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과정
2. 결과
3. 토의 및 고찰
2. 결과
3. 토의 및 고찰
본문내용
액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플라스크를 엎지르는 바람에 잔류액
60cc가 손실되었다.
유출액 260 / 300 : 100 = 95.13 / 120 : X --- 91.5 %
잔류액 260 / 300 : 100 = 112.77 / 120 : X --- 108 %
2. 결과
액류
용량 (cc)
중량 (g)
밀도 (g/ml)
농도 (%)
원 액
300
260
0.87
100
유출액
120
95.13
0.79
91
잔류액
120
112.77
0.94
108
시간 ( 분 )
유출량 (cc)
온도 (℃)
2
25
86
4
42
101
6
60
103
8
77
115
10
93
118
12
100
122
14
118
120
18
120
116
※ 12 분에서 Heater off
3. 토의 및 고찰
- 메탄올의 끓는점은 78.4℃이고 물의 끓는점은 100℃이다. 그러므로 가열을
하면 처음 초류 5㏄는 100℃ 이하에서 유출 되었기 때문에 순수한 메탄올이
나올 것이다. 그리고 그 이후 메탄올과 물이 썩여서 나올 것이고 마지막 5㏄는 아마 물일 것이다. 또 마지막 잔류물도 물일 것이다.
실험과정 중 잔류액이 든 플라스크를 냉각시키다가 실수로 엎질러 많은량이 손실되
었다. 하지만 잔류액의 농도를 계산한 값은 같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좀더 조심하고
신중한 실험태도가 필요하겠다.
증류를 시키는 실험이기 때문에 실험과정 중에서 미량이지만 공기중으로 증발하거나
장치간의 연결부분에서 새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손실되는 양이 있을 것이다.
만약 유출액을 재증류 하면 더욱 순수한 액체를 얻을수 있어 휘발성 및 끓는점이 보다
낮아질 것이다.
60cc가 손실되었다.
유출액 260 / 300 : 100 = 95.13 / 120 : X --- 91.5 %
잔류액 260 / 300 : 100 = 112.77 / 120 : X --- 108 %
2. 결과
액류
용량 (cc)
중량 (g)
밀도 (g/ml)
농도 (%)
원 액
300
260
0.87
100
유출액
120
95.13
0.79
91
잔류액
120
112.77
0.94
108
시간 ( 분 )
유출량 (cc)
온도 (℃)
2
25
86
4
42
101
6
60
103
8
77
115
10
93
118
12
100
122
14
118
120
18
120
116
※ 12 분에서 Heater off
3. 토의 및 고찰
- 메탄올의 끓는점은 78.4℃이고 물의 끓는점은 100℃이다. 그러므로 가열을
하면 처음 초류 5㏄는 100℃ 이하에서 유출 되었기 때문에 순수한 메탄올이
나올 것이다. 그리고 그 이후 메탄올과 물이 썩여서 나올 것이고 마지막 5㏄는 아마 물일 것이다. 또 마지막 잔류물도 물일 것이다.
실험과정 중 잔류액이 든 플라스크를 냉각시키다가 실수로 엎질러 많은량이 손실되
었다. 하지만 잔류액의 농도를 계산한 값은 같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좀더 조심하고
신중한 실험태도가 필요하겠다.
증류를 시키는 실험이기 때문에 실험과정 중에서 미량이지만 공기중으로 증발하거나
장치간의 연결부분에서 새는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손실되는 양이 있을 것이다.
만약 유출액을 재증류 하면 더욱 순수한 액체를 얻을수 있어 휘발성 및 끓는점이 보다
낮아질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