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 서양 장소 마케팅 사례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 서양 장소 마케팅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장소마케팅의 의의

2. 서양의 장소마케팅 사례 – 독일, 프라이부르크

3. 동양의 장소마케팅 사례 – 일본, 요코하마

4. 장소마케팅의 올바른 방향

5. Q&A

본문내용

장소를 관리하는 개인이나 조직에 의해 추구되는 일련의 경제적 사회
적 활동을 포함하는 현상
기업가나 관광객 또는 지역주민들에게 장소가 매력적인 곳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리적으로 규정된 특정한 장소의 이미지를 판매하기 위
한 다양한 방식의 노력
- 장소마케팅에서 관건이 되는 것은, 장소(또는 도시)의 이미지를 긍정적
으로 부각시키는 것
이는 수요자의 구미에 맞는 장소를 만들어가면서 가치있는 상품으로
서의 지역을 판매하는 것
독일, 프라이부르크
독일 서남쪽에 위치
40%의 흑림과 30%의 시가지로 이루
어짐
- 연교차가 심하지 않은 온화한 기후
- 풍부한 일조량과 적당한 강수량으로
포도재배를 하고있는 도시
프라이부르크 시내의 태양열 주택 모습
거의 대부분의 주택과 공공기관이 태양열 패널을 달고 있음
대중교통 활성화 정책은 Free park&ride 시스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전차역 근처에 설치된 24시간 무료 주차장에 차를 세워두고 프라이부르크 시내를 돌아다니는 전차인 \'트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것
트램의 모습
소음을 줄이기 위해 50-60km로 달린다고 한다.
자전거 활성화 정책은 자동차 도로를 자전거로 바꾸는 정책과 함께
자전거 보관소인 모빌레 설치
모빌레는
1층에는 나누어 탈 수 있는 자동차,
2층에는 1000대의 자전거가 동시에
보관될 수 있는 자전거 보관함
3층에는 판매, 수리점 자전거 정보처가 있다고 한다.
프라이부르크 장소마케팅의 의의
네덜란드 식 복지를 실시
시민을 위한 정책을 펼쳐서 복지에 힘씀
정책이 관광의 원동력
전시행정이 아닌 현 생활에 실천할 수 있는 정책을 실시
보여주기 식이 아닌 시민의 복지에 도움이 될 만한 그리고 실천할 수 있을만한 정책만 시행했고 큰 성공을 거둠
현재 프라이부르크는 유럽의 환경수도라고 불림
일본, 요코하마
일본 혼슈[本州] 가나가와현[神奈川縣]에 있는 도시
1853년 미국의 페리 제독에 의해 개항된 이후 국제적인 무역항으로 자리매김하면서 무역상업을 통해 급격한 발전
1866년의 대화제, 1923년의 대지진, 그리고 제 2차 세계 대전 등을 겪으면서 파괴되고 복구됨
일본에서 최초로 개항된 역사 - 항구도시, 국제도시 등과 같은 진취적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유
장소마케팅의 계기
낡고 쇠퇴한 도시 이미지를 벗고 국제 문화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하여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3.11.30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8954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