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5mm) at 25℃
0.28s
Castor Oil
6.62s
1) 실험서의 (1)식에서 물의 25℃ 점도를 1이라 하고, 시료들의 점도를 계산한다.
①상대 점성도
at 25℃
(물의 밀도): 0.9970, (에탄올의 밀도): 0.789
: 물의 점성도=1
:
at 35℃
(물의 밀도): 0.9941, (에탄올의 밀도): 0.789
: 물의 점성도=1
:
②절대 점성도
※ 각 온도에서의 에탄올의 절대 점성도
= 각 온도에서 에탄올의 상대 점성도 × 25℃ 물의 절대 점성도
※ 25℃에서 물의 절대 점성도는 0.00894
at 25℃ :
at 35℃ :
2) 실험서의 (3)의 식에 따라 계산한다.
공 낙하법에 의하여 상대 점성도를 결정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이 식에서 , 및 는 각각 실험 온도에서 낙하하는 공과 두 액체들의 밀도이고 과 는 공이 액체 속에서 일정한 거리를 낙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25℃에서의 물의 밀도는 0.9970g/cm3이고, castor oil의 밀도는 0.961g/cm3이다. 그리고 공의 밀도는 질량 0.16g, 부피 4/3π(0.25cm)3를 이용하면 되므로 밀도는 0.2446g/cm3이 나온다. 이 값들과 위에서 구한 시간을 이용하면
이 나온다.
3. 고 찰
이번 실험은 오스트발트 점성도계법을 사용하여 온도별 액체의 점성도 비를 구하고, 기준 온도의 절대 점성도를 이용하여, 각 온도별 액체의 점성도를 구하는 것이다.
오스트발트 점성도계법에서 에탄올의 실제 점성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액체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점성도가 감소한다는 것과, 에탄올이 물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는 것을 통해 에탄올이 물보다 점성도가 크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공낙하법에서도 확연한 이동시간의 차이가 났고, Castor Oil(파자마유)의 점성도가 물에 비해 매우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험이 비교적 과정이 적은 실험이었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오차가 발생했다고는 보기 힘들다.
주로 시간을 측정하는 순간에 오차가 생기거나 측정 도중 액체내에서 기포가 위치하고 있는것, 공이 a부터 b 까지 이동하는 거리 측정, 우리고 실험실내 기압이나 온도등의 변인 때문에 오차가 어느 정도는 생겼으리라 생각이 된다.
4. 참고 문헌
- 물리화학실험 , 대한화학회, (개정판)
- 물리화학, Gorden M. Barrow, 자유 아카데미, 1993
- 물리화학실험, 이익춘외, 탐구당, 1999년 출간
0.28s
Castor Oil
6.62s
1) 실험서의 (1)식에서 물의 25℃ 점도를 1이라 하고, 시료들의 점도를 계산한다.
①상대 점성도
at 25℃
(물의 밀도): 0.9970, (에탄올의 밀도): 0.789
: 물의 점성도=1
:
at 35℃
(물의 밀도): 0.9941, (에탄올의 밀도): 0.789
: 물의 점성도=1
:
②절대 점성도
※ 각 온도에서의 에탄올의 절대 점성도
= 각 온도에서 에탄올의 상대 점성도 × 25℃ 물의 절대 점성도
※ 25℃에서 물의 절대 점성도는 0.00894
at 25℃ :
at 35℃ :
2) 실험서의 (3)의 식에 따라 계산한다.
공 낙하법에 의하여 상대 점성도를 결정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이 식에서 , 및 는 각각 실험 온도에서 낙하하는 공과 두 액체들의 밀도이고 과 는 공이 액체 속에서 일정한 거리를 낙하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25℃에서의 물의 밀도는 0.9970g/cm3이고, castor oil의 밀도는 0.961g/cm3이다. 그리고 공의 밀도는 질량 0.16g, 부피 4/3π(0.25cm)3를 이용하면 되므로 밀도는 0.2446g/cm3이 나온다. 이 값들과 위에서 구한 시간을 이용하면
이 나온다.
3. 고 찰
이번 실험은 오스트발트 점성도계법을 사용하여 온도별 액체의 점성도 비를 구하고, 기준 온도의 절대 점성도를 이용하여, 각 온도별 액체의 점성도를 구하는 것이다.
오스트발트 점성도계법에서 에탄올의 실제 점성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액체는 온도가 증가할수록 점성도가 감소한다는 것과, 에탄올이 물보다 더 오랜 시간이 걸렸다는 것을 통해 에탄올이 물보다 점성도가 크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공낙하법에서도 확연한 이동시간의 차이가 났고, Castor Oil(파자마유)의 점성도가 물에 비해 매우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험이 비교적 과정이 적은 실험이었기 때문에 많은 곳에서 오차가 발생했다고는 보기 힘들다.
주로 시간을 측정하는 순간에 오차가 생기거나 측정 도중 액체내에서 기포가 위치하고 있는것, 공이 a부터 b 까지 이동하는 거리 측정, 우리고 실험실내 기압이나 온도등의 변인 때문에 오차가 어느 정도는 생겼으리라 생각이 된다.
4. 참고 문헌
- 물리화학실험 , 대한화학회, (개정판)
- 물리화학, Gorden M. Barrow, 자유 아카데미, 1993
- 물리화학실험, 이익춘외, 탐구당, 1999년 출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