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옥균사상,생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김옥균사상,생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1. 김옥균의 생애
1)유년기
2)소년기
3)청년기
4)장년기
2. 김옥균의 사상
1)민권사상
2)완전 자주독립 사상
3)근대적 자주 부강론
3. 「甲申日錄」
4. 맺음말

본문내용

한 일본의 문명개화론과 서구문물은 그로 하여금 자주부강한 근대적 국가건설을 지향하도록 만들었다. 그의 이러한 개혁사상은 갑신정변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갑신정변을 통한 구체적인 개혁의 내용을 살펴보면 정치적으로는 완전 자주 독립국가, 사회적으로는 인민평등권 제정, 경제적으로는 근대 산업개혁, 문화적으로는 일반민중 중심의 근대 문화, 군사적으로는 근대적 군사제도의 도입, 그리고 경찰제도 및 행정제도의 정리 등이다. 이러한 김옥균의 개화사상은 1884년경 우리나라의 사상으로서는 매우 선진적이고 획기적인 것이었으며, 사상만으로 한정해서 본다면 그것은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구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었다. 그가 구상한 개화사상은 밖으로는 열강의 침략으로부터 나라의 독립을 지키고, 안으로는 전근대사회와 전근대국가를 시민사회와 근대국가로 변혁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김옥균은 우리나라가 전통사회에서 근대사회로 방향을 전환시키는 출발점이었으며 시대적 상황을 통찰하고 개혁사상의 의지를 분명히 한 선구자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김옥균에 대한 평가는 희비가 엇갈리고 있지만 격변하는 당시의 시대 상황 속에서 역사발전의 법칙을 꿰뚫어 본 그의 안목에 대해서만큼은 누구나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1. 신용하 저,《한국근대 사회사상사 연구》<김옥균의 개화사상>, 일지사.
2. 이광린 저,《한국의 근대사상》<김옥균의 생애와 사상>, 삼성출판사
3. 유홍렬 저,《한국사16》<갑신정변>, 국사편차연구위원회, 탐구당
4. 최 영 저,《근대 한국의 지식인과 그 사상》, 문학과지성사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11.28
  • 저작시기201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49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