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Schizophrenia][정신분열병]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신간호학][Schizophrenia][정신분열병]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문 헌 고 찰★
※ 기원
※ 유병율
※ 증상


- 간호과정 -

1. 대상자의 인적사항 (identification)
2. 주호소 (chief complaint)
3. 현병력 (history of present illness)
4. 과거병력 (past history)
5. 약물사용 (alcohol and drug history)
6. 개인발달력 (past personal history)
7. 가족력 (family history)
8. 정신성적 이력 (sexual history)
9. 정신상태 검사 (mental status examination)
10. 심리사회적 사정 (psychosocial criteria)
11. 신체사정
12. 임상적 검사 결과
13. 정신질환에 대한 치료 (약물치료, 정신요법, 활동요법 등)
14. 의학적 진단

간호진단
1.지나친 자심감과 관련된 대인관계 어려움
2.의료진 능력 의심함과 관련된 치료적 효과 저하
3.자존감 결여

[♠ 간호 평가 ♠]

본문내용

어맞아서 wild swelling과 코 찢어진 경험있음.
간호진단
지나친 자심감과 관련된 대인관계 어려움
기대결과
타 환우들에게 자신의 의견을 적절히 밝히고, 대인관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탁구게임등 놀이요법시간을 이용하여 심판을 보게 한다던지 해서 대인관계기술을 넓힐 수 있도록 하였다.
♣방장역할을 잘 할 수 있다.
♣지나친 참견과 같은 행동을 보일 시에는 행동화에 제한을 가한다.
♣집단활동은 자신감과 타인에 대한 신뢰감을 증진시키며 관계를 개선시키고 사회성을 향상시켜준다.
♣내적 통제가 부족한 경우 행동에 대해 분명한 외적 통제가 반드시 필요하다.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먼저 솔선하여 상호작용을 하지 못한다. 따라서 간호사는 상호작용을 증진시켜야 한다.
♣7월 12일 오목대회시 오목심판을 하고 훈수를 두지 못하도록 하였으며, 7월 14일 탁구대회에는 탁구심판을 보도록 하여 타 환우들로 부터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고 환우들과 어울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방장의 역할을 잘 수행하였다.
♣타 환우와 마찰을 보인다던지 다툴 기미가 보일 경우에는 학생간호사가 옆에서 원만한 분위기를 이룰 수 있도록 돕고, 조금뒤에 환우와 왜 그렇게 행동하였는지에 대하여 대화를 나누고 무엇이 잘못되었는지를 생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간호평가
타 환우들과 작은 트러블은 있었지만 잘 지내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대인관계가 적절히 유지되었다.
#2.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의사선생님이 잘 몰라서 그렇지 내 만병통치약은 집에 가는거야"
♣의사가 모르고 있는데 난 아이큐가 140이 넘는데 난 여기 있을 필요가 없다. 의사보다 똑똑하다."
♣국군수도 통합병원 군의관님이 병이 없다고 했다. 그래서 징병검사 합격통지서를 받아서 민방위대 현역 소대장으로 복무했다. 그곳에서 근무를 한다는 것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병이 없다는 말이 되지 않느냐?
♣지속적으로 약을 빼달라고 요청하며 퇴원요구를 집요하게 함
♣면담할 필요가 없다고 하면서 내 병은 내가 더 잘 안다고 우김.
♣일방적인 complaint 지속하다가 teaching하면 받으들이지 못하고 들으려고 하지 않음.
간호진단
의료진 능력 의심함과 관련된 치료적 효과 저하
기대결과
치료진과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의료진을 믿고 따를 수 있도록 신뢰감 형성을 위하여 면담시 이해와 들어주는 방향으로 대화한다.
♣치료제에 대하여 협조적인 태도를 보이고 약을 잘 복용한다.
♣일관성있는 모습을 보여 믿음을 주기위해 노력한다.
♣지적보다는 작은 일에 칭찬을 통해 치료진에 대한 신뢰감을 회복하도록 한다.
