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A. 교수들의 기대
i.충실성
ii.창의성
B. 글의 형식
I. 제목
ii. 목차
iii. 서론
iv. 결론
v. 참고문헌
vi. 본론
III. 결론
II. 본론
A. 교수들의 기대
i.충실성
ii.창의성
B. 글의 형식
I. 제목
ii. 목차
iii. 서론
iv. 결론
v. 참고문헌
vi. 본론
III. 결론
본문내용
저작권 위반으로 구속되는 일이야 없겠지만 가능하면 밝히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의 수는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5개 이상이 좋습니다. 한두 개의 참고문헌만 있다면 그 리포트는 그 참고문헌에 아주 많이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 됩니다. 다시 말하면 베낀 수준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참고문헌이 다섯이면 다섯 자료를 베낀 것이고 하나면 하나의 자료를 베낀 것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당연히 다섯 자료를 베낀 자료가 우수합니다. 하나만 베낀 것은 도용입니다만 다섯 자료를 취합해서 하나로 만들어내는 것은 창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약적인 생각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교수들의 경우를 보면 교수들이 작성하는 논문에는 대게 20~50개의 참고문헌이 붙습니다. 그렇게 많은 글들을 보고 분석하고 정리하고 거기에 자신의 생각을 덧붙인 것입니다. 가능하면 많은 문헌을 보시고 그것을 참고문헌에 기록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을 기록하시는 형식은 간단합니다. 도서의 경우는 저자, 제목,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페이지를 쓰시면 되고 웹사이트의 경우는 저자, 제목, 사이트 URL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몇 가지 예입니다.
홍길동, 리포트 작성 및 평가에 대한 안내, 해피캠퍼스 출판사, 2002, pp.
12-30.
Gildong Hong, Writing and Grading Guide of Report, Happy Campus
Publish, 2002, pp. 12-30.
gdhong, 리포트 작성 및 평가에 대한 안내, www.happycampus.com.
vi. 본론
본론은 전체 평가의 2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본론은 조사 내용의 기록 및 주장을 전개하는 곳입니다. 글의 내용이 논리적으로 잘 이어져야 하고 편집 방법도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수들은 본문을 볼 때 편집상태를 먼저 살피게 됩니다. 문단과 문단이 잘 구분되어 내용의 전개가 명확한지 확인하게 됩니다. 문단이 어디서 시작해서 어디서 끝나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편집이 어지럽게 된 자료는 더 이상 볼 가치가 없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오자가 많고 맞춤법이 많이 틀린 자료는 급하게 작성해서 그 충실성이 낮다고 판단합니다. 한마디로 눈을 아프게 만드는 자료는 보기 싫어하고 좋은 점수를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같은 내용이라도 글로 표현하느냐 그래프나 수식으로 표현하느냐에 따라 읽는 사람의 이해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교수들은 글보다는 그림으로 내용을 더 빨리 이해합니다. 글은 읽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그림은 한눈에 알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교수들은 숫자와 기호 등에 아주 익숙한 사람들입니다. 긴말보다는 가능하면 수식, 그래프, 기호, 그림 등으로 도식화된 자료를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수식, 그래프, 기호 등은 글로 표현될 때보다 오해의 소지가 훨씬 적기 때문입니다. 어떤 문서작성기를 사용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수식과 그래프, 그림 등을 편집할 수 있는 능력을 빨리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III. 결론
본 글은 출제자인 교수의 입장에서 어떤 리포트가 잘 만들어진 리포트이며, 어떻게 해야 교수의 마음에 들도록 리포트를 잘 쓸 수 있는가 하는 방법을 정리한 것입니다. 물론 당장 학부생이 교수의 시각을 갖기는 힘들 것입니다. 그렇지만 많은 글을 읽고 공부하면서 그 속에서 중요한 글은 무엇이며 좋은 글은 무엇인지 찾아내고 각각에 대해 합리적인 평가를 하려는 자세를 갖는다면 쉽게 공감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모쪼록 해피캠퍼스를 이용하시면서 본 글에서 말씀 드린 내용들을 염두에 두고 현재에 해피캠퍼스에 있는 자료들보다 더 훌륭한 리포트를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의 수는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5개 이상이 좋습니다. 한두 개의 참고문헌만 있다면 그 리포트는 그 참고문헌에 아주 많이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 됩니다. 다시 말하면 베낀 수준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참고문헌이 다섯이면 다섯 자료를 베낀 것이고 하나면 하나의 자료를 베낀 것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본다면 당연히 다섯 자료를 베낀 자료가 우수합니다. 하나만 베낀 것은 도용입니다만 다섯 자료를 취합해서 하나로 만들어내는 것은 창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비약적인 생각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교수들의 경우를 보면 교수들이 작성하는 논문에는 대게 20~50개의 참고문헌이 붙습니다. 그렇게 많은 글들을 보고 분석하고 정리하고 거기에 자신의 생각을 덧붙인 것입니다. 가능하면 많은 문헌을 보시고 그것을 참고문헌에 기록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문헌을 기록하시는 형식은 간단합니다. 도서의 경우는 저자, 제목, 출판사, 출판연도, 해당 페이지를 쓰시면 되고 웹사이트의 경우는 저자, 제목, 사이트 URL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몇 가지 예입니다.
