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1 서론 03
02 본론 03
1. 조사 응답자들의 특성 03
2. 늦잠과 삶의 의욕에 관한 정의 ⓿04
3. 늦잠과 삶의 의욕에 관한 상관관계 분석 ⓿⓿
1. 조사 항목 사이의 교차분석 04
2.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리 07
03 결론 07
04 부록 08
1. 코딩지침서 08
2. 기술통계 ⓿⓿
1. 질문지와 빈도분석 08
2. 통계 10
02 본론 03
1. 조사 응답자들의 특성 03
2. 늦잠과 삶의 의욕에 관한 정의 ⓿04
3. 늦잠과 삶의 의욕에 관한 상관관계 분석 ⓿⓿
1. 조사 항목 사이의 교차분석 04
2.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리 07
03 결론 07
04 부록 08
1. 코딩지침서 08
2. 기술통계 ⓿⓿
1. 질문지와 빈도분석 08
2. 통계 10
본문내용
피하는 응답자로 통합하였습니다. \'오전약속‘ 항목의 ‘보통이다’라는 응답을 결과에 포함하지 않고 진행하였습니다.
조사 결과, 늦잠을 자고 오전시간대에 약속을 피하는 응답자가 16명, 늦잠을 자고 오전시간대에 약속을 잡는 응답자가 13명으로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오전시간대에 약속을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늦잠을 자는 것과 아침 식사
조사 응답자들 중,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아침 식사를 하는 대신 잠을 더 잔다는 가설을 가지고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 5]는 ‘늦잠일수’와 ‘아침식사’라는 항목을 교차분석 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한 것입니다. ‘늦잠일수’ 는 일주일에 평균 늦잠을 자는 일수를 조사한 항목이며, ‘아침식사’는 “귀하는 아침 식사를 하는 대신 더 자는 쪽을 선택하는 편입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것입니다.
‘아침식사’ 항목의 ‘매우 그렇다’와 ‘대체로 그렇다’ 이 두 응답을 모두 아침식사를 먹는 대신 잠을 더 자는 편을 선택하는 응답자로 통합하였습니다. \'아침식사‘ 항목의 ‘보통이다’라는 응답을 결과에 포함하지 않고 진행하였습니다.
조사 결과, 늦잠을 자고 아침식사를 하는 대신 잠을 더 자는 쪽을 택하는 응답자가 23명, 늦잠을 자고 아침식사를 하는 응답자가 10명으로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아침식사 대신 잠을 더 자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늦잠을 자는 것과 피로감
조사 응답자들 중,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낄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 6]는 ‘늦잠일수’와 ‘피로감’이라는 항목을 교차분석 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한 것입니다. ‘늦잠일수’ 는 일주일에 평균 늦잠을 자는 일수를 조사한 항목이며, ‘피로감’은 “귀하는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끼는 편입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것입니다.
‘피로감’ 항목의 ‘매우 그렇다’와 ‘대체로 그렇다’ 이 두 응답을 모두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낀 응답자로 통합하였습니다. \'피로감‘ 항목의 ‘보통이다’라는 응답을 결과에 포함하지 않고 진행하였습니다.
조사 결과, 늦잠을 자고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끼는 응답자가 14명, 늦잠을 자고 피로감을 잘 느끼지 못하는 응답자가 12명으로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늦잠을 자는 것과 실외활동 지양성
조사 응답자들 중,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휴일에 실외활동 보다는 실내활동을 더 지향하는 경향성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 7]는 ‘늦잠일수’와 ‘활동’이라는 항목을 교차분석 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한 것입니다. ‘늦잠일수’ 는 일주일에 평균 늦잠을 자는 일수를 조사한 항목이며, ‘활동’은 “귀하는 휴일에 실내활동 보다 실외활동을 즐기십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것입니다.
‘활동’ 항목의 ‘매우 그렇다’와 ‘대체로 그렇다’ 이 두 응답을 모두 실외활동을 즐기는 응답자로, ‘대체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 이 두 응담은 모두 실내활동을 즐기는 응답자로 통합하였습니다. \'활동‘ 항목의 ‘보통이다’라는 응답을 결과에 포함하지 않고 진행하였습니다.
