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주제 선정동기
본론
2. 기업소개 및 주요 브랜드 소개
3.광고의 역사
3-1 1900년대 초반
3-2 1950년대
3-3 1960년대
3-4 1970년대
3-5 1980년대
3-6 1990년대
3-7 2000년대 이후
4.경쟁사의 제품 광고
결론
5 결론
6 참고문헌 및 사이트
1 주제 선정동기
본론
2. 기업소개 및 주요 브랜드 소개
3.광고의 역사
3-1 1900년대 초반
3-2 1950년대
3-3 1960년대
3-4 1970년대
3-5 1980년대
3-6 1990년대
3-7 2000년대 이후
4.경쟁사의 제품 광고
결론
5 결론
6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보이시한 매력으로 나온 수많은 광고들은 라네즈를 상위 매출 브랜드로 올려놓는 지대한 공을 세웠고. 드라마에서 보여주었던 털털한 느낌과 화장품 모델로서의 여성스러움과 오묘한 조화로 김지호도 톱스타의 반열에 오르게 된다.
1997년
태평양 아이오페 레티놀 2500
97년3월 발매된 이후 3개월 만에 무려 50만개를 판매한 국내 최대 히트 상품.국내 최초로 이중 캡슐 조성물 기술을 적용해 레티놀을 제품화 하는데 성공함으로써 국내 장업게 1위 기업으로서 위상을 높였을 분 아니라 여타 다른 브랜드에서 레티놀 제품을 개발하는 계기가 되었다.당시 화장품 시장으로는 고가인 6만원에출시됐음에도 불구하고 97년과 98년 13개 일간지와 일본 경제지에 히트 상품으로 선정되는 기록을 낳았다.
1990년 대에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과장된 화장보다는 자연스러운 내추럴 메이크업이 유행 하게 되었다.
90년대 이전의 광고보다 세련되고 화장도 옅어지게 되었다.
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피부 자체의 투명함을 강조하면서 화이트닝 제품의 깨끗한 피부를 강조하는 메이크업이 광고속에 등장했다.
3-6 2000년대 이후
2000년대는 테크노 시대로 사이버틱하고 테크노적인 메이크업이 유행을 선도하고 있는 반면 기계문명으로부터 탈피하려는 마음이 자연으로 회귀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나 내추럴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과학적 요소와 자연적 요소가 공존하는 2000년대에도 자연의 순수로 돌아가고픈 여성들의 심리를 과학적으로 접근하려는 시도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주름, 미백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젊어지고 싶어하는 인간의 마음을 기능이 강화된 화장품으로 접근하려는 시도도 계속 이어질 것이다.
태평양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인 라네즈는 2000년대 들어 이나영을 모델로 쓰기 시작했다. 생얼이라고 해도 믿을정도로 가벼운 화장으로 광고계에 등장해 라네즈의 입지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었다.
이 당시 라네즈는 “Every day new face”라는 캠페인을 시작하여
첨단 과학을 통한 세련된 현대 여성의 미를 구현한다는 컨셉으로
20대 여성들의 피부고민에 대해 명확한 솔루션을 제공 하였다.
이후 당시 최고의 CF모델이었던 전지현을 모델로 섭외하여
기초모델은 이나영, 색조 모델은 전지현으로 병행 하게 된다.
전지현은 친밀감 속에 청순함과 섹시미를 오가는팔색조모습을 선보이며 ‘닮고 싶은 여성’ 이미지를 극대화했다.
이후 2008년부터 모델을 송혜교로 전격 교체하게 되는데 “최근 세련되고 시크한 매력이 더해진 송혜교가 라네즈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가장 잘 매치되는 배우”라며 “송혜교처럼 되고 싶어 하는 아시아 여성들의 마음을 충분히 사로잡을 것” 이라고 관계자들이 전했다.
최근에 라네즈가 노후화된 인식이 생김으로 에뛰드 하우스가 태평양의 최대 매출 브랜드가 되었다.
국내 최초의 메이크업 브랜드로 런칭된 에뛰드는 다채로운 컬러와 앙증맞은 디자인으로 소녀 이미지를 구축하는 목표로 최근에 크게 각광받고 있다.
자신들이 내세운 브랜드 이미지에 맞게 아이돌 위주의 모델 발탁으로
다양한 연령층에게 어필 하고있다.
4.경쟁사의 제품광고
최근 로드샵 브랜드에서 태평양 브랜드들이 상위권을 뺏기고 있는데 이는 다른 경쟁사들이 많이 치고 올라 왔기 때문이다.
또 가장 인지도 높은 라네즈의 경우 친근하고 가까운 이미지의 브랜드로 자리하고 있었는데 유통의 다변화와 경쟁 심화, 기능성 화장품등이 새로운 추세로 등장하게 되면서 라네즈는 노후된 이미지로 자리잡게 되었고 순위권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The Face Shop
더 페이스 샵은 LG생활건강의 브랜드로 자연을 피부에 가장좋은 상태로 전달한다는 목표로 2003년 출범하게 되었다.
빠른 시장장악과 해외시장 개척으로 2005년부터 업계 1위로 올라서게 되었다.
