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업 개요
2. 요약재무제표
2-1. 재무상태표
2-2. 손익계산서
2-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2-4. 자본변동표
2-5. 현금흐름표
3. 비율분석
3-1. 산업평균과 비교분석
3-2. 최근 3년간 추세분석
4. 공통형 재무제표와 지수형 재무제표
4-1. 공통형 재무상태표
4-2. 공통형 손익계산서
4-3. 지수형 재무상태표
4-4. 지수형 손익계산서
5. 종합적 비율분석
5-1. ROI 분석
5-2. 지수법 분석
5-3. BQT 분석
5-4. 원형 도표법 분석
6. 부실기업 예측
6-1. Z-SCORE
6-2. 은행감독원 판별모형
7. 중소기업신용평가표
8. SWOT 분석
8-1. Strength
8-2. Opportunity
8-3. Weakness
8-4. Threat
9.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전반적 현황 및 문제점
10. 종합평가
10-1. 주요 재무전략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점
10-2. 경영분석결과를 세 가지 경영 분석자 입장에서 평가
2. 요약재무제표
2-1. 재무상태표
2-2. 손익계산서
2-3.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2-4. 자본변동표
2-5. 현금흐름표
3. 비율분석
3-1. 산업평균과 비교분석
3-2. 최근 3년간 추세분석
4. 공통형 재무제표와 지수형 재무제표
4-1. 공통형 재무상태표
4-2. 공통형 손익계산서
4-3. 지수형 재무상태표
4-4. 지수형 손익계산서
5. 종합적 비율분석
5-1. ROI 분석
5-2. 지수법 분석
5-3. BQT 분석
5-4. 원형 도표법 분석
6. 부실기업 예측
6-1. Z-SCORE
6-2. 은행감독원 판별모형
7. 중소기업신용평가표
8. SWOT 분석
8-1. Strength
8-2. Opportunity
8-3. Weakness
8-4. Threat
9.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전반적 현황 및 문제점
10. 종합평가
10-1. 주요 재무전략의 현황, 문제점 및 개선점
10-2. 경영분석결과를 세 가지 경영 분석자 입장에서 평가
본문내용
6
재고자산회전율1
22.95
19.76
19.95
재고자산회전율2
18.47
15.38
15.58
일반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이자보상비율이 높을 수록 채권자들이 더 잘 보호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말해기업이 차입비용이나 이자비용에 대해 얼마나 잘 부담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좋은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게 이자보상비율이다.
만약 이자보상비율이 낮다면 기업이 차입한 자본을 활용하여 수익성을 기대만큼 많이 올리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높은 레버리지 전략을 사용하여 기업이 매우 공격적인 투자나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예를들어 이자보상비율이 1보다도 작은 값이 나온다면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창출한 이익을 갖고 금융비용 등조차 감당할 수 없는 상태로 위험한 상태라 볼 수 있다. 부실한 기업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당연히 1보다는 커야 하고 크면 클수록 좋다고 해석할 수 있는데 꼭 엄청 높은 것이 좋다고 볼 수도 없다. 너무 낮지 않은 정도가 더 바람직하다고 보는 지표로서 보통 1.5~ 3.0 정도가 좋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만약 이자보상비율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도 이자비용 자체가 너무 작아서 크다면 그 기업이 이자보상비율 측면에서 꼭 좋은 것으로 해석하기에 문제가 있을 수 도 있다.