조사 결과, 늦잠을 자고 휴일에 실내활동을 더 지향하는 응답자가 13명, 늦잠을 자고 휴일에 실외활동을 더 지향하는 응답자가 9명으로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휴일에 실외활동 보다는 실내활동을 더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리
‘늦잠일수’와 1) 수면시간지적 2) 오전시간대에 약속시간설정 3) 아침식사와 잠을 더 자는 것에 대한 선택 4) 평소에 피로감을 느끼는 정도 5) 휴일 실외활동 지양성을 교차분석한 결과, 늦잠을 자주 자는 사람일수록 오전 시간대의 약속을 피하는 편이고, 아침식사를 하기 보다는 잠을 더 자는 편을 택하며, 매사 금방 피로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고, 휴일에는 실외활동 보다는 실내활동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론
2013학년도 2학기 사회조사분석 1분반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늦잠과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의욕 사이의 상관관계’ 를 늦잠일수와 여러 가지 삶의 의욕을 나타내는 항목들을 교차분석 하는 것으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조사 연구한 결과, 늦잠을 자주 자는 사람일수록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의욕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확연한 차이가 나는 교차분석 결과는 없었지만 여러 가지 교차분석 모두 연구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나서 이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조사 연구한 결과를 놓고 늦잠과 삶의 의욕을 위치를 바꿔서 생각해보니 의욕성이나 적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늦게 까지 잠을 자고, 필요 이상으로 잠을 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부록
코딩지침서
설문번호/내용
변수명
변수값(무응답은 0으로 입력)
일련번호
일련번호
01-42
1. 성별
성별
①여자 ②남자
2. 연령
나이
실제 연령 기입
3. 늦잠일수
늦잠횟수
①전혀 ②1~2일 ③3~4일 ④5~6일 ⑤매일
4. 수면시간지적
수면시간지적
①매우 그렇다 ②대체로 그렇다 ③보통이다 ④대체로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5. 아침식사
식사보다잠
6. 일처리
일처리
7. 피로감
피로감
8. 활동
활동
기술통계
질문지와 빈도분석
성별
성별이 어떻게 되십니까?
연령
현재 응답자의 나이가 어떻게 되십니까?
늦잠일수
귀하는 일주일에 늦잠을 얼마나 주무십니까? (이때 늦잠은 더 이상 피로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잠을 잔 뒤에도 더 자는 것을 뜻합니다.)
수면시간지적
주변 사람들이 귀하의 수면시간이 길다고 지적하는 편입니까?
오전약속
귀하는 오전 시간대의 약속을 피하는 편입니까?
아침 식사
귀하는 아침 식사를 하는 대신 더 자는 쪽을 선택하는 편입니까?
피로감
귀하는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끼는 편입니까?
실외활동 지양성
귀하는 휴일에 실내활동보다 실외활동을 즐기십니까?
통계
평균값, 중위값, 최빈값
성별
연령
늦잠
일수
수면
시간
지적
오전
약속
아침
식사
피로감
활동
평균
19.98
중위값
최빈값
①여자
19
②1~2일
②대체로 그렇다
④대체로
그렇지 않다
조사 결과, 늦잠을 자고 오전시간대에 약속을 피하는 응답자가 16명, 늦잠을 자고 오전시간대에 약속을 잡는 응답자가 13명으로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오전시간대에 약속을 피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늦잠을 자는 것과 아침 식사
조사 응답자들 중,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아침 식사를 하는 대신 잠을 더 잔다는 가설을 가지고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 5]는 ‘늦잠일수’와 ‘아침식사’라는 항목을 교차분석 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한 것입니다. ‘늦잠일수’ 는 일주일에 평균 늦잠을 자는 일수를 조사한 항목이며, ‘아침식사’는 “귀하는 아침 식사를 하는 대신 더 자는 쪽을 선택하는 편입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것입니다.
‘아침식사’ 항목의 ‘매우 그렇다’와 ‘대체로 그렇다’ 이 두 응답을 모두 아침식사를 먹는 대신 잠을 더 자는 편을 선택하는 응답자로 통합하였습니다. \'아침식사‘ 항목의 ‘보통이다’라는 응답을 결과에 포함하지 않고 진행하였습니다.
조사 결과, 늦잠을 자고 아침식사를 하는 대신 잠을 더 자는 쪽을 택하는 응답자가 23명, 늦잠을 자고 아침식사를 하는 응답자가 10명으로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아침식사 대신 잠을 더 자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늦잠을 자는 것과 피로감
조사 응답자들 중,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낄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 6]는 ‘늦잠일수’와 ‘피로감’이라는 항목을 교차분석 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한 것입니다. ‘늦잠일수’ 는 일주일에 평균 늦잠을 자는 일수를 조사한 항목이며, ‘피로감’은 “귀하는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끼는 편입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것입니다.
‘피로감’ 항목의 ‘매우 그렇다’와 ‘대체로 그렇다’ 이 두 응답을 모두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낀 응답자로 통합하였습니다. \'피로감‘ 항목의 ‘보통이다’라는 응답을 결과에 포함하지 않고 진행하였습니다.
조사 결과, 늦잠을 자고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끼는 응답자가 14명, 늦잠을 자고 피로감을 잘 느끼지 못하는 응답자가 12명으로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늦잠을 자는 것과 실외활동 지양성
조사 응답자들 중,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휴일에 실외활동 보다는 실내활동을 더 지향하는 경향성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표 7]는 ‘늦잠일수’와 ‘활동’이라는 항목을 교차분석 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한 것입니다. ‘늦잠일수’ 는 일주일에 평균 늦잠을 자는 일수를 조사한 항목이며, ‘활동’은 “귀하는 휴일에 실내활동 보다 실외활동을 즐기십니까?” 라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한 것입니다.
