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일본 전통음악의 개요
▸ 일본 음악의 악기
▸ 일본 음악의 악보
▸ 일본 음악의 특징
▸ 일본 음악의 장르( 근대화 )
▸ 일본의 음악(시대별-1940년대부터)
▸ 현재 일본 음악 사정
▸ 일본 음악의 악기
▸ 일본 음악의 악보
▸ 일본 음악의 특징
▸ 일본 음악의 장르( 근대화 )
▸ 일본의 음악(시대별-1940년대부터)
▸ 현재 일본 음악 사정
본문내용
를 얻어내서 이전의 엔카를 재창조, 일명 "신엔카"로 이
후 89년 X-JAPAN의 데뷔 이전까지 100년 가까이 일본음악을 지배하고, 일본을 대표하는 거대한 장르로 커나갔다. 대표가수로는 89年 사망한 미소리 히바리가 있다.
◀미소리 히바리(본명:카토오 카즈에) 대표곡:카나시이사케(슬픈술)
- 60년대 : 세계에서 가장 최고의 그룹으로 떠오르는 비틀즈. 그 당시 비틀즈는
일본의 고도 성장과, 일본의 개방 물결을 타고 일본 내에서 가장 크게 그 영향을
발휘한 그룹이었다. 이 비틀즈의 영향을 받은 록큰롤과 포크송이 일본내에서도 크
게 유행이었다. 대표적으로 사카모토큐의 스키야키라는 노래가 있다.
▲사카모토큐 (미국 빌보드차트 1위 곡)
- 70년대 : TV영상산업이 크게 발전한 70년도, 이전 소니의 비디오 테이프 세계 표준화로 일본 대부분의 가정집에서는 비디오를 가지고 있었고, 이에 따라서 비디오산업(영상산업)이 크게 발전하게 된다. 이런 사람들의 기호에 맞추어 엔카와 이 시점에서 60년대의 록큰롤과 포크송 바람을 잠재운 아이돌 그룹 등의 노래, 라이브 공연, 뮤직비디오 등이 비디오로 탄생, 또다시 수많은 아이돌그룹이 만들어졌다.
대표적인 비디오 가수로는 핑크레이디가 있다. 60년대 비틀즈의 영향으로 잠깐 반
짝하고 70년대 와서 "영상물"이라는 거대한 빙산에 부딪힌 록큰롤, 포크 등의 장르는 아이돌 그룹이나 엔카에 크게 밀려나서 사실 상 대중 들의 관심 밖에 내버려
졌지만, 대도시의 뒷골목으로 들어가 그곳에서 음악생활을 하게 되는데, 바로 그곳이 라이브하우스로 발전하게 된다.
▲ 핑크 레이디 ▲츠쿠다 미츠요 ▲쿠와키 케이코
- 80년대 : 70년대 음악을 주도해온 아이돌이나 엔카 사운드의 영향이 80년대에 와서도 여전히 막강한 위력을 선보였다. 또한 뒷골목으로 쫓겨났던 60년대의 록큰롤과 포크가 그곳에서 막강한 위력을 갖게 되었다. 바로 언더그라운드(인디즈) 문화가 형성 된 것이다. 이를 따르는 언더그라운드 매니아들도 하나둘 생겨나기 시작했다. 언더그라운드가 꿈틀되기 시작할 때, 마치 덤벼 보라는 듯이 70년대의 영상물 아이돌의 후계자격인 아이돌 가수가 대거 등장했다. 그리고 80년대의 일본 버블경제가 만들어낸 암울하고, 문제가 많았던 당시 사회를 비판하면서, 펑크와 하드록이 하나 둘 생겨나기 시작했다. 역시 일본 락의 시발점이 되는 라우디네스(Loudness)가 있었지만, 미국에서나 조금 인기가 있었을 뿐 역시 일본 내에서는 언더그라운드 밴드로 밖에 취급받지 않았고, 엔썸, EZO등도 그와 비슷한 수난을 겪게 되었다. 그들이 빠뜨린게 있었으니, 70년대부터 꾸준히 길러진 아이돌 그룹과 100년 가까이 생명을 유지해 온 엔카와 맞붙을 핵심 '무기'가 없었던 것 이다.
