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화 선언만 있고 대중화는 없는 골프 - 가까운듯 먼 골프 대중화 이야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중화 선언만 있고 대중화는 없는 골프 - 가까운듯 먼 골프 대중화 이야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질문

2. 대답에 필요한 경제 원리
 1) 수요와 공급의 법칙
 2) 특별소비세
 3) 외부성, 사적비용과 사회적 비용
 4) 클럽재 (club goods)

3. 경제학적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만 전자의 피해에 대해서는 확실한 보상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골프 시장은 크게 골프 용품시장과 골프장 시장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 그림 2>에 대중화 선언 이전과 이후의 골프장(場) 시장(市場)을 그려보았다. 우선 골프장 공급은 대단히 비탄력적이다. 특히 우리 나라와 같이 국토가 산으로 이루어진 곳에서는 물리적으로 골프장을 만드는 일이 대단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반면 사치재인 골프장에 대한 수요는 탄력적이다.
대중화선언은 사람들의 골프에 대한 선호를 증가시켜 < 그림 2>에서 보듯이 수요곡선을 우측으로 이동(shift)시킨다. 단기적으로 볼 때 대중화 선언 전에 P1이었던 가격이 P2로 오르고 골프를 치는 사람도 늘어난다(Q1에서 Q2). 이 때 공급이 비탄력적이기 때문에 가격이 증가한 정도가 골프장을 찾는 사람이 증가한 정도 보다 크게 나타난다. 기존에 골프를 즐기던 사람들은 물론 대중화선언 덕분에 과거와 같이 죄짓는 마음이 없어 홀가분하게 골프를 칠 수 있게 되었지만 반대로 부킹도 어려워지고 사람도 혼잡하게 되어 오히려 불편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진정한 골프대중화를 위해서는 공급의 증가가 병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명실상부하게 대중화가 되려면 대중화 후에 적어도 이전의 수준의 가격인 P1으로 골프를 칠 수 있어야 한다고 볼 때 골프장을 더 늘려야 하는 부담을 갖게 된다. 즉 대중화 이전의 공급곡선 S1을 S2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것이 과연 현실적으로 가능하냐에 따라 대중화선언의 성패가 달려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정부는 이 문제를 퍼브릭(public)코스를 많이 만들고 특별소비세를 인하함으로써 해결하고자 하고 있다.
골프 대중화를 위해서는 선언 그 자체가 대중화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한정된 공간 하에서 가격을 올리는 역효과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진정한 대중화를 위해서는 보통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상당한 정도의 대중(퍼브릭)골프장과 연습장이 만들어져야 하며 특별소비세를 인하하여야 한다.
< 그림 2>
참고문헌
이창섭, 남상우 저, 스포츠사회학,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임상일 저, 실감나는 스포츠 살아있는 경제학, 두남 2001
조순, 김영식 외 저, 경제학원론, 율곡출판사 2013
이상효 저, 체육행정 경영의 이론과 실제, 스포츠북스 2013
이정학 저, 스포츠 마케팅, 한국학술정보 2012
설수영, 김예기 저, 스포츠 경제학, 오래 2011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1.28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4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