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의 이름 a+ 영화감상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미의 이름 a+ 영화감상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람의 책은 저속한 다수가 알지 못하는 언어로 씌어져야 한다’ 는 중세 천년의 법칙을 유쾌함과 웃음으로 깨뜨려 버렸다. 한국역사에서도 한글 창제를 둘러싸고 강한 반발이 있었으나 일반백성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된 한글은 결국 오늘날 한국어의 표기수단으로 확실히 자리잡았다. 이처럼 동서양을 막론하고 행해졌던 근본주의, 교조주의, 권위주의에 대한 작가의 비판이 바로 ‘웃음’ 으로 나타난 것이다. 영화 속에서 ‘웃음’ 은 대중적인 것이라 했다. 이는 기존의 질서와 권위를 비웃고 대중의 관심을 모은다. 이를 경계한 종교의 경건함은 긴 어둠의 터널을 지나 ‘웃음’ 의 가치를 인식한 시민들의 각성에 의해 무너져 버린다. 한 번 터진 ‘웃음’ 은 그렇게 엄청난 속도로 확산되어 그 어떤 권위로도 막을 수 없게 된다. ‘웃음’ 은 이렇게 극단적 논리를 융화시키며 대립을 풀어준다. 따라서 이를 똘레랑스와 연결지을 수 있는 것이다. 호르헤는 ‘웃음’ 을 악마의 것으로 연결짓는다. 근본주의가 인간의 가장 자연스러운 감정 표현을 극단으로 몰아 앵똘레랑스化한 전형으로, 결국 파멸로 치닫는다. 역시 폐쇄된 소통의 부재를 뜻하는 장서관도 모조리 불에 타버리는 것으로 최후를 맞이한다. ‘웃음’ 은 오늘날에도 중요한 가치다. 호르헤와 같은 극단주의자들과 장서관의 서책들을 외부에 공개하는 것을 완강히 반대하는 세력들은 여전히 상존한다. ‘웃음’ 을 확산시켜야 한다. 시민들이 ‘웃음’ 을 깨닫고 그들에게 ‘웃음’ 의 가치를 인정하게 만들 때 소통의 부재는 조금씩 해소돼 갈 수 있을 것이다.
6. 영화의 특징
1)시나리오는 15번이나 퇴고하는 과정에서 큰 줄거리는 살인 수사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고 연쇄살인사건의 진범을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둔다. 윌리암 사제가 범인을 찾는 과정에서 신학 논쟁 따위는 최대한 억제되고 극적 행동과 어울리게 구성을 취해서 효과적이다.
2) 이 영화는 스펙터클의 요소를 많이 담고 있는데, 그 예로 평면 구도의 미로가 되는 도서관 내부로, 이 부분을 30meter의 입체구도로 바꿈으로써 영화적 장치를 만들었고, 독이 든 종이를 자신이 삼켜 죽는 장면은 압도적 영화적 처리이다.
3) 이 영화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코넌 도일의 셜록 홈즈(그의 제자=와트슨 의사)를 원형으로 함으로써 윌리암이 지적, 신학적으로 얼마나 뛰어난 사람이었는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7. 영화 속 소품과 의상
이 영화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독일이 합작해서 만든 영화라고 한다. 그런데 여기서 이 영화의 미술적인 소품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맡아 담당했다고 한다. 의상은 당시 모습을 재현하려고 상당한 노력을 했고 그 결과 영화 전체 분위기나 배우의 연기가 한 층 더 빛을 발하게 되었다.
그리고 영화 전체가 담고 있는 색은 어둡고 무겁고 음울한 느낌을 주는데 당시의 종교재판을 통해 행해졌던 화형, 금욕, 웃을 수 없는 삶, 비밀 등 그 당시 삶의 색깔을 담고 있다. 전체적으로 어둡게 만들어 감독 자신이 이 시대에 갖는 관점이나 그 시절의 모습이 결코 밝고 가볍지 않음을 예고한다.
  • 가격9,66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2.16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80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