성능>
<원심펌프의 성능변화>
<원심펌프 성능곡선도>
<관련값과 관련식>
<원심펌프의 성능>
<원심펌프의 성능변화>
<원심펌프 성능곡선도>
본문내용
토출량,전양정, 펌프효율,소요동력,필요흡입헤드 등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
원심 펌프의 성능은 횡축에 유량을 종축에 양정[m],효율[%], 동력[kW]을 잡아서 왼쪽 그림과 같이 나타낸다.
펌프의 전형적인 유량-양정 곡선은 유량이 증가할 수록 양정이 약간씩 작아지면서 내려가는 형상을 갖고 있다.
펌프는 물을 수요처로 송수하기 위하여 송수관을 사용하게 되는 데 이 송수관 저항은 관내 유속의 약 2승에 비례하여 증대한다. 그림에서 저항곡선R1 은 펌프의 실양정과 송수관의
말단에서 필요로 하는 압력(양정)에 송수관의 관로저항을 더한 것이다.
이 저항곡선R1 과 펌프의 양정 곡선과의 교점 A1 의 유량 Q1 및 양정 H1 에서 운전하며, 이 점을 펌프의 운전점이라 한다.
성능곡선도상에서 펌프의 성능, 송수관의 저항, 펌프 운전점의 검토, 확인을 하게 되므로 성능 곡선도를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심펌프의 성능변화>
회전속도를 제어, 외경을 변경하는 경우의 펌프의 성능변화.
원심펌프의 외경 가공에 의한 성능 변화가 있지만, 회전차를 교환하거나 혹은 요구 사양이 다른 펌프를 준비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변속전동기나 유체 커플링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변속전동기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고, 전동 효율에도 상당한 차이는 있으나 전동 효율이 나쁜 변속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밸브로 유량을 제어하는 경우보다도는 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변속전동기를 사용하여 펌프의 회전속도를 N0 에서 N1 로 변화시킨 경우의 유량(Q), 양정(H), 동력(L)은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토출량비 양정비 동력비
<원심펌프 성능곡선도>
원심 펌프의 성능은 횡축에 유량을 종축에 양정[m],효율[%], 동력[kW]을 잡아서 왼쪽 그림과 같이 나타낸다.
펌프의 전형적인 유량-양정 곡선은 유량이 증가할 수록 양정이 약간씩 작아지면서 내려가는 형상을 갖고 있다.
펌프는 물을 수요처로 송수하기 위하여 송수관을 사용하게 되는 데 이 송수관 저항은 관내 유속의 약 2승에 비례하여 증대한다. 그림에서 저항곡선R1 은 펌프의 실양정과 송수관의
말단에서 필요로 하는 압력(양정)에 송수관의 관로저항을 더한 것이다.
이 저항곡선R1 과 펌프의 양정 곡선과의 교점 A1 의 유량 Q1 및 양정 H1 에서 운전하며, 이 점을 펌프의 운전점이라 한다.
성능곡선도상에서 펌프의 성능, 송수관의 저항, 펌프 운전점의 검토, 확인을 하게 되므로 성능 곡선도를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심펌프의 성능변화>
회전속도를 제어, 외경을 변경하는 경우의 펌프의 성능변화.
원심펌프의 외경 가공에 의한 성능 변화가 있지만, 회전차를 교환하거나 혹은 요구 사양이 다른 펌프를 준비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변속전동기나 유체 커플링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변속전동기에는 여러가지 방식이 있고, 전동 효율에도 상당한 차이는 있으나 전동 효율이 나쁜 변속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밸브로 유량을 제어하는 경우보다도는 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변속전동기를 사용하여 펌프의 회전속도를 N0 에서 N1 로 변화시킨 경우의 유량(Q), 양정(H), 동력(L)은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토출량비 양정비 동력비
<원심펌프 성능곡선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