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궁경부로부터 박리하지 못한 경우, 태아가 횡으로 누워 있는 경우, 앞쪽 전치 태반인 경우 사용된다.
< 제왕 절개의 적응증 >
① 태아 적응증 : 태아 곤란증, 비정상적태위(횡와위, 둔위), 뇌수종, 태아 종양시
② 산모 적응증 : 난산(dystocia), 출혈(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이전에 제왕절개 를 실시했던 경우, 여러 가지 질환시(임신 중독증, 당뇨병)
③ 금기증 : 태아 사망, 산모 질환이나 상태(폐부종 or 심한 천식시 산모 위험)
④ 합병증 : 감염(항생제 투여로 예방), 출혈(옥시토신), 자궁적출술
2. 자궁 경부 결찰술(Cerclage)
: 자궁 경부 무력증인 경우 경부의 조기 개대 및 자궁 경관 소실을 예방하기 위해 자궁 경부를 결찰 하는 수술이다.
① Shirodkar법, McDonald 법, 경복부적 자궁경부 결찰술의 종류.
② 임신 중반기 통증 없이 자궁 경부가 열려 임신을 지속시키지 못한 경우가 2회 이상시 의심.
③ 금기 : 경부가 많이 열려 있는 경우, 양막파수 or 심한 질출혈시
④ 합병증 : 출혈, 감염, 양막파수, 조기 진통
3. 흡입 분만(Vacuum delivery)
① 적응증 : 진공 만출은 두정위에서만 가능, 경관이 완전히 개대되어 있는 경우, 태아의 머리가 비정상적으로 회전되어 있는 경우
② 금기증 : 두정위외엔 사용해선 안됨. 미숙아에겐 사용 금지, 태아 두피에서 혈 액 채취한 경우, 아두골반 불균형시, 태아 선진부위가 높을시 금기.
③ 합병증 : 산모(열창), 태아(두개내 혈종, 태아 두피 찰과상, 두혈종, 인공산류)
<< 이상 분만 >>
1. 정의
① 정상 분만 : 자궁의 수축력과 산모의 노력에 의한 적절하고 지속적인 자궁 경부의 개대와 선진부의 하강을 말함.
② 난산(Dystocia) : 어려운 진통 or 분만. 태아 이상, 골반 협착, 수축이상 시
* 아두골반 불균형(CPD- cephalopelvic disproportion)
: 절대적 아두골반 불균형(태아의 머리 크기가 산모의 골반 크기보다 큰 경우)
상대적 아두골반 불균형(부동고정위 or 태아두위 신전으로 인해 상대적인 경우)
2. 만출력 이상
: 진통의 활성기에는 자궁 수축력의 진폭이 25mmHg~75mmHg사이, 2분~5분 간격
분만 2기에는 자궁의 수축 빈도가 중요하며, 대개 2~3분.
① 잠복기 지연(Prolonged latent phase) : 이유 불불명(진정제 or 마취제 등)
② 활성기 지연(Protracted active phase) : 과다한 진정제나 마취제의 투여 or 아 두 골반 불균형 or 태아의 태위 이상 원인
③ 이차적 자궁 경부 개대의 정지(Sencondary arrest of dilatation)
: 지연 분만에서 증가. 50%에서 아두골반 불균형이 원인. 태아 태위 이상도 흔함.
④ 하강 이상(descent disorder) : 자궁 경부 개대의 이상과 동반. 동일 원인.
3. 태아의 태위 및 발육 이상에 따른 이상
① 원인 : 태위 이상, 태아 거대증(fetal macrosomia), 태아 구조 이상
② 치료 : 태위이상시(제왕절개술), 태아거대증(질식분만 가능여부 판단필요), 양 막절개술 or 옥시토신 등의 적극적인 치료, 결합쌍생아나 태아 종양시(제왕절개술)
4. 난산 이상
① 원인 : 정상적인 여성형 골반의 협착, 골반 협착(pelvic contracture), 척추 후굴증(kyphosis), 척추 측만증(scoliosis), 구루병(rickets), 회백수염, 골반 골절
② 처치 : Friedman 정상 분만 과정 곡선을 기억해야 함. 명백한 CPD 경우 제왕절개술 시행. 자궁 수축력 정도 파악.
<< 둔위를 포함한 비정상 태위 >>
1. 비정상 선진(Abnormal presentation) : 두정(vertex) 이외의 모든 선진
① 둔부 선진(breech presentation) : 태아 엉덩이가 골반 입구에 진입.
