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수 학습 활동 평가의 의의
2. 교수 학습 활동 평가의 특성
3. 교수 학습 활동 평가의 접근법
1) 학습자의 성취에 의한 평가
2) 과정 중심의 평가
4. 교수 학습 활동 개선을 위한 평가의 방법
1) 관찰법
2) 평정척도법
3) 교사의 자가평가법
4) 학습 방법 평가
참고문헌
2. 교수 학습 활동 평가의 특성
3. 교수 학습 활동 평가의 접근법
1) 학습자의 성취에 의한 평가
2) 과정 중심의 평가
4. 교수 학습 활동 개선을 위한 평가의 방법
1) 관찰법
2) 평정척도법
3) 교사의 자가평가법
4) 학습 방법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지 소리 들어보기, 노래 부르기, 기본 막대흔들기등의 음악 및 표현 활동이 매일 이루어진다
② 음악 및 표현활동이 주 3.4회 이루어진다
① 음악 및 표현활동이 주 1,2회 이루어진다
13. 영아발달에 적합한 쌓기 놀이가 이루어진다
③ 블록을 쌓고 무너뜨리기, 늘어놓기, 간단한 자동차놀이 등의 간단한 쌓기 놀이가 매일 일 이루어진다
② 쌓기 놀이가 주 3.4회 이루어진다
① 쌓기 놀이가 주 1,2 회 이루어진다
14. 영아 발달에 적합한 소꿉놀이가 이루어진다
③ 상차리기, 엄마아빠놀이 등의 소꿉놀이가 매일 이루어진다
② 소꿉놀이가 주 3,4회 이루어진다
① 소꿉놀이가 주 1,2회를 이루어진다
15. 영아발달에 적합한 물놀이와 모래놀이가 이루어진다
③ 물과 모래놀이가 주 3회 이상 이루어진다
② 물과 모래놀이가 주 2회정도 이루어진다
① 물과 모래놀이가 주 1회 또는 그 이하로 이루어진다
일상적 양육
16. 낮잠 시간에 영아의 개별적인 낮잠 습관을 수용해 준다
③ 교사는 낮잠 시간에 영아에 따라 말로 격려하거나 등을 두드려주는 등 영아의 개별적인 낮잠 습관을 가능한 한 수용해 준다
② 영아의 개별적인 낮잠 습관을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① 영아의 개별적인 낮잠 습관을 수용하지 못하고 교사 자신의 방식으로 재운다
17. 낮잠 시간에 먼저 일어나거나 잠들지 못한 영아를 위해 별도의 공간 및 활동을 제공한다
③ 먼저 일어나가 잠들지 못한 영아를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 주고 책을 읽어주거나 조용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② 먼저 일어나거나 잠들지 못한 영아에게 공간을 마련해 주기는 하나 별도의 활동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① 먼저 일어나거나 잠들지 못한 영아를 위해 공간이나 활동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18. 기저귀를 갈거나 화장실을 사용할 때 영아와 따뜻한 상호작용을 나눈다
③ 교사는 영아의 기저귀를 갈거나 영아가 화장실을 사용할 때 배변 활동을 격려하는 등 개별적인 상호작용의 기회를 이용한다
② 교사는 영아의 기저귀를 갈거나 영아가 화장실을 사용할 때 상호작용을 못하는 경우도 있다
① 교사는 영아의 기저귀만 갈아주거나 화장실만 안내한다
19. 하루의 양육 일과는 영아의 신체리듬과 개별성을 고려하여 진행된다
③ 하루의 양육일과는 영아의 신체리듬을 고려하여 일관성 있게 진행되며 교사는 영아의 개별성을 배려한다
② 하루의 양육 일과는 일관성 있게 진행되거나 하나 영아의 개별성을 배려하지 못할 때도 있다
① 하루의 양육 일과가 일관성이 없고 영아의 개별성에 대한 배려도 없다
영아 상호작용
20. 교사는 영아와 이야기를 나눌 때 단순하고 구체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③ 교사는 영아와 이야기를 나눌 때 영아의 발달 수준에 맞는 단순하고 구체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② 영아에게 단순하고 구체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못할 때도 있다.
