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일단 오차가 생긴 원인 중 실험적 측면을 분석해보자. 우선 시험관에 Acetonitrile 10㎖를 넣을 때 스포이드 끝에 생긴 Air에 의해서 Acetonitrile 의 양이 더 많거나 적게 들어갈 수 있다. 스포이드를 다루는 것이 마이크로 실린지보다 어려워서 오차가 났을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이것이 시료를 HPLC기기에 주입했을 때 정지상이 시료를 잡아당기는 Retention time이나 peak 의 폭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결과를 보면 벤젠, 톨루엔, 자일렌을 각각 실험했을때 생긴 retention time 이나 peak의 폭이 벤젠+톨루엔 이나 벤젠+톨루엔+자일렌 일때의 그것과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는 마이크로 실린지를 이용해 4㎕의 벤젠, 톨루엔, 자일렌시료를 측정해서 시험관에 넣을 때나 시험관에서 시료를 꺼내서 HPLC에 Injection할때 생길 수 있는 오차이다. 물론 ㎕의 적은 수치로 오차가 났겠지만 그 적은 양이라도 HPLC에서 나온 결과값에 상당히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만약 HPLC 기기가 제대로 작동하고 작동 중간에 어떤 오차도 발생하지 않았다면 결과값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오차에는 위 두가지가 있겠지만 HPLC에 의한 실험에서도 기기문제로 아주 미세량이라도 오차가 생겼을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시료를 시험관에 넣고 있을 때 시료의 증발도 배제할 수 없는 원인일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화학적 원인이다. 일단 retetion time 이 벤젠과 톨루엔, 자일렌이 서로 다른 이유는 고정상이 시료의 C를 잡아당기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일렌은 C의 작용기가 가장 많아서 가장 늦게 떨어지고 그 다음으로 C 작용기가 많은 톨루엔은 자일렌보다 빨리 떨어지고 C 작용기가 가장 적은 벤젠이 가장 빨리 컬럼을 통과 할 수 있어서 Retention time 이 가장 짧은 것이다. 그렇게 해서 각각의 리텐션 타임과 면적 등을 구했다. 그러나 이 시료들을 두 개, 혹은 세 개 섞어서 HPLC기기에 Injection 하면 조금 다른 현상이 일어난다. 즉 시료를 혼합해서 기기에 주입하면 고정상 컬럼에선 C 작용기가 상대적으로 많이 오므로 C를 더 많이 잡아두려고 한다. 그런데 이 C를 잡아두려는 성질이 각각의 시료를 혼합하지 않고 따로 넣었을 때의 C작용기를 끄는 인력과 다를 것이다. 특히 이 인력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에게 골고루 똑같이 작용하진 않을 것이다. 즉 C작용기가 많은 자일렌에 자일렌 하나만 넣었을 때보다 더 강한 인력이 작용하여 자일렌의 Retention time 이처음보다 길어지고 면적과 peak의 폭 역시 달라지게 된 것이다. 이는 톨루엔이나 벤젠을 봐도 마찬가지다. 실험 값을 보면 벤젠의 retention time의 오차는 그리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xylene의 retention time 의 차이는 꽤 크다.
이런 실험적 오차와 화학적 작용으로 인하여 실험값이 이론보다 달라지게 된 것이다. 이번 실험은 LLE에 비해 시간이 짧았는데 그 이유 중 큰 부분이 HPLC기기는 GC기기에 비하여 한번 시료 주입후 3~5분 정도 쉴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HPLC는 3~5분 기간 후에 시료를 주입할 필요없이 바로 다음 시료를 넣어도 되기 때문에 GC보다 편리하고 좋은 것 같이 느껴졌다. 실험 도중 컴퓨터의 키보드가 별로 작동을 잘 하지 않아 황당했지만 실험 기기나 다른 기타 조건은 좋았던 것 같다. HPLC실험으로 액체의 chromatography에 대해 한걸음 더 배운 것 같고 실험적으로 더 많은 것을 얻은 것 같아 보람된 실험이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화학적 원인이다. 일단 retetion time 이 벤젠과 톨루엔, 자일렌이 서로 다른 이유는 고정상이 시료의 C를 잡아당기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일렌은 C의 작용기가 가장 많아서 가장 늦게 떨어지고 그 다음으로 C 작용기가 많은 톨루엔은 자일렌보다 빨리 떨어지고 C 작용기가 가장 적은 벤젠이 가장 빨리 컬럼을 통과 할 수 있어서 Retention time 이 가장 짧은 것이다. 그렇게 해서 각각의 리텐션 타임과 면적 등을 구했다. 그러나 이 시료들을 두 개, 혹은 세 개 섞어서 HPLC기기에 Injection 하면 조금 다른 현상이 일어난다. 즉 시료를 혼합해서 기기에 주입하면 고정상 컬럼에선 C 작용기가 상대적으로 많이 오므로 C를 더 많이 잡아두려고 한다. 그런데 이 C를 잡아두려는 성질이 각각의 시료를 혼합하지 않고 따로 넣었을 때의 C작용기를 끄는 인력과 다를 것이다. 특히 이 인력은 벤젠, 톨루엔, 자일렌에게 골고루 똑같이 작용하진 않을 것이다. 즉 C작용기가 많은 자일렌에 자일렌 하나만 넣었을 때보다 더 강한 인력이 작용하여 자일렌의 Retention time 이처음보다 길어지고 면적과 peak의 폭 역시 달라지게 된 것이다. 이는 톨루엔이나 벤젠을 봐도 마찬가지다. 실험 값을 보면 벤젠의 retention time의 오차는 그리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xylene의 retention time 의 차이는 꽤 크다.
이런 실험적 오차와 화학적 작용으로 인하여 실험값이 이론보다 달라지게 된 것이다. 이번 실험은 LLE에 비해 시간이 짧았는데 그 이유 중 큰 부분이 HPLC기기는 GC기기에 비하여 한번 시료 주입후 3~5분 정도 쉴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HPLC는 3~5분 기간 후에 시료를 주입할 필요없이 바로 다음 시료를 넣어도 되기 때문에 GC보다 편리하고 좋은 것 같이 느껴졌다. 실험 도중 컴퓨터의 키보드가 별로 작동을 잘 하지 않아 황당했지만 실험 기기나 다른 기타 조건은 좋았던 것 같다. HPLC실험으로 액체의 chromatography에 대해 한걸음 더 배운 것 같고 실험적으로 더 많은 것을 얻은 것 같아 보람된 실험이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웹서버 관리 리포트
조립피씨 레포트
호흡기내과 폐암, 만성폐쇄성폐질환 대상자 실습 리포트
정보가전 레포트 1주차 2주차 3주차 모두정리 리포트 / 시험정보까지정리
[경영과의사결정]엘지텔레콤 기업분석 및 경영전략(A+리포트)
[소비자행동론]젊은층을 타겟으로 한 언더웨어 'BYC' 통합커뮤니케이션 전략(A+리포트)
[마케팅조사]무선인터넷 LGT '오즈' 의 마케팅전략 분석 및 전망(A+리포트)
[A+리포트]중국과 러시아의 외교정책 비교분석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의한카페인분석-1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의한카페인분석-3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의한카페인분석-4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의한카페인분석-5
모의투자게임 리포트
열전대 실험 결과리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