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적 오더 체계는 사라지고 수평판과 함께 단순한 구조체로서 반복에 의한 규칙적 그리드 체계로 나타나는 자유로운 공간을 형성하며, 기둥에 의해 들어 올려진 건물은 필로티(Piloti)를 형성하고 하나의 Object로 보여 지게 된다. 이후 포스트모던의 많은 작가들에 의해 기둥은 비로소 단순한 구조적 역할에서 벗어나 장식적으로 자유롭게 표현되어 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해체주의 작가에 의해 기존의 그리드에 의한 질서체계에 대한 반향적 성격이기 보다 새로운 지서체계의 도전과 가능성을 최대화 하기 위한 시도로서 이해 도리 수 있을 것이다.
오더와 기둥의 수학적 분할
<그림 Ⅲ-1 르네상스의 기둥배열 방식>
일찍이 고대 그리스, 로마의 수학사상은 자연주의적 생명성에 익숙한 고대미술로부터 기하학적 사상의 실천을 통하여 실재의 접근이 가능한 구조적 형태의 미술을 탄생하게 하였다. 이러한 기하학정신은 다시 비잔틴 미술의 제의적 성격으로서의 색체 미학의 조화로운 정합성의 미술을 경유하여 르네상스 미술에서 화려하게 부활되었다. 즉 고대부터 내려오던 기하학적 관심과 연구가 르네상스 원근법의 완성으로 이어졌고 이는 건축에서도 수학적 개념에 의한 오더체계와 기둥의 분할로 질서적 체계를 갖는다는 것이다.
오더는 기둥의 각 부위와 기둥의 위에 놓이는 엔타블러처(Entablature)의 각 부의 수직적 비례를 결정하고, 이러한 기둥과 기둥의 간격을 기둥배열(Intercolumniation)이라 부른다. 기둥 분할은 일반적으로 기둥 간격과 기둥의 뿌리의 반경(M=모듈)과의 관계로 표시하며 기둥의 지름에 기초하여 비트루비우스가 정한 기둥배치간격의 5가지 표준거리는 지름의 1.5배인 밀주식(pycnostyle), 2배(2D)인 집주식(systyle), 2.25배인 정주식(eustyle), 3배(3D)인 광주식(diastyle), 4배 이상의 거리인 아레오식(araeostyle) 등이 있다.
도미노 시스템에 의한 기둥열
<그림 Ⅲ-2 Masion Dom-ino, Le Cordusier, 1915>
르 꼬르뷔지에는 국제주이양식의 창시자중 한사람으로 미스 반 데어 로에와 함께 구조적 발전에 힘입어 기둥과 벽을 분리한 자유평면의 개념을 도출하여 냈다. 즉 <그림 Ⅲ-2>의 도미노 시스템에 의하면 3개의 수평면이 6개의 수직적 기둥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칸막이 벽은 기능적으로 독립되고 평면과 입면은 자유로워지며 내부 공간은 규칙적인 기둥열에 의해 혼란스러움이 방지되는 질서를 갖게 된다.
<그림 Ⅲ-3 Barcelona Pavilion, Ludwing Mies de Rohe, 1929>
<그림 Ⅲ-3>에서 보여지는 평면은 8개의 크롬 도금한 십자형 구조기둥에 의해 A지붕이 지지되고 있고 벽체의 자유로운 배치를 볼 수 있다. 미스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자유로운 평면과 명쾌한 구조는 서로 땔 수 없는 것이다. 구조는 전체의 골격이며, 자유로운 평면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 골격이 없이는 평면은 자유스럽게 될 수 없고, 혼란스러워지며 융통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처럼 기둥 열은 동일한 형태의 균일한 간격으로 그리드 체계를 만들어 구측적 질서를 시각화 하는 역할을 하고 천장이나 벽면의 변화에 따라 기둥열의 그리드 또한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해체 의해 독립된 기둥열
기둥열이 그리드 속성을 파기하는 현상으로 다수의 해체주의 작가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유형은 공간의 전체에 적용되기보다는 건물 내에서 특정한 공간에 드러나 그 성격을 부여함을 알 수 있다. 그리드에서 이탈된 기둥은 독자적인 성격을 가지고 표현적 측면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이는 공간 내에서 질서가 다소 흐트러지는 모습을 볼 수 있으나 독립된 하나의 기둥은 과거역사에 대한 기억, 은유적 표현, 기호적 역할 등 상징적 측면을 가하게 나타내기도 하고, 가늘어지고 무리를 이루면서 건물의 Mass를 띄우는 무중력 형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기둥이 갖고 있는 그리드의 속성을 유지하면서 색체와 재료 또는 형태의 변화에 의해 강한 이질적 성격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는 구조적 질서를 유지하면서 표현적 변화를 주는 경우이다.