이자비용자체가 작다는 것은 기업이 차입을 지나치게 자제해 사업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하고 있거나 기업이더 위험한 방법으로 자금조달을 하고 있을 수 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현대차의 경우에 단기차입금의 경우 3개년도 평균 약 1조 5천억 원을 차입하였고 장기차입금의 경우에도 사채까지 합쳐서 약 4000억원의 차입을 하였다. 위의 설명처럼 이자비용 자체가 적은 것이 아니며 보고서의 현대차 성과를 봤을 때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영업활동현금흐름, 경상이익이 높기 때문에 이자보상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이자보상비율이 높다는 점을 좋게 해석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부채상환계수는 차입원리금 상환도래분에 대해 기업의 최종성과로 부터 창출되는 내부자금으로 Cover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의 측정하는 것이다부채상환계수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당기순이익 + 감가상각 + 기타상각 + 금융비용) / (단기차입금 + 유동성장기차입금 + 유동성사채 + 금융비용)부채상환계수가 높다는 것은 기업의 총 cash in과 cash out 을 비교할 때 in이 많다는 것이다. 높을수록 좋은 지표로서 영업실적이 굉장히 좋다거나 아니면 금융비용들을 확 줄이거나 하면 부채상환계수가 높아질 수 있다. 현대차의 부채상환계수 역시 양호함을 볼 수 있다.
현대차의 높은 매출채권 회전율과 재고자산 회전율을 보면 매출채권의 관리가 잘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재고자산의 관리 즉,자동차의 판매 역시 문제가 없음을 볼 수 있다.
위의 모든 정보를 종합해 봤을 때 대출심사자의 입장에서 현대차에 대출을 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3. 증권 투자자
영업활동현금흐름이자보상비율
9.09
6.65
18.97
영업이익이자보상비율
7.66
6.43
7.25
(구)경상이익이자보상비율
9.75
7.15
13.27
법인세차감전순이익이자보상비율
9.75
7.15
13.27
이자보상비율은 증권 투자자입장에서도 좋은 지표가 된다. 현대차는 위의 2번 은행의 대출심사자 입장에서 분석했듯이 양호한 이자보상비율을 가지고 있다.
(단위 : 억원)
주요재무정보
연간
2007/12
2008/12
2009/12
매출액
306,197
321,898
318,593
영업이익
19,455
18,772
22,350
세전계속사업이익
22,220
17,950
37,813
당기순이익
16,824
14,479
29,615
자산총계
295,869
321,677
354,461
부채총계
113,843
125,154
134,171
자본총계
182,026
196,523
220,290
자본금
14,870
14,890
14,890
영업활동현금흐름
23,064
19,398
58,446
투자활동현금흐름
-21,088
-24,304
-42,625
재무활동현금흐름
-1,341
8,010
-10,788
영업이익률
6.4
5.8
7.0
순이익률
5.5
4.5
9.3
ROE
9.8
7.6
14.2
부채비율
62.5
63.7
60.9
PER
12.1
7.8
11.7
PBR
1.1
0.6
1.6
3년간 요약 재무제표로써 08년도에 비해 09년도 영업이익 약 3500억 원, 세전계속사업이익 약 2조 원, 당기순이익 1조 5000억 원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위에서 분석했듯이 R&D와 자산에 대한 투자가 전년 대비 약 1조 8천억 원이 늘었고 재무활동 현금흐름을 보면 08년도 대비 09년도 부채 상환이 역시 약 1조 8천억 원이 증가한 걸 볼 수 있다.
이익 지표의 증가로도 기업이 건전하다는 것을 볼 수 있지만 부채의 많은 상환과 투자액의 증가는 증권 투자자 입장에서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전하며 기업의 전망이 좋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증가하는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 역시 09년도 현대차의 선전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ROE를 보면 09년도에 14.2%로 08년도 7.6%에 비해 거의 두배 증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현대차의 부채비율이 3개년도 중에 09년이 제일 낮고 회사 자체의 레버리지 효과가 미비한 점을 봤을 때 매출액 순이익률 증가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위에서 봤듯이 순이익률은 08년도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앞으로 경기가 더 회복되어 부채 비율을 100% 이상으로 늘릴 경우 ROE가 20%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OE는 순자산이 증가하는 속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주식 투자자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주식이 될 것이다.
PER는 수치가 높으면 주가가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에 비해 높게 평가됐다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현대차의 경우 현대차의 올해 선전이 주식시장에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래 현대차의 주식 차트는 12월 현대차의 신차 개발 소식과 맞물려 12월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위의 정보를 종합해 봤을 때 주식투자자 입장에서 현대차의 주식은 매력적이라고 판단된다.
