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경우 경련이나 의식의 변화
- 치료 : 항생제나 항진균제로 세균이나 진균제거
경구용 항생제는 효과가 불확실하므로 주사제로 사용
※ 의학용어 ※
-RDS(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BPD(bronchopulmonary dysplasia) 기관지 폐 이형성증
-CHD(congenital heart disease) 선천성 심장질환
-D/C : discharge 퇴원, discountinue 중지
-CPD(cephalo pelvic disproportion) 아두 골반 불균형
-HMD(hyaline membrane disease) 유리질막증=호흡곤란증후군
-IDM(infant of diabetic mother) 당뇨병 산모 출생아
-IUGR(intra uterine growth retardation) 자궁내 발육 지연
-MAS(meconium aspiration syndrome) 태변흡인 증후군
-NST(newborn screening test)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정상 질식분만
<2006년 9월 5일 화요일>
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 발생빈도
-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출생체중이 작을수록 발생빈도 높음
- 전체 출생중 약 2%
▶ 발병 위험 인자
발병을 증가시키는 요인
- 미숙아 자체, 분만 진행전의 제왕절개술, 신생아 가사, 남아, 당뇨병산모의 출생아, 다 태아 중에서 두 번째 출생아, 중증의 RH 부적합증, 산모출혈, 한랭 스트레스, 산모의 과거 RDS출산력, 흑인보다는 백인
발생기전
-미숙에 의한 폐내 표면활성제의 생산 및 분비의 부족
-폐의 호흡 구조상 페포내의 공기 교환 공간의 미숙 및 alveolar endothelial membrane 의 부적당 등에 의한 가스 교환 부족
-외형적으로 highly compliant chest wall로 인하여 폐가 허탈되는 것에 대한 저항이 적 어 잘 허탈되어지는 것
증상 :빈호흡, 함몰호흡, 호기시 신음, 청색증, nasal flaring(급성), 기관지 폐이형성증
치료 : 산소요법, 산.염기균형 유지, 적절한 체온환경 유지, 적절한 조직관류와 산소공 급 유지, 저혈압 방지. 수분공급 및 전해질 상태 유지
※ surfartant(계면활성제) ※
- 폐포 상피에서 분비되는 표면활성 인지질
세제와 같은 역할을 하여, 폐포와 공기 통로에 있는 체액의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폐포 가 동일하게 확장되게 하고 낮은 폐포내 압력에서 폐의 확장을 유지시켜준다.
2. 조기 양막 파수(Premature rupture of membrane;PROM)
- 임신37주 이전에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되어 흐르는 경우
- 원인 : 산모의 감염(질내 염증),산모의 영양상태(비타민C,아연,구리 결핍), 산모의 흡연 또는 간접흡연, 태아막의 선천적인 이상 또는 외상
- 발생빈도 : 5~20%
- 치료 : 절대안정, 태아상태 관찰, 회음부 청결상태 유지, 항생제 주사 투여,혈액검사
3. 태변 흡인 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MAS)
- 태변이 들어있는 양수를 자궁내 또는 출산중 태아나 신생아의 기관내로 흡인하는 것
- 임상 양상 : 출생시 태변 착색, 빈호흡, 저산소증, 과다호흡(초기), 과소호흡(후기)
- 치료 : 출생시 하인두 흡인
- 기관삽관및흡인,호흡곤란 치료,산증과 저산소혈증예방,인공계면활성제나 INO,ECMO사용
4. 미숙아 무호흡증(apnea of premature)
-서맥, 산소포화도 감소
- 치료 : 항생제나 항진균제로 세균이나 진균제거
경구용 항생제는 효과가 불확실하므로 주사제로 사용
※ 의학용어 ※
-RDS(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BPD(bronchopulmonary dysplasia) 기관지 폐 이형성증
-CHD(congenital heart disease) 선천성 심장질환
-D/C : discharge 퇴원, discountinue 중지
-CPD(cephalo pelvic disproportion) 아두 골반 불균형
-HMD(hyaline membrane disease) 유리질막증=호흡곤란증후군
-IDM(infant of diabetic mother) 당뇨병 산모 출생아
-IUGR(intra uterine growth retardation) 자궁내 발육 지연
-MAS(meconium aspiration syndrome) 태변흡인 증후군
-NST(newborn screening test) 선천성 대사이상 검사
-NSVD(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정상 질식분만
<2006년 9월 5일 화요일>
1.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RDS)
▶ 발생빈도
- 재태기간이 짧을수록 출생체중이 작을수록 발생빈도 높음
- 전체 출생중 약 2%
▶ 발병 위험 인자
발병을 증가시키는 요인
- 미숙아 자체, 분만 진행전의 제왕절개술, 신생아 가사, 남아, 당뇨병산모의 출생아, 다 태아 중에서 두 번째 출생아, 중증의 RH 부적합증, 산모출혈, 한랭 스트레스, 산모의 과거 RDS출산력, 흑인보다는 백인
발생기전
-미숙에 의한 폐내 표면활성제의 생산 및 분비의 부족
-폐의 호흡 구조상 페포내의 공기 교환 공간의 미숙 및 alveolar endothelial membrane 의 부적당 등에 의한 가스 교환 부족
-외형적으로 highly compliant chest wall로 인하여 폐가 허탈되는 것에 대한 저항이 적 어 잘 허탈되어지는 것
증상 :빈호흡, 함몰호흡, 호기시 신음, 청색증, nasal flaring(급성), 기관지 폐이형성증
치료 : 산소요법, 산.염기균형 유지, 적절한 체온환경 유지, 적절한 조직관류와 산소공 급 유지, 저혈압 방지. 수분공급 및 전해질 상태 유지
※ surfartant(계면활성제) ※
- 폐포 상피에서 분비되는 표면활성 인지질
세제와 같은 역할을 하여, 폐포와 공기 통로에 있는 체액의 표면장력을 저하시켜, 폐포 가 동일하게 확장되게 하고 낮은 폐포내 압력에서 폐의 확장을 유지시켜준다.
2. 조기 양막 파수(Premature rupture of membrane;PROM)
- 임신37주 이전에 진통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되어 흐르는 경우
- 원인 : 산모의 감염(질내 염증),산모의 영양상태(비타민C,아연,구리 결핍), 산모의 흡연 또는 간접흡연, 태아막의 선천적인 이상 또는 외상
- 발생빈도 : 5~20%
- 치료 : 절대안정, 태아상태 관찰, 회음부 청결상태 유지, 항생제 주사 투여,혈액검사
3. 태변 흡인 증후군(meconium aspiration syndrome;MAS)
- 태변이 들어있는 양수를 자궁내 또는 출산중 태아나 신생아의 기관내로 흡인하는 것
- 임상 양상 : 출생시 태변 착색, 빈호흡, 저산소증, 과다호흡(초기), 과소호흡(후기)
- 치료 : 출생시 하인두 흡인
- 기관삽관및흡인,호흡곤란 치료,산증과 저산소혈증예방,인공계면활성제나 INO,ECMO사용
4. 미숙아 무호흡증(apnea of premature)
-서맥, 산소포화도 감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