이후 80년 대 후반기까지 이런 록그룹은 언더그라운드 취급을 받으며 계속 '핵심무기'를 찾지 못하고 제자리를 돌고 있었고, 아이돌 그룹과 엔카는 그 가능성을 계속 넓혀 갔다. 80년대가 저물어가는 89년, 엑스 재팬(X-JAPAN)이 끌고나온 '핵심무
기'가 있었으니, 바로 우리는 돈도 없고, TV에 내비칠 힘도 없으니, 대중에게 또 다르게 어필하고자 시작한 기형사운드인 비주얼 록이 새롭게 각광을 받게 되었
다. (Visual Rock:음악은 귀도 듣고, 눈으로도 듣는다)
- 90년대 : 소년대, 소녀대, 마츠다 세이코등 70년대 아이돌 계열이 낳았던
80년대 최고의 아이돌 스타들이 90년대를 1년 남기고 쇠퇴기에 접어들고, 89년 X-JAPAN이 몰고 왔던 비주얼 사운드가 크게 유행하였다. 따라서 밴드붐과 60년대
반짝했던 록큰롤이 다시 주목받게 되고, 비주얼 록 뿐 만 아니라 오리지널 록을이
지향하는 밴드들도 하나둘 생겨나기 시작했다. 90년대 들어서 엔카와 아이돌의 후
퇴, 그리고 신사운드 비주얼의 탄생, 이런 대대적인 물갈이 속에서 그 틈새를 비집
고 들어온 빙계열(비즈나 자드)사운드, 일본에서도 록이 통했다며 댄스 불모지에
뛰어든 댄스계열 까지 수많은 장르들이 대량 생산되었던 시대라고 볼 수 있겠다.
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 미국의 영향을 받아 R&B나 힙합도 유행하기 시작했다. 또
한 아티스트들은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독자적인 음악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추
가하자면, 부모세대에 인기가 있었던 곡을 현대의 인기아티스트가 다시 부름(리메이크)으로써 젊은이들은 그 아티스트에게 지금까지와는 다름 신선함을, 부모 세대
는 향수를 느끼게 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리메이크 열풍이 불어, 부모세대와 자식
세대간의 매개가 되고 있다.)
▲ 소녀대 ▲ 소년대
- 2000년대 ~ 현재 : 우타다 히카루, 하마사키 아유미, 모닝 구스메 여성 아티스트들이 인기가 상승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비주얼 록은 점점 약화 지고, 여성 아티스트들과 새로운 사운드를 선보이는 신인들 그리고 이어지는 아이돌 그리고 몰아 닥친MP3 바람, 이렇다 할 작품이 크게 없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 와중에 2002년은 최악의 불황을 겪은 해였다. 12년만에 닥친 최악의 불황
으로 영원한 인기인들인 하마사키 아유미, 미스터 칠드런, 모닝 구스메가 체면만 겨우 유지할 수 있었고 음반의 불황을 깨주는 음악은 나오지 못한 한해였다. 다시 말해, 현재 일본 앨범 최고의 불황으로 그렇다할 신인들이 나오지 못하며 빅 밴드와 빅 가수들만이 자신들의 이름을 걸고 그렇다할 만족스럽지 못하는 세일즈를 계속 이어나가고 있다. 덧 붙여서, 90년대 후반 매년 역대 판매량을 갈아치우던 일본 시장은 MP3의 바람을 견디지 못한 채 계속 후퇴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메이저에서 역할을 잘못해주니 인디밴드들의 인기가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일본 음악 사정
세계 음악업계에서 일본의 시장 점유율은 16~17%로, 미국 다음으로 세계 2위의 음악대국이라고 할 수 있다. 음질 저하 없이 압축할 수 있는 MP3방식 개발을 계기로 인터넷에 의한 음악 배급이 실현되어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CD판매 부진이나 저작권을 무시한 인터넷 배급이 속출하고 있어 업계 전체적으로 새로운 도전과 개혁이 요구되고 있다.
후 89년 X-JAPAN의 데뷔 이전까지 100년 가까이 일본음악을 지배하고, 일본을 대표하는 거대한 장르로 커나갔다. 대표가수로는 89年 사망한 미소리 히바리가 있다.