더 페이스샵은 초기에 전지현을 시작으로 박민영, 손연재등 당시 최고의
인기 스타들을 모델로 세웠으며 현재는 서현,수지, 김현중등 을 모델로 내세워 밝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앞세우고 있으며 한류스타 아이돌을 통해서
국내 뿐만이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MISSHA
미샤는 에이블씨엔씨에서 2000년에 런칭한 브랜드로써 가격이 비싸야만 잘팔린다는 화장품 업계의 통념을 깬 국내 최초의 초저가 브랜드로서 저럼한 가격과 고객이 만족하는 품질로 많은 사랑을 받고있다. 처음에는 온라인 판매를 시작하다가 2002년부터 직영점을 열어 오프라인 판매를 시작하였다.
국내 최초로 “브랜드 샵”이라는 개념을 도입했고 대학생 선호 브랜드 1위,소비자 포럼 선정 선호도 1위등 여러 부문에서 선호하는 브랜드이다.
해외 유명 브랜드들이 잠식해 가고있던 국내 화장품 시장에 초저가 브랜드 열풍을 이어나가고 있다.
5.결론
화장품 광고의 모델은 아름다워야 하겠지만 그보다는 모델과 브랜드의 이미지 연관성이 중요하다.
소비자의 기억속에서 이미지를 심어주지 못한 광고들은 실패 했다고 볼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오늘날의 화장품 광고 추세는 장기간 모델을 기용하여 모델과 브랜드의 이미지를 일치시키려 하고 있다.
라네즈의 이나영, 에뛰드의 송혜교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브랜드의 특성과 모델의 이미지가 조화를 이룰 때 성공적인 광고라고 할수있다.
6.참고 문헌 및 사이트
http://blog.naver.com/jjanimom?Redirect=Log&logNo=130157325430
http://blog.naver.com/wjmiso1004?Redirect=Log&logNo=10089985992
http://blog.naver.com/cobaltmaldiv?Redirect=Log&logNo=63690751
http://tubetint.blog.me/20104349155
http://piafpiaf.blog.me/130097603795
http://blog.naver.com/silveryes1?Redirect=Log&logNo=80153204718
http://valley.egloos.com/viewer/?url=http://dorothy01.egloos.com/3546747
http://erin_91.blog.me/120143407205
1997년
태평양 아이오페 레티놀 2500
97년3월 발매된 이후 3개월 만에 무려 50만개를 판매한 국내 최대 히트 상품.국내 최초로 이중 캡슐 조성물 기술을 적용해 레티놀을 제품화 하는데 성공함으로써 국내 장업게 1위 기업으로서 위상을 높였을 분 아니라 여타 다른 브랜드에서 레티놀 제품을 개발하는 계기가 되었다.당시 화장품 시장으로는 고가인 6만원에출시됐음에도 불구하고 97년과 98년 13개 일간지와 일본 경제지에 히트 상품으로 선정되는 기록을 낳았다.
1990년 대에는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과장된 화장보다는 자연스러운 내추럴 메이크업이 유행 하게 되었다.
90년대 이전의 광고보다 세련되고 화장도 옅어지게 되었다.
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는 피부 자체의 투명함을 강조하면서 화이트닝 제품의 깨끗한 피부를 강조하는 메이크업이 광고속에 등장했다.
3-6 2000년대 이후
2000년대는 테크노 시대로 사이버틱하고 테크노적인 메이크업이 유행을 선도하고 있는 반면 기계문명으로부터 탈피하려는 마음이 자연으로 회귀하려는 모습으로 나타나 내추럴 메이크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과학적 요소와 자연적 요소가 공존하는 2000년대에도 자연의 순수로 돌아가고픈 여성들의 심리를 과학적으로 접근하려는 시도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주름, 미백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젊어지고 싶어하는 인간의 마음을 기능이 강화된 화장품으로 접근하려는 시도도 계속 이어질 것이다.
태평양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인 라네즈는 2000년대 들어 이나영을 모델로 쓰기 시작했다. 생얼이라고 해도 믿을정도로 가벼운 화장으로 광고계에 등장해 라네즈의 입지를 더욱 단단하게 만들었다.
이 당시 라네즈는 “Every day new face”라는 캠페인을 시작하여
첨단 과학을 통한 세련된 현대 여성의 미를 구현한다는 컨셉으로
20대 여성들의 피부고민에 대해 명확한 솔루션을 제공 하였다.
이후 당시 최고의 CF모델이었던 전지현을 모델로 섭외하여
기초모델은 이나영, 색조 모델은 전지현으로 병행 하게 된다.
전지현은 친밀감 속에 청순함과 섹시미를 오가는팔색조모습을 선보이며 ‘닮고 싶은 여성’ 이미지를 극대화했다.
이후 2008년부터 모델을 송혜교로 전격 교체하게 되는데 “최근 세련되고 시크한 매력이 더해진 송혜교가 라네즈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가장 잘 매치되는 배우”라며 “송혜교처럼 되고 싶어 하는 아시아 여성들의 마음을 충분히 사로잡을 것” 이라고 관계자들이 전했다.
