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인간(철인)] 중간고사 - 10.2 아인슈타인 : 전쟁 위협을 제거하기 위하여 & 10.3 하이젠베르크 : 연구자의 책임에 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과 인간(철인)] 중간고사 - 10.2 아인슈타인 : 전쟁 위협을 제거하기 위하여 & 10.3 하이젠베르크 : 연구자의 책임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0.2 아인슈타인 : 전쟁 위협을 제거하기 위하여
10.3 하이젠베르크 : 연구자의 책임에 관하여

본문내용

하지만 이러한 그의 의견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분명 특정한 개인이 적정한 시기에 어떠한 것을 발견해 냈기에 지금의 역사가 있다고 생각한다. 혹여 누군가가 전자와 전기를 발견하지 못했었고 나중에 다른 이에 의해 발견되었다면 현재 이 순간 이렇게까지 과학과 문명이 발전하지 못했을 것이다. 뒤늦은 발견으로 인해 발명의 순간도 늦어지고 발전 역시 늦어질 것이다. 따라서 역사 속 특정한 개인의 발견과 발명이 축척되어 현재의 지금까지 온 것이다.
또 과거의 누군가가 발견을 했기에 지금 이 순간 그러한 발견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것이다. 하이젠베르크의 말대로 뉴턴이 중력을 발견하지 못했더라도 어느 다른 이가 중력을 발견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다른 이가 언제 중력을 발견할 것이라고 어떻게 장담할 수 있을까? 만약 그가 중력을 발견하지 못했고 지금까지도 그것을 발견한 사람이 없다면 중력이란 개념은 아직까지도 어둠 속에 묻혀있었을지도 모른다. 즉, 역사 속의 사건이 발생하고 존재하는 것으로 부터 지금 이 순간이 존재하기에 우리는 역사 내에서 특정한 개인의 역할을 쉽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어떤 근거로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 가격9,66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4.02.02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