① 영아에게 길게 말하거나 어려운 말을 사용한다
21. 교사는 영아의 발성
③ 교사는 항상 영아의 발성이나 말을 주의 깊게 들으며 영아의 말을 정확한 표현으로 다시 말해주는 등 명료화시켜 반응한다
② 교사는 영아의 발성이나 말에 대해 명료화시켜 주지 못할 때도 있다
① 교사는 영아의 발성이나 말에 대해 언어로 반응하지 못한다
22. 교사는 영아와 이야기를 나눌 때 항상 영아의 눈높이를 맞게 자세를 낮춘다
③ 교사는 영아와 이야기를 나눌 때 항상 유아의 눈높이에 맞게 자세를 낮춘다
② 영아와 눈높이를 맞추지 않고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가 가끔 있다
① 영아는 눈높이를 맞추지 않고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3. 교사는 영아의 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언어보다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③ 교사는 영아의 행동에 대해 비평하거나 간섭하는 등의 부정적인 언어보다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② 영아의 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언어를 가끔 사용한다
① 영아의 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언어를 자주 사용한다
24. 교사는 영아에게 행동의 한계에 대해 분명하게 말한다
③ 교사는 허용되는 행동과 허용되지 않는 행동을 알 수 있도록 영아의 행동에 대해 된다 또 안된다 를 분명하게 말한다
② 교사는 된다 또는 안된다를 분명하게 말하지 않을 때도 있다
① 교사는 된다 또는 안된다 를 분명하게 말하지 않는다
25. 영아가 울거나 요구를 나타날 때 교사는 적절하게 반응한다
③ 교사는 영아가 울거나 요구를 나타 날 때 민감하게 반응하되 요구를 즉각 해결해 주어야 하는지 또는 기다려 주어야 하는지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반응한다
② 교사는 영아가 울거나 요구를 나타날 때 상황을 고려하나 적절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① 교사는 영아의 요구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26. 교사는 영아의 탐색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상호작용한다
③ 교사는 영아의 탐색을 위해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탐색 행동을 격려하며 영아의 리듬과 속도에 맞추어 상호작용한다
② 교사는 영아의 탐색을 위해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기는 하나 영아의 속도에 맞추기 보다는 교사의 의도대로 상호작용을 이끌어간다
① 교사는 영아의 탐색 행동에 허용적이지 않고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한다
27. 교사는 영아와 함께 놀이에 참여하고 이를 즐긴다
③ 교사는 영아와 함께 놀이에 참여하고 이를 즐긴다
② 영아와 함께 놀이에 참여하지만 즐기지 않을 때도 있다
① 영아의 놀이에 거의 참여하지 않는다
28. 다른 영아의 활동을 방해하는 영아에게 대안적인 활동을 제공한다
③ 교사는 다른 영아의 놀잇감에 제공하여 주의를 돌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② 다른 영아를 방해하지 못하게 하고 다른 놀잇감이나 활동을 제공하지만 대안적 활동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① 다른 영아를 방해하지 못하게 하나 대안적인 활동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참고문헌