◀미소리 히바리(본명:카토오 카즈에) 대표곡:카나시이사케(슬픈술)
- 60년대 : 세계에서 가장 최고의 그룹으로 떠오르는 비틀즈. 그 당시 비틀즈는
일본의 고도 성장과, 일본의 개방 물결을 타고 일본 내에서 가장 크게 그 영향을
발휘한 그룹이었다. 이 비틀즈의 영향을 받은 록큰롤과 포크송이 일본내에서도 크
게 유행이었다. 대표적으로 사카모토큐의 스키야키라는 노래가 있다.
▲사카모토큐 (미국 빌보드차트 1위 곡)
- 70년대 : TV영상산업이 크게 발전한 70년도, 이전 소니의 비디오 테이프 세계 표준화로 일본 대부분의 가정집에서는 비디오를 가지고 있었고, 이에 따라서 비디오산업(영상산업)이 크게 발전하게 된다. 이런 사람들의 기호에 맞추어 엔카와 이 시점에서 60년대의 록큰롤과 포크송 바람을 잠재운 아이돌 그룹 등의 노래, 라이브 공연, 뮤직비디오 등이 비디오로 탄생, 또다시 수많은 아이돌그룹이 만들어졌다.
대표적인 비디오 가수로는 핑크레이디가 있다. 60년대 비틀즈의 영향으로 잠깐 반
짝하고 70년대 와서 "영상물"이라는 거대한 빙산에 부딪힌 록큰롤, 포크 등의 장르는 아이돌 그룹이나 엔카에 크게 밀려나서 사실 상 대중 들의 관심 밖에 내버려
졌지만, 대도시의 뒷골목으로 들어가 그곳에서 음악생활을 하게 되는데, 바로 그곳이 라이브하우스로 발전하게 된다.
▲ 핑크 레이디 ▲츠쿠다 미츠요 ▲쿠와키 케이코
- 80년대 : 70년대 음악을 주도해온 아이돌이나 엔카 사운드의 영향이 80년대에 와서도 여전히 막강한 위력을 선보였다. 또한 뒷골목으로 쫓겨났던 60년대의 록큰롤과 포크가 그곳에서 막강한 위력을 갖게 되었다. 바로 언더그라운드(인디즈) 문화가 형성 된 것이다. 이를 따르는 언더그라운드 매니아들도 하나둘 생겨나기 시작했다. 언더그라운드가 꿈틀되기 시작할 때, 마치 덤벼 보라는 듯이 70년대의 영상물 아이돌의 후계자격인 아이돌 가수가 대거 등장했다. 그리고 80년대의 일본 버블경제가 만들어낸 암울하고, 문제가 많았던 당시 사회를 비판하면서, 펑크와 하드록이 하나 둘 생겨나기 시작했다. 역시 일본 락의 시발점이 되는 라우디네스(Loudness)가 있었지만, 미국에서나 조금 인기가 있었을 뿐 역시 일본 내에서는 언더그라운드 밴드로 밖에 취급받지 않았고, 엔썸, EZO등도 그와 비슷한 수난을 겪게 되었다. 그들이 빠뜨린게 있었으니, 70년대부터 꾸준히 길러진 아이돌 그룹과 100년 가까이 생명을 유지해 온 엔카와 맞붙을 핵심 '무기'가 없었던 것 이다.
이후 80년 대 후반기까지 이런 록그룹은 언더그라운드 취급을 받으며 계속 '핵심무기'를 찾지 못하고 제자리를 돌고 있었고, 아이돌 그룹과 엔카는 그 가능성을 계속 넓혀 갔다. 80년대가 저물어가는 89년, 엑스 재팬(X-JAPAN)이 끌고나온 '핵심무
기'가 있었으니, 바로 우리는 돈도 없고, TV에 내비칠 힘도 없으니, 대중에게 또 다르게 어필하고자 시작한 기형사운드인 비주얼 록이 새롭게 각광을 받게 되었
다. (Visual Rock:음악은 귀도 듣고, 눈으로도 듣는다)
- 90년대 : 소년대, 소녀대, 마츠다 세이코등 70년대 아이돌 계열이 낳았던
80년대 최고의 아이돌 스타들이 90년대를 1년 남기고 쇠퇴기에 접어들고, 89년 X-JAPAN이 몰고 왔던 비주얼 사운드가 크게 유행하였다. 따라서 밴드붐과 60년대
반짝했던 록큰롤이 다시 주목받게 되고, 비주얼 록 뿐 만 아니라 오리지널 록을이
지향하는 밴드들도 하나둘 생겨나기 시작했다. 90년대 들어서 엔카와 아이돌의 후
퇴, 그리고 신사운드 비주얼의 탄생, 이런 대대적인 물갈이 속에서 그 틈새를 비집
고 들어온 빙계열(비즈나 자드)사운드, 일본에서도 록이 통했다며 댄스 불모지에
뛰어든 댄스계열 까지 수많은 장르들이 대량 생산되었던 시대라고 볼 수 있겠다.
