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ne*cm 가량 감소하였다. 2회 실험에서는 운동량은 충돌 후 약 1532.9g*cm/s 가량 낮게 감소되었고 총 에너지는 약 983898.3dyne*cm 가량 감소하였다.
1회 실험은 이론적으로 충돌 후 피사체1과 피사체2는 서로 붙은 상태에서 약 31.57cm/s 의 등속도로 운동하면서 운동량이 보존되고 총 에너지가 289472.8dyne*cm 가량 감소한다. 그런데 충돌 후 운동량이 증가하였고 총 에너지는 이론보다 67441.97dyne*cm 적게 감소하였다. 2회 실험에선 이론적으로 충돌 후 약 60.857cm/s의 속도로 운동량이 보존되고 총 에너지는 893710.4dyne*cm 감소하나 충돌 후 운동량이 감소하였고 총 에너지는 이론보다 282073.1dyne*cm 적게 감소하였다.
오차의 원인은 여러 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다. 앞서 했던 실험에서처럼 에어트랙에서 방출되는 바람으로 활차가 -x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러므로 2회 실험의 경우에는 -x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에 의해 충돌 전 운동량과 충돌 후 운동량이 다르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데이터를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피사체가 이론과는 달리 미세하게 등속도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간마다 미세하게 거리의 변화량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운동량 보존 법칙이 성립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실험 과정에서 실수에 의한 오차는 없는 것 같다. 따라서 기계적 오차만 존재할 것이다. 그러므로 첫 번째 실험과 마찬가지로 에어트랙의 공기에 의한 오차를 고려하고 계산한다면 어느 정도 이론값에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회 실험은 이론적으로 충돌 후 피사체1과 피사체2는 서로 붙은 상태에서 약 31.57cm/s 의 등속도로 운동하면서 운동량이 보존되고 총 에너지가 289472.8dyne*cm 가량 감소한다. 그런데 충돌 후 운동량이 증가하였고 총 에너지는 이론보다 67441.97dyne*cm 적게 감소하였다. 2회 실험에선 이론적으로 충돌 후 약 60.857cm/s의 속도로 운동량이 보존되고 총 에너지는 893710.4dyne*cm 감소하나 충돌 후 운동량이 감소하였고 총 에너지는 이론보다 282073.1dyne*cm 적게 감소하였다.
오차의 원인은 여러 가지를 생각해볼 수 있다. 앞서 했던 실험에서처럼 에어트랙에서 방출되는 바람으로 활차가 -x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그러므로 2회 실험의 경우에는 -x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에 의해 충돌 전 운동량과 충돌 후 운동량이 다르게 나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데이터를 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피사체가 이론과는 달리 미세하게 등속도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구간마다 미세하게 거리의 변화량이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므로 운동량 보존 법칙이 성립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실험 과정에서 실수에 의한 오차는 없는 것 같다. 따라서 기계적 오차만 존재할 것이다. 그러므로 첫 번째 실험과 마찬가지로 에어트랙의 공기에 의한 오차를 고려하고 계산한다면 어느 정도 이론값에 근접한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길이측정
충돌에 의한 선운동량 보존 실헙보고서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 보존
회전 관성모멘트의 측정 실험
Hook의 법칙, 고체의 탄성 및 조화진동
기초물리 법칙(열역학 법칙,뉴턴의법칙, 만유인력과 케플러의법칙 등)
[질량, 질량측정, 몰질량, 분자질량] - 질량의 종류, 질량측정방법, 몰질량의 측정연구, 회...
LAT를 이용한 등가속도 측정
중력가속도 측정[Gravity acceleration]
[물리학] 용수철 상수의 측정
[운동량][운동량 개요][운동량과 운동량보존][운동량과 각운동량보존][운동량과 선운동량][평...
[증기압, 증기압 정의, 증기압 측정, 헨리상수, 에탄올실험, 비활성 기체]증기압의 정의, 증...
자유낙하 운동
일반 물리학 실험 구심력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