진둔위(frank breech- 다리가 고관절에서 굴곡, 슬관절에서 신전되었을 때)
완전 둔위(complete- 슬관절이 둘다 신전되지 않고 하나나 둘이 굴곡됨)
불완전둔위(in~: 발이나 무릎 하나나 둘이 둔부 아래에 놓여 있을 때.=족위)
② 횡위(Transverse lie) : 어깨가 골반 입구에 선진.
③ 안면 선진(Face ~) : 머리가 과신전되어 후두가 태아의 등에 닿고 턱이 선진부
④ 전액태위(Brow~) : 태아 머리는 완전 굴곡(후두)과 완전 신전의 중간 위치
⑤ 혼합 선진(compound) : 사지가 선진부와 나란히 있어서 둘이 동시에 골반으로 들어갈 때이다.
2. 비정상 선진의 발생률 : 재태 기간과 관련. 만삭 가까울수록 두부 선진 발생률 증가.
3. 이환율과 사망률
견부 선진이나 전액태위 태아 분만에서는 이환율과 사망률이 100%. 둘 다 성공적인 질식 불만이 불가능하고, 제왕절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복합선진의 이환율은 태아 곤란증을 일으키는 제대 탈출 및 압박의 동반 여부에 거의 전적으로 관계된다. 태아가 분만을 견디지 못하면 제왕절개를 시행해야 하고, 정상적으로 진행하면 질식분만을 시행한다.
4. 처치
① 모든 둔부 선진 환자에서 선천성 기형을 찾아야 한다.
② 비정상 선진의 제왕절개 분만 처치 필요.
③ 예방 목적의 외부 전위(external version)
<< 임신 중 약물 및 독성 물질 >>
- 배아 발생(embryogenesis) 시기는 장기의 세포들이 가장 빨리 증식하는 시기로 기형이 발생하기 가장 쉬운 시기. 일단 발달이 된 후는 기형유발인자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 양이 적은 경우 아무런 영향을 못 미치나 중간 정도의 양의 경우 기형초래.
- 소수의 환경적 요인들만이 확증된 기형유발인자들로 수은, 나프탈렌이 대표적.
* 임신 시기에 따른 영향
① 임신 후 1~2주 임신 초기 : 방사선에 의해 배아가 죽거나 방사선에 의한 세포의 파괴가 정상으로 복구된다.
② 임신 3~10주 : 주된 장기가 만들어지는 시기로 많은 기형을 일으킨다.
③ 중추신경계 : 임신 1기동안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음(방사선이 중추신경계를 가장 잘 침범하기 때문)
< 제왕 절개의 적응증 >
① 태아 적응증 : 태아 곤란증, 비정상적태위(횡와위, 둔위), 뇌수종, 태아 종양시
② 산모 적응증 : 난산(dystocia), 출혈(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이전에 제왕절개 를 실시했던 경우, 여러 가지 질환시(임신 중독증, 당뇨병)
③ 금기증 : 태아 사망, 산모 질환이나 상태(폐부종 or 심한 천식시 산모 위험)
④ 합병증 : 감염(항생제 투여로 예방), 출혈(옥시토신), 자궁적출술
2. 자궁 경부 결찰술(Cerclage)
: 자궁 경부 무력증인 경우 경부의 조기 개대 및 자궁 경관 소실을 예방하기 위해 자궁 경부를 결찰 하는 수술이다.
① Shirodkar법, McDonald 법, 경복부적 자궁경부 결찰술의 종류.
② 임신 중반기 통증 없이 자궁 경부가 열려 임신을 지속시키지 못한 경우가 2회 이상시 의심.
③ 금기 : 경부가 많이 열려 있는 경우, 양막파수 or 심한 질출혈시
④ 합병증 : 출혈, 감염, 양막파수, 조기 진통
3. 흡입 분만(Vacuum delivery)
① 적응증 : 진공 만출은 두정위에서만 가능, 경관이 완전히 개대되어 있는 경우, 태아의 머리가 비정상적으로 회전되어 있는 경우
② 금기증 : 두정위외엔 사용해선 안됨. 미숙아에겐 사용 금지, 태아 두피에서 혈 액 채취한 경우, 아두골반 불균형시, 태아 선진부위가 높을시 금기.
③ 합병증 : 산모(열창), 태아(두개내 혈종, 태아 두피 찰과상, 두혈종, 인공산류)
<< 이상 분만 >>
1. 정의
① 정상 분만 : 자궁의 수축력과 산모의 노력에 의한 적절하고 지속적인 자궁 경부의 개대와 선진부의 하강을 말함.