재고자산회전율1
22.95
19.76
19.95
재고자산회전율2
18.47
15.38
15.58
일반적으로 보았을 때에는 이자보상비율이 높을 수록 채권자들이 더 잘 보호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다시말해기업이 차입비용이나 이자비용에 대해 얼마나 잘 부담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좋은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게 이자보상비율이다.
만약 이자보상비율이 낮다면 기업이 차입한 자본을 활용하여 수익성을 기대만큼 많이 올리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높은 레버리지 전략을 사용하여 기업이 매우 공격적인 투자나 사업을 실행하고 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예를들어 이자보상비율이 1보다도 작은 값이 나온다면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창출한 이익을 갖고 금융비용 등조차 감당할 수 없는 상태로 위험한 상태라 볼 수 있다. 부실한 기업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당연히 1보다는 커야 하고 크면 클수록 좋다고 해석할 수 있는데 꼭 엄청 높은 것이 좋다고 볼 수도 없다. 너무 낮지 않은 정도가 더 바람직하다고 보는 지표로서 보통 1.5~ 3.0 정도가 좋다고 보는 경우가 많다.
만약 이자보상비율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도 이자비용 자체가 너무 작아서 크다면 그 기업이 이자보상비율 측면에서 꼭 좋은 것으로 해석하기에 문제가 있을 수 도 있다.
이자비용자체가 작다는 것은 기업이 차입을 지나치게 자제해 사업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하고 있거나 기업이더 위험한 방법으로 자금조달을 하고 있을 수 도 있다는 것이다. 물론 현대차의 경우에 단기차입금의 경우 3개년도 평균 약 1조 5천억 원을 차입하였고 장기차입금의 경우에도 사채까지 합쳐서 약 4000억원의 차입을 하였다. 위의 설명처럼 이자비용 자체가 적은 것이 아니며 보고서의 현대차 성과를 봤을 때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영업활동현금흐름, 경상이익이 높기 때문에 이자보상비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이자보상비율이 높다는 점을 좋게 해석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부채상환계수는 차입원리금 상환도래분에 대해 기업의 최종성과로 부터 창출되는 내부자금으로 Cover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의 측정하는 것이다부채상환계수의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당기순이익 + 감가상각 + 기타상각 + 금융비용) / (단기차입금 + 유동성장기차입금 + 유동성사채 + 금융비용)부채상환계수가 높다는 것은 기업의 총 cash in과 cash out 을 비교할 때 in이 많다는 것이다. 높을수록 좋은 지표로서 영업실적이 굉장히 좋다거나 아니면 금융비용들을 확 줄이거나 하면 부채상환계수가 높아질 수 있다. 현대차의 부채상환계수 역시 양호함을 볼 수 있다.
현대차의 높은 매출채권 회전율과 재고자산 회전율을 보면 매출채권의 관리가 잘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재고자산의 관리 즉,자동차의 판매 역시 문제가 없음을 볼 수 있다.
위의 모든 정보를 종합해 봤을 때 대출심사자의 입장에서 현대차에 대출을 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판단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3. 증권 투자자
영업활동현금흐름이자보상비율
9.09
6.65
18.97
영업이익이자보상비율
7.66
6.43
7.25
(구)경상이익이자보상비율
9.75
7.15
13.27
법인세차감전순이익이자보상비율
9.75
7.15
13.27
이자보상비율은 증권 투자자입장에서도 좋은 지표가 된다. 현대차는 위의 2번 은행의 대출심사자 입장에서 분석했듯이 양호한 이자보상비율을 가지고 있다.
