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공학실험 - 신호와 잡음, 그리고 접지 결과 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자공학실험 - 신호와 잡음, 그리고 접지 결과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어 전기장치 를 차폐시킨다.(등전위가 되므로) 또,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2) 접지선은 전지장치의 안정적인 사용을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고 해설에 나와 있는데 그 이유를 설명하라.
전기장치에도 전류가 흐르고 있지만, 이 전류는 접지선을 통해 대지(earth)로 가게된다. 만약 접지가 되지 않은 상태라면 전기장치 주위엔 전류가 흐르고 있고, 이걸 직접 만지게 되면 감전의 위험이 있다. 그러나 접지가 된 상태라면 사람의 저항보다 대지(earth)가 상대적으로 저항이 작으므로 전류가 대지(earth)로 빠져나가게 되어 감전되지 않는다.
3) 전자장치의 성능을 나타내는 자료집을 보면 규격이 나와 있다. 이 중 전자파에 대한 규격은 무엇인지 적고 그것에 대해 설명하라.
SAR(Specific Absorption Rate : 전자파 인체 흡수율) : 주로 무성주파수 대역에서 노출원과 피노출체간의 정량화를 위한 것이다. 대부분 생체조직의 투과율은 자유공간과 동일하므로 높은 무성주파수 대역에서 모든 경우의 예측되는 상호작용은 전기장에 관련된 메카니즘을 통해 발생하며, 이 전기장 크기과 인체의 매질 특성 에 의존하는 파라메터가 SAR이라 할 수 있다.
EMC(Electro Magnetic Compaptibility : 전자기 적합성) : 자신이 얼마나 잡음원이 되는가와 외부 잡음으로 부터 얼마나 강한가를 수치적으로 규정. 즉 전자파 장애(EMZ :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의 전자파 내성(EMS : Electro Magnetic Susceptibility)또는 전자파 방해에 대한 내성의 적절한 균형이라고 할 수 있다.
4) 특정한 주파수만을 선택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은 어떻게 만들 수 있는지를 LPF와 HPF 개념으로 설명해 보라.

실험 4의 잡음제거회로에서 저항과 커패시터의 위치를 바꾸고 측정하면 옆의 그림과 같이 측정된다.
즉, 고주파수는 통과시키고 반대는 통과시키지 않는 Filter이다.
LPF(Low Pass Filter) : 저주파수는 통과시키고 고주파수는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
HPF(High Pass Filter) : 고주파수는 통과시키고 저주파수는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
특정한 주파수만을 선택할수 있는 회로 구성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LPF의 차단 주파수가 HPF의 차단주파수 보다 높아야 한다. 만약 LPF의 차단 주파수가 2Khz이고 HPF의 차단주파수가 1Khz이면 2Khz 이상의 고주파수와 1Khz이하의 저주파수는 차단된다. 즉 1~2Khz만 통과시키는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5. 소감
이 실험을 통해 여러 가지 회로에 존재하는 잡음을 알게 되었다. 평소 잡음에 대해서는 여기저기에서 들은바 가 많았지만 실제로 실험에서 다루니 조작하기도 어렵고 깊은 의미로 하나하나들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또 실험 1장에서 오실로스코프 조작법을 배워서 2장에서는 조작이 쉬울 줄 알았으나 역시 아직은 미숙한 점 이 많은 것 같다. 조금 더 연습하여 익숙하게 만질 수 있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2.06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2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