최근에 라네즈가 노후화된 인식이 생김으로 에뛰드 하우스가 태평양의 최대 매출 브랜드가 되었다.
국내 최초의 메이크업 브랜드로 런칭된 에뛰드는 다채로운 컬러와 앙증맞은 디자인으로 소녀 이미지를 구축하는 목표로 최근에 크게 각광받고 있다.
자신들이 내세운 브랜드 이미지에 맞게 아이돌 위주의 모델 발탁으로
다양한 연령층에게 어필 하고있다.
4.경쟁사의 제품광고
최근 로드샵 브랜드에서 태평양 브랜드들이 상위권을 뺏기고 있는데 이는 다른 경쟁사들이 많이 치고 올라 왔기 때문이다.
또 가장 인지도 높은 라네즈의 경우 친근하고 가까운 이미지의 브랜드로 자리하고 있었는데 유통의 다변화와 경쟁 심화, 기능성 화장품등이 새로운 추세로 등장하게 되면서 라네즈는 노후된 이미지로 자리잡게 되었고 순위권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The Face Shop
더 페이스 샵은 LG생활건강의 브랜드로 자연을 피부에 가장좋은 상태로 전달한다는 목표로 2003년 출범하게 되었다.
빠른 시장장악과 해외시장 개척으로 2005년부터 업계 1위로 올라서게 되었다.
더 페이스샵은 초기에 전지현을 시작으로 박민영, 손연재등 당시 최고의
인기 스타들을 모델로 세웠으며 현재는 서현,수지, 김현중등 을 모델로 내세워 밝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앞세우고 있으며 한류스타 아이돌을 통해서
국내 뿐만이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성과를 기대하고 있다.
MISSHA
미샤는 에이블씨엔씨에서 2000년에 런칭한 브랜드로써 가격이 비싸야만 잘팔린다는 화장품 업계의 통념을 깬 국내 최초의 초저가 브랜드로서 저럼한 가격과 고객이 만족하는 품질로 많은 사랑을 받고있다. 처음에는 온라인 판매를 시작하다가 2002년부터 직영점을 열어 오프라인 판매를 시작하였다.
국내 최초로 “브랜드 샵”이라는 개념을 도입했고 대학생 선호 브랜드 1위,소비자 포럼 선정 선호도 1위등 여러 부문에서 선호하는 브랜드이다.
해외 유명 브랜드들이 잠식해 가고있던 국내 화장품 시장에 초저가 브랜드 열풍을 이어나가고 있다.
5.결론
화장품 광고의 모델은 아름다워야 하겠지만 그보다는 모델과 브랜드의 이미지 연관성이 중요하다.
소비자의 기억속에서 이미지를 심어주지 못한 광고들은 실패 했다고 볼수 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여 오늘날의 화장품 광고 추세는 장기간 모델을 기용하여 모델과 브랜드의 이미지를 일치시키려 하고 있다.
라네즈의 이나영, 에뛰드의 송혜교 등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브랜드의 특성과 모델의 이미지가 조화를 이룰 때 성공적인 광고라고 할수있다.
6.참고 문헌 및 사이트
http://blog.naver.com/jjanimom?Redirect=Log&logNo=130157325430
http://blog.naver.com/wjmiso1004?Redirect=Log&logNo=10089985992
http://blog.naver.com/cobaltmaldiv?Redirect=Log&logNo=63690751
http://tubetint.blog.me/20104349155
http://piafpiaf.blog.me/130097603795
http://blog.naver.com/silveryes1?Redirect=Log&logNo=80153204718
http://valley.egloos.com/viewer/?url=http://dorothy01.egloos.com/3546747
http://erin_91.blog.me/120143407205
추천자료
베이직 하우스의 매체기획, 광고전략, 경쟁사 조사, 광고 예산 설정,매체 목표
정치광고
티저 형식의 TTL 광고와 Khai 광고가 시청자들에게 인지적, 선호적 차원에서 어떠한 영향을 ...
TV광고의 효과와 측정기준
광고의 특성과 영향력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한 대안제시(A+레포트)
[미디어영상학과 - 광고기획제작]32-C형 광고카피의 효과적인 제작방법을 논하시오.
[사회적 책임][교회 사회적 책임][민영방송 사회적 책임][학습장애아 사회적 책임][광고][기...
[윤리성][윤리][직업][광고][교원][교직][생명][낵태수술][임신중절수술][기업]직업의 윤리성...
광고모델전략!
(A+레포트) 광고의 개념 및 종류와 특징분석, 기능과 역기능, 성공전략, 광고 성공과 실패 사...
LG 옵티머스G 마케팅전략분석 및 옵티머스G 광고전략분석과 옵티머스G 새로운 광고전략제안
[차별화][제품차별화][품질차별화][가격차별화][경영차별화][심의차별화][국제광고차별화][제...
[구조적 변화, 광고효과 구조적 변화, 영화산업, 국제금융시장, 경제보도, 행정부]광고효과의...
비너스(VENUS) 마케팅 광고전략 분석과 비너스 새로운 광고전략 기획제언 및 비너스 시사점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