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장애 대상자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장애 대상자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용적만큼 흡기가 이루어진다.
③간헐적 강제환기(IMV)
계속적으로 대상자가 자연스러운 호흡을 하면서 인공호흡기가 정해진 1회 호흡량을 정해진 횟수에 따라 전달하는 방식이다. 대상자의 자발적인 호흡사이에 치료자가 설정한 강제적 환기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점차 인공호흡기의 보조를 줄여가면서 대상자 자신의 호흡기능의 점전적인 회복을 가능하게 한다.
장점은 대상자가 호흡근육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축을 예방할수 있다
④동시성 간헐적 강제환기(SIMV)
대상자의 환기 노력과 동시에 인공호흡기에서 공기를 전달한다. 즉 1분당 정해진 횟수만큼 대상자의 흡기 노력과 일치하여 간헐적으로 시작하도록 되어 있다.
⑤호기말 양압호흡(PEEP)
기계적 환기를 받는 대상자의 기도를 양압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방식이다. 호기가 끝날때에도 기도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기도와 폐포의 허탈을 방지함으로서 기능적 잔기량을 증가시켜 폐포에서 폐모세혈관으로 더 많은 산소를 확산 시킨다. PEEP은 호기와 흡기동안 산소가 확산 될수 있기 때문에 산소농도를 감소시켜 사용가능하다. 대개 1-15cmH2o 내로 범위를 설정한다. 그러나 심한 저산소증이 있는 성인호흡장애 증후군 대상자의 경우 40cmH2o 이상 사용 가능하다.
PEEP으로 인한 생리적인 변화는 흉곽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정맥혈이 심장으로 귀환하는것을 감소시킨다. 정상적으로 정맥귀환은 호기말에 흉곽내압이 음압을 이룰때 대정맥의 혈액이 심장으로 들어가게 된다. 정맥귀환량이 감소되면 심작출량이 저하되어 혈압저하. 빈맥. 소변량감소 등이 초래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흉부대동맥에 있는 압수용기가 이를 감지하고 뇌하수체를 자극하여 ADH 의 분비를 증가시켜 혈량이 증가되어 과혈량증이 발생된다. 잠재적인 문제로 기흉이 생길수 있다.
⑥CPAP
자발적인 호흡을 하는 대상자의 기도에 호기말 양압이 가해지는 방식이다. 대상자가 인공호흡기의 보조를 받지않고 자발적으로 호흡이 가능하다.
⑶기계적 인공호흡을 하는 대상자의 간호
-인공호흡기의 연결이 대상자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인공호흡기가 분리되면 대상자에게 뇌 손상을 줄수 있으므로 인공 호흡기 경보기는 항상 켜져있어야 한다.
-소생백은 항상 침상옆에 비치해 둔다.
-규칙적인 동맥혈가스분석검사를 필요로 한다.
-PEEP 사용시 심박출량을 감소 시킬수 있기 때문에 혈압과 맥박. 소변량 관찰.
-매시간 체위변경과 구강간호 실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2.20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