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유동인구 (중국의 호적제도와 유동인구의 변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의 유동인구 (중국의 호적제도와 유동인구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능력이 급속도록 떨어지기 시작하였다. 향진기업에 흡수되지 못한 농촌의 잉여 노동력을 대도시 또는 연해지역으로 이동하였다. 여기에 더하여 향진기업의 지역간 불균형 발전 역시 ‘이토우이향(離土又離鄕: 토지[농업]도 떠나고 고향[농촌]도 떠난다)’현상을 심화시켰다. 또한 외국자본의 유입에 따른 삼자기업(三子企業)의 발달 역시 특정 지역에 집중되고 이들이 주변의 농촌 잉여노동력은 물론 다른 성의 농촌의 잉여노동력을 대량으로 흡수하면서 삼자기업이 발달한 지역으로의 ‘이토우이향’ 현상이 심화되었다. 대표적인 지역이 광동성, 특히 심천, 주해, 동완, 등 주강 삼각주 지역이다. 이들 지역은 1980년대 중반부터 외국자본이 유입 시작하여 외국자본은 계속해서 증가하였다.
1989년 천안문 사건 이후 주춤하였던 개혁의 열기가 1992년 등소평은‘남순강화(南巡講話)’이후 새로이 확산되면서 경제발전이 급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유동인구에 대한 국가정책도 큰 변화를 맞게 된다. 등소평이 남순강화에서 강조한 ‘지속적인 개혁-개방’정책에 따라서 유동인구에 대해서 더욱더 개방적인 정책들이 수립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서 유동인구수도 급속히 증가하여 1993년부터 1994년 까지 ‘민공조’가 최고조에 이르렀다. 1990년대 중반에 이르면 전국의 총 유동인구수는 1억에 이르게 된다.
유동인구를 발생시킨 이유는 대량의 농촌 잉여 노동력을 발생시킨 농가생산책임제의 실시, 농촌 노동력을 흡수한 향진기업의 발달 및 ‘이토우이향’ 현상을 심화시킨 향진기업의 지역 간 불균형 발전, 급속한 도시경제의 발달 및 도시정부의 일반적인 개혁 프로그램 등이 개혁-개방이후 농촌노동력의 대규모 이동을 촉발시킨 요인들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농업소득의 상대적인 감소와 도시편향적인 정책으로 인한 도시-농촌 간 소득격차, 대도시에서의 3차 산업 및 사영경제의 급속한 성장, 그리고 연해와 내륙의 소득격차를 확대시킨 연해지역 우선의 발전전략들은 1980년 후기 농촌에서에서 도시지역으로의 유동방향을 가속시켜왔다.
참고문헌
①중국 개혁-개방의 정치경제 1980-2000, 정재호편, p243-312
②중국 조선족의 인구이동과 호적제도, 이승우,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국제학술회의 34, 2004.4, 347-366 (20 pages)
③중국 인구정책에 따른 최근 인구동향 변화에 대한 고찰, 문용, 대한보건협회학술지 제26권, 제2호,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11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6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