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COD 측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 COD 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는데 그치고 있다. 다만 CODMn 은 CODCr 측정보다 실험이 간단하고 신속하므로 동일 성질의 하수에 대하여 유기물 농도의 변화를 알고자 할 때 이용하면 편리하다.
CODcr은 ThOD과 거의 같다. ThOD는 이론적 산소요구량(Theoretical Oxygen Demand)로, 이론적 TOD, 이론적 COD, 이론적 BOD 등으로 불린다. 즉 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물질의 분자식을 안다면 화학 당량식으로 완전산화 되었을 때 요구되는 이론적 산소요구량을 알 수 있다. 즉 이론적 산소요구량은 유기물질이 산화되는데 필요한 산소의 양에서 유기물질에 함유한 양을 제외한 양과 같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aHbOcNdPeSf + (a + 0.25b - 0.5c + 1.25d + 1.25e + 1.5f)O2 → aCO2 + (0.5b-0.5d-1.5e-f)H2O + dNO3- + ePO43- + fSO42- + (d+3e+2f)H+
이 식에서 인이나 황은 유기물질 중에 매우 적게 함유되어 있으므로 무시할 수 있어 이 물질들을 식에서 제외시키면 비교적 간단한 반응식이 되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질 중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 성분이 산화되지 않고 암모니아로만 전환된다면 ThOD는 CODcr와 거의 같다.
일반적으로 BOD CODMn < CODcr < ThOD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우리나라 공정시험법상 CODMn을 측정했지만 외국처럼 CODcr도 측정했다면 K2Cr2O7의 산화력이 커서 정확한 COD를 알 수 있으므로 폐수의 정확한 COD를 알 수 있었을 것이다. 또 BOD를 측정해서 COD와 비교했다면 일반적인 경우처럼, COD가 BOD보다 크거나 같을지, 그래서 사용한 폐수시료가 목재펄프공업 폐수같이 COD가 BOD보다 크거나 같을지 또는 셀룰로우스나 지방족 탄화수소류 혹은 미생물에 유독한 물질이 함유된 경우여서 BOD값이 COD값에 비해 낮게 얻어질지, 유독한 물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폐수여서 미생물이 사멸하여 BOD값이 매우 낮게 나타날지, 산화 가능한 물질(환원성 물질 : 아질산염, 제 1철염, 황화물 등)이 많은 경우여서 COD값이 높게 나타날지, 환원 가능한 물질(산화성 물질)이 있는 경우여서 오히려 아주 낮게 나타날지 혹은 BOD 실험 중 nitrogenous oxidation(질산화가 5일 이내로 발생)이 일어난 경우, COD 실험 중 방해물질이 섞인 경우, 지방족 탄화수소(생물학적으로 분해되니 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인 경우여서 COD는 BOD보다 작을지 등을 알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폐수의 상태에 대해 좀 더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References
이병학 외 5인 공저/환경공학개론/동화기술 /p. 210~214 /2011
전시진 외 8인 공저/수질오염개론/신광문화사/p.188~190 /2009
윤이용, 박재규 /해양오염 / 동화기술/p.48 /2000
조순행 / 물환경개론 /동화기술 /p.66~68 /2002
우달식 등 공저 / 최신 수질오염개론 /동화기술/ p. 39, 104~108 / 2006
김용관 / 물, 얼마나 알고 마시나 /세종출판사/p.208~209/1997
대한화학회 / 표준일반화학실험/ KCS대한화학회/p.128~129/2010
박정환, 정종태/ 기초환경공업실험/ 동화기술/ p.82~88/ 2001.
박기환 외 4인 공저/ 환경기초실험/ 신광문화사/ p.95~96/ 1995.
역가(factor)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cid=562&docId=655382&mobile&categoryId=562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5&docId=58281989&qb=ZmFjdG9y&enc=utf8§ion=kin&rank=1&search_sort=0&spq=1&pid=RSGWHU5Y7vhsss5x9GRsssssstC-144917&sid=UV4sXXJvLCQAAA4Kbr8
황산은 넣는 이유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5&docId=50514281&qb=Q09EIOuwlO2DleyLnO2XmCDsnbTsnKA=&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RSGYbc5Y7u0ssuQt5RCssssssu4-192321&sid=UV4vGHJvLC0AACfBGW4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1.21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2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