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과학 - 양파 근단세포의 유사분열 관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명과학 - 양파 근단세포의 유사분열 관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실험 목적
2. 실험관련 이론
1) 세포주기
2) 동물세포 VS 식물세포의 세포질 분열
3) 체세포 분열 VS 생식세포 분열
3. 실험기구 및 재료
4. 실험 방법

Ⅱ. 본론

Ⅲ. 결론

Ⅳ. 고찰

본문내용

고정액(acetic acid : EtOH = 3 : 1)에 12시간 이상 담근다.
③ 70% EtOH로 씻은 후 70% EtOH에 담가 4℃에 보관한다.
B. 해리
① 1N HCI Solution 55℃로 가열한다.
② 거즈에 근단을 싸고 55℃~60℃정도 유지된 1N HCI Solution에 놓고 8분간 방치
③ 근단을 물에 담긴 petri-dish에 옮긴다.
C. 염색
① slide glass 위에서 근단 끝 1mm만 남기고 잘라 낸다.
② orcein을 한 방울 떨어뜨리고 2개의 해부침으로 근단을 잘게 찢는다.
③ orcein을 충분히 떨어뜨린 다음 Cover glass를 덮고, 10분간 staining한다.
④ filtter paper를 덮고 오른손 검지손가락으로 세게 눌러 근단 표본을 완전히 편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X 400)
Ⅱ. 본론
Ⅲ. 결론
: 고등학교 때 체세포 분열 감수분열을 배우게 되면서 간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의 형태를 알게 되었다. 하지만 직접 눈으로 보게 될수 있을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나는 유사분열을 광학현미경으로는 관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처음에 실험하기 전에 약간의 의문을 가졌다. ‘아 정말 관찰이 잘 될까?’ 라는 의문을 가졌다. 하지만 광학현미경으로 관찰을 하게 되면서 나는 왜 이런 의문을 가졌을까 내 자신을 되돌아보게 되었다. 정말 신기했다. 그리고 유사분열은 빠르게 진행되는 과정인데 그것을 고정시켜서 관찰할 수 있다는 것이 너무 신기 했다. 나중에는 고정시켜서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내 눈으로 직접 간기부터 말기까지의 과정을 그대로 보고 싶다. 그리고 동물세포와 식물세포는 세포질 분열이 일어날 때 다르기 때문에 그것도 비교해보면서 관찰해보고 싶다.
Ⅳ. 고찰
◆ 1N 염산을 사용하는 이유는?
: 표피의 단단한 부분을 연하게 무력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 양파근단으로 유사분열을 관찰하는 이유는?
: 양파 근단에서는 체세포 분열이 매우 활발하게 일어난다. 그래서 광학현미경을 사용해도 육안으로 관찰 할 수 있다.
◆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세포분열과정 중 차이점은?
: 식물세포와 동물세포의 세포분열과정 중 차이점은 세포질 분열을 할 때 차이가 나타난다. 동물세포는 적도면 부근에서 세포막이 안쪽으로 함입하여 세포질을 분리함으로써 2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하지만 식물세포는 세포의 중앙에 세포판이 만들어지고, 이것이 바깥쪽으로 성장하여 세포질을 분리함으로써 2개의 딸세포가 만들어진다.
◆ 염색하는 과정에서 오른손 검지로 왜 세게 눌러주는가?
: 세포를 펴서 보고 겹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눌러준다.
◆ 해부침으로 근단을 잘게 찢는 이유는 무엇인가?
: 겉에 있는 딱딱한 벽으로부터 안에있는 세포부분을 드러내기 위해서 해부침으로 근단을 잘게 찢는다,
◆ 동물세포는 중심립으로부터 방추사가 만들어지는데 식물세포는 중심립이 존재하지 않는데 어떻게 방추사가 형성되는가?
: 동물세포의 방추사는 두 중심립 사이에서 방추사가 생성되어 이것이 분열기에 별모양의 성상체로 되고 양극에서 기저체로 형성되어 각 염색체의 동원체에 결합한다. 하지만 식물세포의 경우는 중심체가 없기 때문에 방추사를 형성할 수 없을 것 같지만 이를 해결해주는 물질이 극모에서 방추사가 생성되어 동원체에 결합되어 염색체를 이동시킨다.
◆ 양파의 구근에서 정단부분을 구별하는 방법은?
: 정단부분에는 세포들이 더욱더 많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곳 보다 더 하얗게 보인다. 그것으로 정단부분을 구별할 수 있다.
◆ 고정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 세포분열하고 있는 상태들의 세포들을 일시 정지시켜 관찰하기 위해서 고정액을 사용한다.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12.06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