② 난산(Dystocia) : 어려운 진통 or 분만. 태아 이상, 골반 협착, 수축이상 시
* 아두골반 불균형(CPD- cephalopelvic disproportion)
: 절대적 아두골반 불균형(태아의 머리 크기가 산모의 골반 크기보다 큰 경우)
상대적 아두골반 불균형(부동고정위 or 태아두위 신전으로 인해 상대적인 경우)
2. 만출력 이상
: 진통의 활성기에는 자궁 수축력의 진폭이 25mmHg~75mmHg사이, 2분~5분 간격
분만 2기에는 자궁의 수축 빈도가 중요하며, 대개 2~3분.
① 잠복기 지연(Prolonged latent phase) : 이유 불불명(진정제 or 마취제 등)
② 활성기 지연(Protracted active phase) : 과다한 진정제나 마취제의 투여 or 아 두 골반 불균형 or 태아의 태위 이상 원인
③ 이차적 자궁 경부 개대의 정지(Sencondary arrest of dilatation)
: 지연 분만에서 증가. 50%에서 아두골반 불균형이 원인. 태아 태위 이상도 흔함.
④ 하강 이상(descent disorder) : 자궁 경부 개대의 이상과 동반. 동일 원인.
3. 태아의 태위 및 발육 이상에 따른 이상
① 원인 : 태위 이상, 태아 거대증(fetal macrosomia), 태아 구조 이상
② 치료 : 태위이상시(제왕절개술), 태아거대증(질식분만 가능여부 판단필요), 양 막절개술 or 옥시토신 등의 적극적인 치료, 결합쌍생아나 태아 종양시(제왕절개술)
4. 난산 이상
① 원인 : 정상적인 여성형 골반의 협착, 골반 협착(pelvic contracture), 척추 후굴증(kyphosis), 척추 측만증(scoliosis), 구루병(rickets), 회백수염, 골반 골절
② 처치 : Friedman 정상 분만 과정 곡선을 기억해야 함. 명백한 CPD 경우 제왕절개술 시행. 자궁 수축력 정도 파악.
<< 둔위를 포함한 비정상 태위 >>
1. 비정상 선진(Abnormal presentation) : 두정(vertex) 이외의 모든 선진
① 둔부 선진(breech presentation) : 태아 엉덩이가 골반 입구에 진입.
진둔위(frank breech- 다리가 고관절에서 굴곡, 슬관절에서 신전되었을 때)
완전 둔위(complete- 슬관절이 둘다 신전되지 않고 하나나 둘이 굴곡됨)
불완전둔위(in~: 발이나 무릎 하나나 둘이 둔부 아래에 놓여 있을 때.=족위)
② 횡위(Transverse lie) : 어깨가 골반 입구에 선진.
③ 안면 선진(Face ~) : 머리가 과신전되어 후두가 태아의 등에 닿고 턱이 선진부
④ 전액태위(Brow~) : 태아 머리는 완전 굴곡(후두)과 완전 신전의 중간 위치
⑤ 혼합 선진(compound) : 사지가 선진부와 나란히 있어서 둘이 동시에 골반으로 들어갈 때이다.
2. 비정상 선진의 발생률 : 재태 기간과 관련. 만삭 가까울수록 두부 선진 발생률 증가.
3. 이환율과 사망률
견부 선진이나 전액태위 태아 분만에서는 이환율과 사망률이 100%. 둘 다 성공적인 질식 불만이 불가능하고, 제왕절개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복합선진의 이환율은 태아 곤란증을 일으키는 제대 탈출 및 압박의 동반 여부에 거의 전적으로 관계된다. 태아가 분만을 견디지 못하면 제왕절개를 시행해야 하고, 정상적으로 진행하면 질식분만을 시행한다.
4. 처치
① 모든 둔부 선진 환자에서 선천성 기형을 찾아야 한다.
② 비정상 선진의 제왕절개 분만 처치 필요.
③ 예방 목적의 외부 전위(external version)
<< 임신 중 약물 및 독성 물질 >>
- 배아 발생(embryogenesis) 시기는 장기의 세포들이 가장 빨리 증식하는 시기로 기형이 발생하기 가장 쉬운 시기. 일단 발달이 된 후는 기형유발인자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 양이 적은 경우 아무런 영향을 못 미치나 중간 정도의 양의 경우 기형초래.
- 소수의 환경적 요인들만이 확증된 기형유발인자들로 수은, 나프탈렌이 대표적.
* 임신 시기에 따른 영향
① 임신 후 1~2주 임신 초기 : 방사선에 의해 배아가 죽거나 방사선에 의한 세포의 파괴가 정상으로 복구된다.
② 임신 3~10주 : 주된 장기가 만들어지는 시기로 많은 기형을 일으킨다.
③ 중추신경계 : 임신 1기동안 가장 많은 영향을 받음(방사선이 중추신경계를 가장 잘 침범하기 때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