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타에 의한 뇌성마비 장애아의 평가와 치료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이타에 의한 뇌성마비 장애아의 평가와 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세반응

2. 원시반사

3. 생후 첫 1년의 발달단계

4. 치료의 기본원리

5. 치료방법

6. 치료 적용및 치료량

본문내용

자세의 변화에 따라 중추신경계의 적응 능력, 즉 자세 반응성에 장애가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자세 반응 검사를 통하여 많은 자극이 동시에 전달되는데 자극의; 종류로는 관절, 관절낭, 건 , 전정기, 근육의 신장기 등의 고유수용성 자극, 피부를 통하여 들어가는 외수용성 자극, 흉막, 종격, 복막을 통해 들어가는 내수용성자극, 그리고 눈, 귀를 통하여 들어가는 원격수용성 자극이 있다. 각각의 자세 반응은 복잡하면서도 특색 있는 구심성자극의 단위가 통합되어 이루어진 결과로서 중추신경계는 이러한 구심성 단위를 처리하는데 있어 운동학적인 면에서 자세 및 운동반응이 일정한 발달연령에 맞는 일정하고 규칙적인 패턴을 유발하도록 조정한다.
2) 자세 반응의 검사
보이타에 의해 수정되고 체계화된 자세 반응 검사는 그에 의해 고안된 보이타 측방전위반응과 함께 모두 7가지 자세 반응이다. 자세 반응의 감수성은 보이타 측방전위 반응, 파이퍼역수직반응, 견인반응, 콜리스 역수직 반응, 콜리스 수평현수반응, 란다우 반응, 겨드랑이 걸치기 반응 순이다. 그러나 검사는 아이가 버둥거리지 않고 울지 않는 조용한 상태에서 실시되어야 한다.
⑴견인반응
⑵란다우 반응
⑶겨드랑이 걸치기 반응
⑷보이타 측방전위 반응
⑸콜리스 수평현수반응
⑹파이퍼 역수직 반응
(7)콜리스 역수직 반응
⑴견인반응
①출발자세: 똑바로 누운자세에서 고개를 정중 위로 놓는다.
②반응유발: 아기의 손을 잡아 수평면 위로 약 45까지 천천히 잡아 올린다.
③반응: 매 발달 단계 에 따라 4단계로 나눈다.
시기
머리
사지
제 1기( 0주-6주)
뒤로 떨어진다.
다리는 약간 굴곡된다(란다우반응, 겨드랑이 걸치기반응 1기와 같다).
제2기(7주-6개월)
머리는 숙여지고 전체 몸통에서 골곡 동작이 생긴다.
2a(3개월) ; 머리와 몸통이 직선을 이룬다.
2b(2기말): 턱을 가슴까지 끌어올린다.
다리는 몸통쪽으로 잡아당긴다. (flexion synergy)
2a: 약간 몸통쪽으로 당긴다.
2b: 두 다리를 배까지 굴곡시킨다.
제3기(7개월-8개월)
7개월 이후 머리와 몸통이 굴곡동작이 감소한다.
아기 스스로 몸을 위로 끌어올린다.
엉덩이를 지탱점( supporting point)으로 하여 스스로 일어나려 한다.
다리의 굴곡 동작은 점차 감소하고 무릎은 반쯤 펴진다.
다리의 굴곡 자세는 평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감소한다.
제4기( 9/10개월- 12개월)
자기 몸을 끌어올리면서 머리와 상부 몸통이 일직선이 된다.
다리는 뇌전하고 무릎은 느슨하게 신전된다.
12-14개월이 발뒤꿈치로 버티면서 무게점을 다리쪽으로 이동한다.
④주의 :
가. 3,4기에는 아기가 울지 않아야 한다.
나. 아기는 깨어 있어야 한다.
다. 검사자의 손가락을 아기의 척골측에서부터 넣고 다른 손가락은 전박 밀단에 놓아 손등에 닿지 않게 하여 파악반사를 충분히 이용하여 검사한다.