♣환자와 잘 알고 있는 간호사와 접촉하는 것은 환자의 공포를 감소시키고 신뢰를 수립한다.
♣의료진을 믿고 따를 수 있도록 신뢰감 형성을 위하여 면담시 이해와 들어주는 방향으로 대화하였다.
♣치료에 대한 협조를 얻기 위하여 먹고 있는 약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환자가 궁금해하는 것이 있으면 알고 있는 최대한 성심성의껏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원내 미화활동등을 칭찬해주고 치료진에 대한 신뢰감을 회복하도록 하였다.
간호평가
치료제에 협조적인 태도를 보였다.
#3.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월요일 1시에 그림그리기 해요!"
♣(타 pt와 대화시) "저랑 예기해요., 학생간호사님 지금 바쁘세요?"
♣"저 그림 잘그리는데 학생간호사님 실습 기념해서 제가 그림그려 드릴까요?"
♣(게시판을 가르키며) "이 그림보다 내가 더 잘그릴 수 있는데……"
♣다른 pt와 대화시 주변을 얼쩡거림
♣지속적인 contact과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주기를 간절히 원함.
♣자신이 잘하는 그림그리기등을 하자고 조름.
♣다른 pt말에 반발하고, 자신의 지식을 알리리는 욕구가 강해보임.
♣하루에도 몇번씩 같은 질문을 반복함
간호진단
자존감 결여
기대결과
자존감을 회복하고 원만한 병원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대상자가 쓰기, 그리기와 같이 에너지를 쏟아낼 수 있는 활동에 참여하도록 지지한다.
♣매점도우미등을 할 수 있도록 도와서 책임감과 자부심을 가지고 병원생활을 할수 있도록 한다.
♣지식적 욕구가 왕성함을 감안하여 신문을 같이 읽는다.
♣문제내기와 문제풀기를 좋아하는 대상자를 위하여 퀴즈를 함께 풀고 대상자가 퀴즐를 내도록 하여 타 환우들과 함께 푼다.
♣쓰기와 그리기는 에너지와 연결지어서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도록 한다.
♣책임감이나 자부심을 갖을 수 있도록 도와주면 어느정도의 자좀감을 회복할 수 있다.
♣환자의 교육적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킬수 있도록 지원한다.
♣환자 관심을 탐색하고 어떻게 충족시킬지 의논한다.
♣매점도우미로서 타 환우들에게 빵이나 우유등을 나누어 줌으로써 매우 행복해하고 자부심을 가진다.
♣그림그리기를 실시하여 자신이 좋아하고 잘하는 일을 할 수 있도록 자원을 제공하고 함께 하였다.
♣병동 미화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병동에 그림을 글려 붙여놓는등 자신이 만족과 자신감을 느낄수 있는 일을 할수 있도록 하였다.
♣신문에 나오는 퀴즈를 함께 풀고, 함께 신문을 읽었다.
♣문제내기와 문제풀기를 좋아하는 대상자를 위하여 퀴즈를 함께 풀고 대상자가 퀴즐를 내도록 하여 타 환우들과 함께 풀었다.
♣7월 20일 레크레이션 시간에 볼링게임과 ox퀴즈 게임의 사회자 역할을 수행하였다.
간호평가
원하는 일을 하면서 행복해하고, 원활히 병원생활을 하였다.
[♠ 간호 평가 ♠]
대상자는 워낙에 장기입원 환자로 차트가 분리되어 있어서 old chart를 볼 수는 없었지만 간호사선생님 말씀에 의하면 입원 처음부터 자신의 병을 인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고 했으나, 환자와의 지속적인 면담과 환자에게 지속적인 관심이 기울여지자 대상자도 자신의 문제점은 인식하고 개선하려는 모습이 보였다. 남은 과제는 치료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환자와 더불어 보호자의 교육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또 환자가 나의 진단을 통해 변화되기에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개선되는 모습을 보아가면서 간호사로서 많이 뿌듯하고 행복했던것 같다. 많은 부분 회복이 되었으면 좋겠다.
  • 가격3,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2.16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48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