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16 -K 플립플롭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험] 16 -K 플립플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표
2. 사용 부품
3. 실험
4. 결과 및 결론
5. 평가 및 복습문제

본문내용

앞서 실험한 토글과 일치하는 형태였다.
실험 순서 4. 리플 카운터 :
종속 연결된 플립플롭은 그림 16-4처럼 리플 카운터 회로에서 주파수 분할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그림 16-4는 74LS76 안에 있는 두 개의 플립플롭을 사용한 리플 카운터를 보여주며 QA는 CLOCK 진동수의 1/2 이며 QB는 CLOCK 진동수의 1/4 배이다.
추가조사 : tPLH와 tPHL 측정
-토글동작 모드로 J-K 플립플롭을 구성하고 오실로스코프의 커서 기능을 사용하여 tPLH와 tPHL을
관찰하였다. 그림에서 A점이 클럭의 50%지점을 찍었고, B점이 Q의 50% 지점을 찍어서 X가 34.40ns로 측정 되었다. 따라서 tPHL = 34.40ns 이다.
- 커서 기능을 사용하여 A점이 클럭의 50% 지점을 찍고, B점이 Q의 50% 지점을 찍어서 X가 46.00ns로 측정 되었다. 따라서 tPLH = 46.00ns 이다.
※tPLH와 tPHL 값이 다른 이유는 순방향 바이어스와 역방향 바이어스가 걸리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이다.
5. 평가 및 복습문제
1) 비동기 입력과 동기 입력의 차이는?
CLK펄스에 의해 변화하면 동기 입력이고, CLK펄스와 무관하게 작동하면 비동기 입력이다.
2-a) J-K를 비동기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은?
CLK에 신호를 주지 않고 구성하고, 와 을 이용하여 구동시킨다.
2-b) J-K를 동기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은?
CLK에 신호를 주고 구성하고, 와 를 High로 놓아 비활성화 시킨다.
3) J=K=Low, ==High 일 때 J-K F/F의 출력에 어떤 영향?
래치 상태가 되어 이전 상태를 유지시킨다.
4) 그림 16-3에서 J와 K가 바뀌었을 때의 영향은?
최초 상태가 계속 유지된다. Q가 최초에 1이면 계속해서 1, 0이면 계속해서 0을 유지한다.
5) 그림 16-3에서 적색 LED On, 녹색 LED Off 일 때, 황색 LED가 Off 일 때 3가지 가능한 고장내역은?
의 연결된 부분이 접지로 연결되었다. Q가 0인 상태로 CLK에 입력이 들어가지 않는 경우, Q의 출력이 0인 상태에서 J-K 입력이 바뀐 경우, Q가 접지로 연결된 경우.
6) 그림 16-4에서 녹색 LED Off, 적색 LED 점멸 이고 두 번째 F/F의 CLK가 존재 할 때 가능한 고장내역은?
녹색 LED의 연결 문제, J가 접지로 연결되어 가 1이된 경우, LED에 들어가는 전압에 문제가 있는 경우.
  • 가격9,66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2.01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