⑤비정상 반응:
1. 다리가 굴곡자세를 취하면서 대퇴의 심한 외전이 된다.
2. 한쪽 또는 양쪽 다리가 내전첨족상태, 경우에 따라 내선 되면서 흔히 교차되는 뻣뻣한 신전자세를 취한다.
3. 각 단계가 그 아기의 개월수의 나이 보다 낮은 상태에 있다.
4. 머리와 다리는 단계가 다르다.
5. 몸통의 후궁반장식 자세가 나타난다.
6. 8-9개월부터 다리를 지나치게 위로 올리고 몸통을 떠는 것은 소뇌성 운동실조를 의미한다.
7. 손이 주먹쥔 힘이 눈에 띄게 강했다 약했다 하면 3기부터는 무정위형을 의미한다.
⑵란다우 반응
①출발자세: 아기를 엎드려 누운자세로 유지하고 손을 편다.
②반응유발: 검사자의 편평한 손바닥위에 아기의 배를 올려놓고 들어 올리되 엄격하게 수평자세를 취한다.
③반응: 매 발달단계 에 따라 3단계로 나눈다.
시기
머리
몸통
사지
제1기( 0주-6주)
약간 수그린다.
가볍게 굴곡된다.
팔과 다리는 느슨하게 굴곡된다.
제2기 ( 7주- 3개월)
목은 어깨선까지 대칭적으로 신전된다.
약간 굴곡된다.
팔과 다리는 약간 굴곡 된다.
제3기
(13주- 6개월)
목은 대칭적으로 신전된다.
흉요이행부까지 대칭적으로 신전된다.
다리는 약간 외전된 상태에서 느슨하게 직각으로 굴곡되고 팔은 느슨하게 굴곡된다.
제4기 ( 7개월-8개월)
대부분 움직이고 뻗대며 몸을 뒤로 젖힌다. 수동적으로 아이의 머리를 숙이면 목을 수평으로 유지한다.
몸통과 목이 수평이 되도록 유지한다.
7개월: 굴곡 자세가 감소한다.
8개월: 양 다리는 느슨한 신전 상태를 유지한다. 양팔은 느슨한 굴곡상태이다.
④주의:
가. 검사자의 손은 아기의 등에 닿지 않도록 한다.
나. 아기가 심하게 울면서 몸을 뒤로 젖힐 때 이 반응을 비정상적 반응과 구별한다.
⑤비정상반응
1. 팔이 retraction되고 몸이 한쪽으로 휘어지면서 머리와 몸통이 비대칭적인 자세를 취한다.
2. 팔이 retraction되고 다리를 신전자세를 취하면서 머리는 후궁반장식 자세를 취한다.
3. 머리가 눈에 띄게 밑으로 쳐져 있고 몸통이 힘없는 자세를 취하면서 동시에 다리를 뻗치며 경우에 따라 팔을 retraction된다.
4. 고개가 신전되지 못하고 팔이 앞으로 뻗치면서 주먹은 쥐고 다리는 신전자세를 취한다.
⑶겨드랑이 걸치기 반응
①출발자세: 아기를 엎드려 누운 자세로 놓는다.
②반응유발: 겨드랑이 약간 아래쪽의 몸통을 잡고 아기를 들어올려 공중에 똑바로 세운다.
③반응: 매 발달 단계에 따라 3단계로 나눈다.
시기
하지
제1기(1a)(0주-3개월)
힘없이 구부린상태( 란다우 반응과 견인반응 1기와 비슷)를 취한다.
제1기(1b)(4개월-7개월)
양다리를 몸통쪽으로 끌어당긴다. 란다우 반응과ㅘ 견인반응의 제2기와 비슷하다.
제2기( 8개월- 12개월)
8개월이 되면 다리의 굴곡협력이 감소되면 양다리는 느슨한 신전 상태를 취한다. 양 발은 배굴되고 진자반응에서 양 다리가 같이 움직인다. 신전자세는 란다우 반응 제3기와 견인반응의 제4기와 비슷하다.
⑤진자반응
겨드랑이 걸치기 반응의 2-3기에 도달한 아기를 수동적으로 약 30-40도 앞뒤로 흔들면 병적 발달에서는 다리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5.05.29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54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