샐러리 캡 제도의 명암 - 효율성과 공평성간의 갈등과 조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샐러리 캡 제도의 명암 - 효율성과 공평성간의 갈등과 조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질문

2. 대답에 필요한 경제학 개념과 분석도구
 1) 효율성과 공평성의 조화
 2) 최고가격제(price ceiling)
 3) 최저임금제(price floating, minimum-price laws)
 4) 동등가치론(비교가치론, comparable worth)

3. 경제학적 분석을 통한 해답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아니더라도 팀을 위해 공헌하고 있는 선수들과 스타 선수간에 어떻게 하면 공평하게 연봉을 책정할 수 있을까하는 어려움을 만나게 된다. 적절한 수준의 팀 전체 연봉은 프로 스포츠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 바람직한 면도 상당히 있다.
한 구단의 전체 연봉을 일정하게 묶어 놓는 제도인 샐러리 캡제도는 이러한 구단의 고민을 조금이라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다. 팀 전체의 연봉 상한을 정해 놓는 것으로 최고 가격제의 변형이다. 주어진 액수 내에서 구단이 비교적 자유롭게 선수간의 능력에 따라 보수를 책정할 수 있으며 고액 연봉 선수에게 간접적으로 연봉인상을 자제케 하는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후보 선수가 비록 가시적이지 않으나 혹은 아주 미미한 정도로 팀에 공헌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운동을 하게끔 구단이 배려해야 할 필요도 있다. 팀 내의 경쟁자로서 주전 선수를 위협할 수준의 선수라면 그가 비록 주전으로 뛰지 못한다할지라도 상당한 배려를 해주어야 한다. 그래서 최저 임금제와 같은 제도가 도입되어 있다. 한편 구단은 샐러리 캡 제도로 인해 스타선수들이 손해를 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이 손해를 광고 모델 알선 등을 통해 보전(補塡)해주고 있다. 스타 선수의 입장에서는 이 제도 때문에 연봉 면에서는 당장 손해를 보지만 구단이 제공하는 보완적인 수혜에 대체로 만족하고 있다. 다른 선수들과의 형평성도 감안되었고 연봉협상을 둘러싼 구단과의 불협화음이 결코 본인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스타 선수들이 샐러리 캡이 허용하는 최대의 범위 내에서 스타 선수에게 연봉을 주는 경우라면 자연히 스타가 아닌 선수들은 연봉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스타 선수가 같은 팀에 있기 때문에 팀 성적이 올라가 좋은 면도 없지 않으나 본인의 연봉 인상에 부정적인 효과가 가져다 줄 수 있기에 이중적인 태도를 취하게 될 수밖에 없는 묘한 입장에 서게 될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샐러리 캡에서 정한 상한선에 도달하지 못한 구단이 많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선수간 갈등은 보이지 않고 있는 것 같다.
참고문헌
이창섭, 남상우 저, 스포츠사회학,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임상일 저, 실감나는 스포츠 살아있는 경제학, 두남 2001
조순, 김영식 외 저, 경제학원론, 율곡출판사 2013
이상효 저, 체육행정 경영의 이론과 실제, 스포츠북스 2013
이정학 저, 스포츠 마케팅, 한국학술정보 2012
설수영, 김예기 저, 스포츠 경제학, 오래 2011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1.28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