신혜은, 고태순 외 저, 영유아 교수방법, 양서원 2011
이정환, 김희진 저, 영유아 교육의 교수학습방법, 파란마음 2013
성은영, 이영미 외 저, 영유아를 위한 교수 학습방법, 정민사 2013
김정원, 김유정 외 저, 영유아를 위한 교수 학습방법, 공동체 2013
윤애희, 박정민 저, 영유아교육 교수방법 및 교재교구, 파란마음 2009
김현자, 한성심 저, 영유아교수방법론, 태영출판사 2012
② 음악 및 표현활동이 주 3.4회 이루어진다
① 음악 및 표현활동이 주 1,2회 이루어진다
13. 영아발달에 적합한 쌓기 놀이가 이루어진다
③ 블록을 쌓고 무너뜨리기, 늘어놓기, 간단한 자동차놀이 등의 간단한 쌓기 놀이가 매일 일 이루어진다
② 쌓기 놀이가 주 3.4회 이루어진다
① 쌓기 놀이가 주 1,2 회 이루어진다
14. 영아 발달에 적합한 소꿉놀이가 이루어진다
③ 상차리기, 엄마아빠놀이 등의 소꿉놀이가 매일 이루어진다
② 소꿉놀이가 주 3,4회 이루어진다
① 소꿉놀이가 주 1,2회를 이루어진다
15. 영아발달에 적합한 물놀이와 모래놀이가 이루어진다
③ 물과 모래놀이가 주 3회 이상 이루어진다
② 물과 모래놀이가 주 2회정도 이루어진다
① 물과 모래놀이가 주 1회 또는 그 이하로 이루어진다
일상적 양육
16. 낮잠 시간에 영아의 개별적인 낮잠 습관을 수용해 준다
③ 교사는 낮잠 시간에 영아에 따라 말로 격려하거나 등을 두드려주는 등 영아의 개별적인 낮잠 습관을 가능한 한 수용해 준다
② 영아의 개별적인 낮잠 습관을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① 영아의 개별적인 낮잠 습관을 수용하지 못하고 교사 자신의 방식으로 재운다
17. 낮잠 시간에 먼저 일어나거나 잠들지 못한 영아를 위해 별도의 공간 및 활동을 제공한다
③ 먼저 일어나가 잠들지 못한 영아를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해 주고 책을 읽어주거나 조용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② 먼저 일어나거나 잠들지 못한 영아에게 공간을 마련해 주기는 하나 별도의 활동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① 먼저 일어나거나 잠들지 못한 영아를 위해 공간이나 활동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18. 기저귀를 갈거나 화장실을 사용할 때 영아와 따뜻한 상호작용을 나눈다
③ 교사는 영아의 기저귀를 갈거나 영아가 화장실을 사용할 때 배변 활동을 격려하는 등 개별적인 상호작용의 기회를 이용한다
② 교사는 영아의 기저귀를 갈거나 영아가 화장실을 사용할 때 상호작용을 못하는 경우도 있다
① 교사는 영아의 기저귀만 갈아주거나 화장실만 안내한다
19. 하루의 양육 일과는 영아의 신체리듬과 개별성을 고려하여 진행된다
③ 하루의 양육일과는 영아의 신체리듬을 고려하여 일관성 있게 진행되며 교사는 영아의 개별성을 배려한다
② 하루의 양육 일과는 일관성 있게 진행되거나 하나 영아의 개별성을 배려하지 못할 때도 있다
① 하루의 양육 일과가 일관성이 없고 영아의 개별성에 대한 배려도 없다
영아 상호작용
20. 교사는 영아와 이야기를 나눌 때 단순하고 구체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③ 교사는 영아와 이야기를 나눌 때 영아의 발달 수준에 맞는 단순하고 구체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② 영아에게 단순하고 구체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못할 때도 있다.