홍길동, 리포트 작성 및 평가에 대한 안내, 해피캠퍼스 출판사, 2002, pp.
12-30.
Gildong Hong, Writing and Grading Guide of Report, Happy Campus
Publish, 2002, pp. 12-30.
gdhong, 리포트 작성 및 평가에 대한 안내, www.happycampus.com.
vi. 본론
본론은 전체 평가의 20% 정도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본론은 조사 내용의 기록 및 주장을 전개하는 곳입니다. 글의 내용이 논리적으로 잘 이어져야 하고 편집 방법도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교수들은 본문을 볼 때 편집상태를 먼저 살피게 됩니다. 문단과 문단이 잘 구분되어 내용의 전개가 명확한지 확인하게 됩니다. 문단이 어디서 시작해서 어디서 끝나는지 알 수 없을 정도로 편집이 어지럽게 된 자료는 더 이상 볼 가치가 없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오자가 많고 맞춤법이 많이 틀린 자료는 급하게 작성해서 그 충실성이 낮다고 판단합니다. 한마디로 눈을 아프게 만드는 자료는 보기 싫어하고 좋은 점수를 주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같은 내용이라도 글로 표현하느냐 그래프나 수식으로 표현하느냐에 따라 읽는 사람의 이해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교수들은 글보다는 그림으로 내용을 더 빨리 이해합니다. 글은 읽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지만 그림은 한눈에 알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교수들은 숫자와 기호 등에 아주 익숙한 사람들입니다. 긴말보다는 가능하면 수식, 그래프, 기호, 그림 등으로 도식화된 자료를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수식, 그래프, 기호 등은 글로 표현될 때보다 오해의 소지가 훨씬 적기 때문입니다. 어떤 문서작성기를 사용하더라도 기본적으로 수식과 그래프, 그림 등을 편집할 수 있는 능력을 빨리 기르는 것이 좋습니다.
III. 결론
본 글은 출제자인 교수의 입장에서 어떤 리포트가 잘 만들어진 리포트이며, 어떻게 해야 교수의 마음에 들도록 리포트를 잘 쓸 수 있는가 하는 방법을 정리한 것입니다. 물론 당장 학부생이 교수의 시각을 갖기는 힘들 것입니다. 그렇지만 많은 글을 읽고 공부하면서 그 속에서 중요한 글은 무엇이며 좋은 글은 무엇인지 찾아내고 각각에 대해 합리적인 평가를 하려는 자세를 갖는다면 쉽게 공감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모쪼록 해피캠퍼스를 이용하시면서 본 글에서 말씀 드린 내용들을 염두에 두고 현재에 해피캠퍼스에 있는 자료들보다 더 훌륭한 리포트를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추천자료
연봉제에 대한 사립대학 교수들의 의식 분석
자료 암기법
[독후감]독서감상문(독후감)의 개념과 중요성, 독서감상문(독후감)의 장점, 독서감상문(독후...
[ICT]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교수학습의 방향과 유형, ICT(정보통신기술)활용교육 교수학...
설명문쓰기(설명문 쓰는 방법, 글쓰기), 생활문쓰기(생활문 쓰는 방법, 글쓰기), 논설문쓰기(...
통일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진로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단소연주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일기쓰기교육 교수자료(수업자료), 정보통신윤리교육 교수자료(수업자료), 교육연극 교수자료...
구술사의 연구동향, 연구쟁점, 연구방법론 (2012년 추천 우수) - 연구 방법론 : 인터뷰, 자료...
영유아 교수방법과 초․중․고 교수방법의 차이
[사회복지조사론] 설문지작성법 - 설문지 작성방법의 장단점, 설문지 작성의 일반적인 과정
사회복지의 미시적 실천방법과 학교사회복지 (미시적 수준의 사회복지실천, 생태체계적 관점,...
(A+, Report)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1)개념 및 적용가능 분야, 그리고 (2)이를 이용한 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