<사진 Ⅲ-18 해체에 의한 기둥열>
결론
공간 구조의 기본요소이자 과거서부터 장식적 표현으로 중요시 여겨왔던 기둥을 중심으로 과거에서 변화되어온 표현적 특성과 질서체계를 살펴봄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앞으로도 설계되어질 구조기둥의 표현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기둥을 조사하며 얻게 된 결론은 첫째, 인간은 세계의 관계와 자신의 존재를 구축하기 위한 표현으로서 중심(Column)을 만들었고, 이는 형상에서 느껴질 수 있는 주위의 허공에 대해 가지는 힘의 작용을 시각적으로 체계화한 것으로서 인간의 욕구이자 조형 활동의 시작이었다. 받치는 모티브와 애워싸는 모티브, 이 두 주제는 3차원의 시각적 표현을 하는데 있어 기본적 요소이다. 이는 구속을 제약하고 다른 예술가 구별되는 현상이지만 공간을 확정하는데 있어 동기이며, 힘이며, 질서인 것이다.
둘째, 기둥의 구성에 있어서 ‘형태의 구성’이라는 예술이론이 전개되고 있으며 형태구성은 대상물의 실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 사이의 관계를 지배하고 형태미를 증진시키는 형태지각 요소 중 특히 질서의 문제로 축약 될 수 있다. 또한 중심 집중 체계와 그리드 체계의 질서적인 성격에 따른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그 시대의 사회적 욕구와 지역의 문화적 상황에 따라 미의 기준은 다르게 해석되어지고, 기둥의 질서적 표현방식도 변화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에 나타난 도리아, 이오니아, 코린트 양식과 그들의 혼합된 기둥 양식은 근대 이전까지 복잡과 단순을 반복하며 표현 되었다. 근대 이후에는 도미노이론의 영향과 급속한 기술의 발전으로 기둥의 형태는 주두의 화려한 장식이 없어지고 오직 메마른 회색의 콘크리트 사각기둥으로 대체되기도 하였지만, 기억에 대란 향수는 다시 중심에 기둥을 세우고 단지 역학적 기능이 아닌 역사, 기억, 은유라는 우리 내면의 의식이 표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기하학적 질서체계와 장식표현의 단순성이 비슷한 주기로 변화함을 볼 수 있다.
오더와 기둥의 수학적 분할
<그림 Ⅲ-1 르네상스의 기둥배열 방식>
일찍이 고대 그리스, 로마의 수학사상은 자연주의적 생명성에 익숙한 고대미술로부터 기하학적 사상의 실천을 통하여 실재의 접근이 가능한 구조적 형태의 미술을 탄생하게 하였다. 이러한 기하학정신은 다시 비잔틴 미술의 제의적 성격으로서의 색체 미학의 조화로운 정합성의 미술을 경유하여 르네상스 미술에서 화려하게 부활되었다. 즉 고대부터 내려오던 기하학적 관심과 연구가 르네상스 원근법의 완성으로 이어졌고 이는 건축에서도 수학적 개념에 의한 오더체계와 기둥의 분할로 질서적 체계를 갖는다는 것이다.
오더는 기둥의 각 부위와 기둥의 위에 놓이는 엔타블러처(Entablature)의 각 부의 수직적 비례를 결정하고, 이러한 기둥과 기둥의 간격을 기둥배열(Intercolumniation)이라 부른다. 기둥 분할은 일반적으로 기둥 간격과 기둥의 뿌리의 반경(M=모듈)과의 관계로 표시하며 기둥의 지름에 기초하여 비트루비우스가 정한 기둥배치간격의 5가지 표준거리는 지름의 1.5배인 밀주식(pycnostyle), 2배(2D)인 집주식(systyle), 2.25배인 정주식(eustyle), 3배(3D)인 광주식(diastyle), 4배 이상의 거리인 아레오식(araeostyle) 등이 있다.
도미노 시스템에 의한 기둥열
<그림 Ⅲ-2 Masion Dom-ino, Le Cordusier, 1915>
르 꼬르뷔지에는 국제주이양식의 창시자중 한사람으로 미스 반 데어 로에와 함께 구조적 발전에 힘입어 기둥과 벽을 분리한 자유평면의 개념을 도출하여 냈다. 즉 <그림 Ⅲ-2>의 도미노 시스템에 의하면 3개의 수평면이 6개의 수직적 기둥에 의해 지탱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칸막이 벽은 기능적으로 독립되고 평면과 입면은 자유로워지며 내부 공간은 규칙적인 기둥열에 의해 혼란스러움이 방지되는 질서를 갖게 된다.