9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 미국의 영향을 받아 R&B나 힙합도 유행하기 시작했다. 또
한 아티스트들은 장르에 구애받지 않고 독자적인 음악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추
가하자면, 부모세대에 인기가 있었던 곡을 현대의 인기아티스트가 다시 부름(리메이크)으로써 젊은이들은 그 아티스트에게 지금까지와는 다름 신선함을, 부모 세대
는 향수를 느끼게 하였다. (우리나라 또한 리메이크 열풍이 불어, 부모세대와 자식
세대간의 매개가 되고 있다.)
▲ 소녀대 ▲ 소년대
- 2000년대 ~ 현재 : 우타다 히카루, 하마사키 아유미, 모닝 구스메 여성 아티스트들이 인기가 상승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비주얼 록은 점점 약화 지고, 여성 아티스트들과 새로운 사운드를 선보이는 신인들 그리고 이어지는 아이돌 그리고 몰아 닥친MP3 바람, 이렇다 할 작품이 크게 없었던 시기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 와중에 2002년은 최악의 불황을 겪은 해였다. 12년만에 닥친 최악의 불황
으로 영원한 인기인들인 하마사키 아유미, 미스터 칠드런, 모닝 구스메가 체면만 겨우 유지할 수 있었고 음반의 불황을 깨주는 음악은 나오지 못한 한해였다. 다시 말해, 현재 일본 앨범 최고의 불황으로 그렇다할 신인들이 나오지 못하며 빅 밴드와 빅 가수들만이 자신들의 이름을 걸고 그렇다할 만족스럽지 못하는 세일즈를 계속 이어나가고 있다. 덧 붙여서, 90년대 후반 매년 역대 판매량을 갈아치우던 일본 시장은 MP3의 바람을 견디지 못한 채 계속 후퇴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메이저에서 역할을 잘못해주니 인디밴드들의 인기가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일본 음악 사정
세계 음악업계에서 일본의 시장 점유율은 16~17%로, 미국 다음으로 세계 2위의 음악대국이라고 할 수 있다. 음질 저하 없이 압축할 수 있는 MP3방식 개발을 계기로 인터넷에 의한 음악 배급이 실현되어 급속히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CD판매 부진이나 저작권을 무시한 인터넷 배급이 속출하고 있어 업계 전체적으로 새로운 도전과 개혁이 요구되고 있다.
추천자료
외국의 영화음악 (정의, 종류, 역사, 각 나라별, 기능 및 특징 등)
[모차르트음악][모짜르트음악]모짜르트(모차르트)의 성장과 천재성, 모짜르트(모차르트)의 생...
음악치료의 특징과 방법, 효과
[가락][가락 종지형태][가락보][가락 감상방법][가락짓기][가락짓기지도][전통음악]가락의 개...
한류 산업의 정의, 특징, 유래, 파급 효과, 음악, 중요성, 국내외 시장현황, 성공사례, 각국...
[일본건축 특징][일본건축 건축사][일본건축 환경친화적건축][일본건축 현대건축][일본건축 ...
15세기 이탈리아 음악의 특징과 경향에 대해
[A+] 독일의 음악(바로크에서 낭만까지) - 독일음악 특징, 바로크시대 시대적배경, 바흐, 빈 ...
[일본광고, 일본광고 특징, 일본광고 광고비, 일본광고와 광고시청률, 인터넷광고]일본광고의...
[일본관광, 일본관광 특징, 일본관광 현황, 일본관광 교류확대, 일본관광 상품화]일본관광의 ...
[일본방송통신융합, 일본방송통신융합 특징, 디지털방송]일본방송통신융합의 특징, 일본방송...
[일본BS디지털방송, 일본BS디지털방송 특징, 일본BS디지털방송 현황, 일본BS디지털방송 문제...
일본드라마의 장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