(단위 : 억원)
주요재무정보
연간
2007/12
2008/12
2009/12
매출액
306,197
321,898
318,593
영업이익
19,455
18,772
22,350
세전계속사업이익
22,220
17,950
37,813
당기순이익
16,824
14,479
29,615
자산총계
295,869
321,677
354,461
부채총계
113,843
125,154
134,171
자본총계
182,026
196,523
220,290
자본금
14,870
14,890
14,890
영업활동현금흐름
23,064
19,398
58,446
투자활동현금흐름
-21,088
-24,304
-42,625
재무활동현금흐름
-1,341
8,010
-10,788
영업이익률
6.4
5.8
7.0
순이익률
5.5
4.5
9.3
ROE
9.8
7.6
14.2
부채비율
62.5
63.7
60.9
PER
12.1
7.8
11.7
PBR
1.1
0.6
1.6
3년간 요약 재무제표로써 08년도에 비해 09년도 영업이익 약 3500억 원, 세전계속사업이익 약 2조 원, 당기순이익 1조 5000억 원 정도가 증가하였으며 위에서 분석했듯이 R&D와 자산에 대한 투자가 전년 대비 약 1조 8천억 원이 늘었고 재무활동 현금흐름을 보면 08년도 대비 09년도 부채 상환이 역시 약 1조 8천억 원이 증가한 걸 볼 수 있다.
이익 지표의 증가로도 기업이 건전하다는 것을 볼 수 있지만 부채의 많은 상환과 투자액의 증가는 증권 투자자 입장에서 기업의 재무구조가 건전하며 기업의 전망이 좋다는 것을 알게 해준다.
증가하는 영업이익률과 순이익률 역시 09년도 현대차의 선전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으며 ROE를 보면 09년도에 14.2%로 08년도 7.6%에 비해 거의 두배 증가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현대차의 부채비율이 3개년도 중에 09년이 제일 낮고 회사 자체의 레버리지 효과가 미비한 점을 봤을 때 매출액 순이익률 증가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위에서 봤듯이 순이익률은 08년도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앞으로 경기가 더 회복되어 부채 비율을 100% 이상으로 늘릴 경우 ROE가 20% 이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OE는 순자산이 증가하는 속도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주식 투자자에게 상당히 매력적인 주식이 될 것이다.
PER는 수치가 높으면 주가가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에 비해 높게 평가됐다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현대차의 경우 현대차의 올해 선전이 주식시장에 그대로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아래 현대차의 주식 차트는 12월 현대차의 신차 개발 소식과 맞물려 12월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위의 정보를 종합해 봤을 때 주식투자자 입장에서 현대차의 주식은 매력적이라고 판단된다.
추천자료
파리바게트 기업분석및 마케팅전략분석과 성공요인,시사점,미래전략분석
Ashley 애슐리 서비스마케팅 성공전략분석과 애슐리 미래전략제안 레포트, 애슐리 기업 개요,...
네이버 NAVER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네이버 경영전략 성공사례분석과 네이버 미래전략 제언 ...
제주항공 기업분석및 제주항공 서비스마케팅 전략분석및 제주항공 미래전략 제안 레포트
필립모리스 (Philip Morris) 기업분석과 마케팅전략 - 필립모리스 기업분석과 필립모리스 (말...
에버랜드everland vs 롯데월드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에버랜드,롯데월드 마케팅전략과 서비...
위메프 기업분석과 경영전략분석및 위메프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위메프 미래전략제...
도요타 TOYOTA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도요타 글로벌 경영전략과 마케팅전략 분석및 도요타 ...
맥도날드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맥도날드 마케팅전략과 서비스전략 분석및 맥도날드 미래전...
던킨도너츠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던킨도너츠 마케팅전략분석과 성공요인분석및 던킨도너츠 ...
[A+] 제주항공 기업현황분석과 성공요인/ 제주항공 마케팅전략사례와 기업전략연구/ 제주항공...
[ 애슐리 마케팅전략 PPT ] Ashley 애슐리 기업현황과 성공요인분석/ 애슐리 마케팅 SWOT,STP...
카카오페이 서비스분석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 및 카카오페이 미래전략제언 PPT
구찌 마케팅전략 연구- 구찌 GUCCI 브랜드성공요인과 마케팅 4PSTPSWOT분석및 구찌 미래전략제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