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해하려고 노력한 후 서로의 문화를 수용하고 적당히 합한다면 양국 문화에 큰 발전을 불러올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문화상품의 의미가 왜곡되고 있는 일이 많은데 문화를 멋진 상품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문화상품 생산자의 제1의 기준이 상품성이 아닌 문화가 되어야하고 현재 한류를 국가적 의제로 설정한 우리에게 결여되어 있는 것은 바로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문화적 마인드라는 것을 명심하여 상품성 즉, 경제를 문화보다 앞세우는 발상을 하는 일이 없도록 해야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것은 서로 다른 문화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상대주의적 태도를 갖추는 것이다. 그러한 태도가 자리 잡고 있어야 일본에서의 한류가 지속될 수 있을 것이며 한류의 범위 또한 무궁무진하게 넓어질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 대중문화의 일본진출 그 허와 실
중국 및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한 SM엔터테인먼트의 아시아시장 진출분석
두산주류(두산경월)의 일본시장진출전략과 마케팅분석
한국드라마가 일본에서 인기를 얻고있는 이유
드라마로 보는 한국과 일본
한국을 소비하는 일본 - 히라타 유키에 저
해외문화탐방 (일본)
서울 지역 일본 관광객의 쇼핑 패턴에 대한 분석
문화 콘텐츠 수출로 바라본 거시경제_일본으로의 문화 콘텐츠 수출이 거시경제에 미치...
문화 콘텐츠 수출로 바라본 거시경제_일본으로의 문화 콘텐츠 수출이 거시경제에 미치...
[관광경영전략론] ‘예감’ 기업 분석과 전략 제시 (일본관광 시장의 현황 및 문제점, 공연관광...
하이트진로 기업분석과 일본,중국시장 진출 글로벌마케팅 전략분석및 하이트진로 성공요인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