① 영아에게 길게 말하거나 어려운 말을 사용한다
21. 교사는 영아의 발성
③ 교사는 항상 영아의 발성이나 말을 주의 깊게 들으며 영아의 말을 정확한 표현으로 다시 말해주는 등 명료화시켜 반응한다
② 교사는 영아의 발성이나 말에 대해 명료화시켜 주지 못할 때도 있다
① 교사는 영아의 발성이나 말에 대해 언어로 반응하지 못한다
22. 교사는 영아와 이야기를 나눌 때 항상 영아의 눈높이를 맞게 자세를 낮춘다
③ 교사는 영아와 이야기를 나눌 때 항상 유아의 눈높이에 맞게 자세를 낮춘다
② 영아와 눈높이를 맞추지 않고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가 가끔 있다
① 영아는 눈높이를 맞추지 않고 이야기를 나누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3. 교사는 영아의 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언어보다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③ 교사는 영아의 행동에 대해 비평하거나 간섭하는 등의 부정적인 언어보다 긍정적인 언어를 사용한다
② 영아의 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언어를 가끔 사용한다
① 영아의 행동에 대해 부정적인 언어를 자주 사용한다
24. 교사는 영아에게 행동의 한계에 대해 분명하게 말한다
③ 교사는 허용되는 행동과 허용되지 않는 행동을 알 수 있도록 영아의 행동에 대해 된다 또 안된다 를 분명하게 말한다
② 교사는 된다 또는 안된다를 분명하게 말하지 않을 때도 있다
① 교사는 된다 또는 안된다 를 분명하게 말하지 않는다
25. 영아가 울거나 요구를 나타날 때 교사는 적절하게 반응한다
③ 교사는 영아가 울거나 요구를 나타 날 때 민감하게 반응하되 요구를 즉각 해결해 주어야 하는지 또는 기다려 주어야 하는지를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반응한다
② 교사는 영아가 울거나 요구를 나타날 때 상황을 고려하나 적절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① 교사는 영아의 요구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26. 교사는 영아의 탐색 행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상호작용한다
③ 교사는 영아의 탐색을 위해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탐색 행동을 격려하며 영아의 리듬과 속도에 맞추어 상호작용한다
② 교사는 영아의 탐색을 위해 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기는 하나 영아의 속도에 맞추기 보다는 교사의 의도대로 상호작용을 이끌어간다
① 교사는 영아의 탐색 행동에 허용적이지 않고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한다
27. 교사는 영아와 함께 놀이에 참여하고 이를 즐긴다
③ 교사는 영아와 함께 놀이에 참여하고 이를 즐긴다
② 영아와 함께 놀이에 참여하지만 즐기지 않을 때도 있다
① 영아의 놀이에 거의 참여하지 않는다
28. 다른 영아의 활동을 방해하는 영아에게 대안적인 활동을 제공한다
③ 교사는 다른 영아의 놀잇감에 제공하여 주의를 돌릴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② 다른 영아를 방해하지 못하게 하고 다른 놀잇감이나 활동을 제공하지만 대안적 활동이 적절하지 못한 경우도 있다
① 다른 영아를 방해하지 못하게 하나 대안적인 활동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참고문헌
신혜은, 고태순 외 저, 영유아 교수방법, 양서원 2011
이정환, 김희진 저, 영유아 교육의 교수학습방법, 파란마음 2013
성은영, 이영미 외 저, 영유아를 위한 교수 학습방법, 정민사 2013
김정원, 김유정 외 저, 영유아를 위한 교수 학습방법, 공동체 2013
윤애희, 박정민 저, 영유아교육 교수방법 및 교재교구, 파란마음 2009
김현자, 한성심 저, 영유아교수방법론, 태영출판사 2012
키워드
추천자료
교수-학습 활동 적용을 통한 독서력 신장
초등교육) 교수-학습 활동 적용을 통한 독서력 신장
유아동식물생태교육 교수학습자료(수업자료), 유아조형활동교육, 유아음악교육 교수학습자료(...
국어과(국어수업, 국어교육)의 성격과 목표, 국어과(국어수업, 국어교육)의 교수법, 국어과(...
미디어교육의 정의, 미디어교육의 변천, 미디어교육의 목적, 미디어교육의 현황, 미디어교육...
[음악감상][공연음악감상][음악감상의 지도방안]음악감상의 의의, 음악감상의 유형, 음악감상...
5학년)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91쪽 (4/8 )차시) 게임활동중심 학습모형> 2. 주먹야구...
4학년)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p.50~51 (2/5)차시) 게임 활동 중심> 2. 도전 활동 - 표...
영유아교수방법-프로젝트접근법설명과실례의활동계획안작성
국어과 본시 교수-학습 활동안 - 6.좋은 생각이 있어요 - 사실에 대한 의견을 글로 쓰기
자유선택활동의 교수학습 방법
초등3) <(창의적 체험활동(창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독서 - 책 광고문 만들기
초등3) <(창의적 체험활동(창체)-자율(독후))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시의 분위기를 파...
[민주시민의식, 민주시민, 시민, 교수학습방법, 생활습관, 재량활동]민주시민의식과 교수학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