<그림 Ⅲ-3 Barcelona Pavilion, Ludwing Mies de Rohe, 1929>
<그림 Ⅲ-3>에서 보여지는 평면은 8개의 크롬 도금한 십자형 구조기둥에 의해 A지붕이 지지되고 있고 벽체의 자유로운 배치를 볼 수 있다. 미스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자유로운 평면과 명쾌한 구조는 서로 땔 수 없는 것이다. 구조는 전체의 골격이며, 자유로운 평면을 가능하게 해 준다. 이 골격이 없이는 평면은 자유스럽게 될 수 없고, 혼란스러워지며 융통성을 상실하게 된다. 이처럼 기둥 열은 동일한 형태의 균일한 간격으로 그리드 체계를 만들어 구측적 질서를 시각화 하는 역할을 하고 천장이나 벽면의 변화에 따라 기둥열의 그리드 또한 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해체 의해 독립된 기둥열
기둥열이 그리드 속성을 파기하는 현상으로 다수의 해체주의 작가에 의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유형은 공간의 전체에 적용되기보다는 건물 내에서 특정한 공간에 드러나 그 성격을 부여함을 알 수 있다. 그리드에서 이탈된 기둥은 독자적인 성격을 가지고 표현적 측면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이는 공간 내에서 질서가 다소 흐트러지는 모습을 볼 수 있으나 독립된 하나의 기둥은 과거역사에 대한 기억, 은유적 표현, 기호적 역할 등 상징적 측면을 가하게 나타내기도 하고, 가늘어지고 무리를 이루면서 건물의 Mass를 띄우는 무중력 형상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한 기둥이 갖고 있는 그리드의 속성을 유지하면서 색체와 재료 또는 형태의 변화에 의해 강한 이질적 성격을 나타내기도 하는데, 이는 구조적 질서를 유지하면서 표현적 변화를 주는 경우이다.
<사진 Ⅲ-18 해체에 의한 기둥열>
결론
공간 구조의 기본요소이자 과거서부터 장식적 표현으로 중요시 여겨왔던 기둥을 중심으로 과거에서 변화되어온 표현적 특성과 질서체계를 살펴봄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앞으로도 설계되어질 구조기둥의 표현 가능성을 기대해본다.
기둥을 조사하며 얻게 된 결론은 첫째, 인간은 세계의 관계와 자신의 존재를 구축하기 위한 표현으로서 중심(Column)을 만들었고, 이는 형상에서 느껴질 수 있는 주위의 허공에 대해 가지는 힘의 작용을 시각적으로 체계화한 것으로서 인간의 욕구이자 조형 활동의 시작이었다. 받치는 모티브와 애워싸는 모티브, 이 두 주제는 3차원의 시각적 표현을 하는데 있어 기본적 요소이다. 이는 구속을 제약하고 다른 예술가 구별되는 현상이지만 공간을 확정하는데 있어 동기이며, 힘이며, 질서인 것이다.
둘째, 기둥의 구성에 있어서 ‘형태의 구성’이라는 예술이론이 전개되고 있으며 형태구성은 대상물의 실체를 구성하는 각 부분들 사이의 관계를 지배하고 형태미를 증진시키는 형태지각 요소 중 특히 질서의 문제로 축약 될 수 있다. 또한 중심 집중 체계와 그리드 체계의 질서적인 성격에 따른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그 시대의 사회적 욕구와 지역의 문화적 상황에 따라 미의 기준은 다르게 해석되어지고, 기둥의 질서적 표현방식도 변화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대 그리스에 나타난 도리아, 이오니아, 코린트 양식과 그들의 혼합된 기둥 양식은 근대 이전까지 복잡과 단순을 반복하며 표현 되었다. 근대 이후에는 도미노이론의 영향과 급속한 기술의 발전으로 기둥의 형태는 주두의 화려한 장식이 없어지고 오직 메마른 회색의 콘크리트 사각기둥으로 대체되기도 하였지만, 기억에 대란 향수는 다시 중심에 기둥을 세우고 단지 역학적 기능이 아닌 역사, 기억, 은유라는 우리 내면의 의식이 표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는 기하학적 질서체계와 장식표현의 단순성이 비슷한 주기로 변화함을 볼 수 있다.
추천자료
좋은 사람들의 보디가드를 통해 본 광고의 변천사
노인복지에 관한 연구A+,노인복지 관련법,노인복지 시설의 변천사
[미국경제의 역사][미국경제의 전개][미국경제의 현안][미국경제를 보는 시각][미국경제][경...
[가족정책] 가족정책의 정의, 유형화, 변천사, 가족관련법
SNS 트위터 등장 배경, 정보분석, 소셜네트워크, 개념, 변천사, 현황, 성격, 향후 전망, 발전...
[뚜레쥬르 마케팅전략] 기업선정이유/베이커리업계 특성/빵산업변천사/시장상황/자사분석/경...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의 개념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아동복지 변천사에 대해 설명 후 현재...
[광고론] 화장품 광고 변천사.pptx
[광고론] 태평양 화학의 광고 변천사
[경제학] 경제학의 시대적 변천사 (근대 경제학 이전의 변천, 근대 경제학의 변천, 현대 경제...
커피전문점시장현황-국냐외커피브랜드시장,카페베네 VS 스타벅스,국내 커피 산업의 변천사,브...
[복식과 문화] “발레 (무대)의상의 변천사”
[뚜레쥬르 마케팅전략] 기업선정이유/베이커리업계 특성/빵산업변천사/시장상황/자사분석/경...
[대중예술 수업 발표자료] 재즈의 어원과 변천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파워포인트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