‘활동’ 항목의 ‘매우 그렇다’와 ‘대체로 그렇다’ 이 두 응답을 모두 실외활동을 즐기는 응답자로, ‘대체로 그렇지 않다’와 ‘전혀 그렇지 않다’ 이 두 응담은 모두 실내활동을 즐기는 응답자로 통합하였습니다. \'활동‘ 항목의 ‘보통이다’라는 응답을 결과에 포함하지 않고 진행하였습니다.
조사 결과, 늦잠을 자고 휴일에 실내활동을 더 지향하는 응답자가 13명, 늦잠을 자고 휴일에 실외활동을 더 지향하는 응답자가 9명으로 늦잠을 자는 사람일수록 휴일에 실외활동 보다는 실내활동을 더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리
‘늦잠일수’와 1) 수면시간지적 2) 오전시간대에 약속시간설정 3) 아침식사와 잠을 더 자는 것에 대한 선택 4) 평소에 피로감을 느끼는 정도 5) 휴일 실외활동 지양성을 교차분석한 결과, 늦잠을 자주 자는 사람일수록 오전 시간대의 약속을 피하는 편이고, 아침식사를 하기 보다는 잠을 더 자는 편을 택하며, 매사 금방 피로감을 느끼는 사람이 많고, 휴일에는 실외활동 보다는 실내활동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결론
2013학년도 2학기 사회조사분석 1분반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늦잠과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의욕 사이의 상관관계’ 를 늦잠일수와 여러 가지 삶의 의욕을 나타내는 항목들을 교차분석 하는 것으로 조사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조사 연구한 결과, 늦잠을 자주 자는 사람일수록 자기 자신의 삶에 대한 의욕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확연한 차이가 나는 교차분석 결과는 없었지만 여러 가지 교차분석 모두 연구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는 결과가 나타나서 이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조사 연구한 결과를 놓고 늦잠과 삶의 의욕을 위치를 바꿔서 생각해보니 의욕성이나 적극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늦게 까지 잠을 자고, 필요 이상으로 잠을 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부록
코딩지침서
설문번호/내용
변수명
변수값(무응답은 0으로 입력)
일련번호
일련번호
01-42
1. 성별
성별
①여자 ②남자
2. 연령
나이
실제 연령 기입
3. 늦잠일수
늦잠횟수
①전혀 ②1~2일 ③3~4일 ④5~6일 ⑤매일
4. 수면시간지적
수면시간지적
①매우 그렇다 ②대체로 그렇다 ③보통이다 ④대체로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5. 아침식사
식사보다잠
6. 일처리
일처리
7. 피로감
피로감
8. 활동
활동
기술통계
질문지와 빈도분석
성별
성별이 어떻게 되십니까?
연령
현재 응답자의 나이가 어떻게 되십니까?
늦잠일수
귀하는 일주일에 늦잠을 얼마나 주무십니까? (이때 늦잠은 더 이상 피로감을 느끼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잠을 잔 뒤에도 더 자는 것을 뜻합니다.)
수면시간지적
주변 사람들이 귀하의 수면시간이 길다고 지적하는 편입니까?
오전약속
귀하는 오전 시간대의 약속을 피하는 편입니까?
아침 식사
귀하는 아침 식사를 하는 대신 더 자는 쪽을 선택하는 편입니까?
피로감
귀하는 매사에 금방 피로감을 느끼는 편입니까?
실외활동 지양성
귀하는 휴일에 실내활동보다 실외활동을 즐기십니까?
통계
평균값, 중위값, 최빈값
성별
연령
늦잠
일수
수면
시간
지적
오전
약속
아침
식사
피로감
활동
평균
19.98
중위값
최빈값
①여자
19
②1~2일
②대체로 그렇다
④대체로
그렇지 않다
키워드
추천자료
괴테가 쓴작품(파우스트는 어떤인간인가?)
펄떡이는 물고기처럼,, 독서감상문입니다..
민요에 나타난 한국인의 정서☆
주5일제에 관한 연구
공지영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주제와 인물 분석
품질분임조
갱년기의 정의 및 사례연구
QCC의 도입과 추진방법 - QCC의 개념 및 의의, 이론적 특징, 도입시 고려사항, 추진방법
기분장애(mood disorder)
아동기 위기상담과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 및 지도 (이혼가정 아동, 가정폭력, ADHD 아동, 아...
주5일제 연구
[사회복지법제론]근로복지기본법 - 근로복지기본법의 의의와 목적 및 기본원칙, 근로복지기본...
[이상심리학] 기분장애의 임상적 특징(우울상태, 조증상태)과 하위유형(우울장애, 기분부전장...
자살과 연관성이 높은 우울증에 대한 개입방안과 예방적 접근에 대해 기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