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문화 가족의 범위
일반적으로 외국인 출신의 가족원 이 포함된 가족을 의미.
다문화 가족의 정의
**2008년 제정(다문화가족 지원 법 제 2조)-결혼이민자나 귀화허가를 받
은 자와 출생 시부터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자로 이루어진 가족으로 정의하고 결혼이민자가족에 국한함.
**2007년 제정(재한 외국인처우 기본법 제 2조)
*재한 외국인: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지 아니한 자로서 대한민국에
거주할 목적을 가지고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자로 정의
*결혼이민자: 대한미국 국민과 혼인한적이 있거나 혼인관계에 있는
재한 외국인으로 정의.
(국적취득 이전과 이후로 분리하고 있음)
한국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 가족실태 조사를 분석한 결과
결혼 후 적응하는데 소요기간은 1년 미만이 가장 많음.
결혼 후 가장 큰 어려움은 의사소통임.
한국배우자에 의한 폭력발생률은 47.8%.
폭력에 그냥 참고 산다는 비율이 16.7%로 가장 높다.
취업비율은 결혼이민자가 19.4%, 한국인배우자는90.6%로
단순노무직 종사자와 임시근로자가 가장 많음.
일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자녀양육 , 가사, 부담이 지적되었다.
가구부채비율은45.3%로 주된 부채원인은 주거비,주택마련 이었다.
자녀양육상의 어려움은 한국어소통능력과 양육비,교육비지출 등임 .
노부모 부양비율은 43.9%이었다.
필요한 복지 서비스는 한국어교육이 54.5%로 가장 많음.
일반적으로 외국인 출신의 가족원 이 포함된 가족을 의미.
다문화 가족의 정의
**2008년 제정(다문화가족 지원 법 제 2조)-결혼이민자나 귀화허가를 받
은 자와 출생 시부터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자로 이루어진 가족으로 정의하고 결혼이민자가족에 국한함.
**2007년 제정(재한 외국인처우 기본법 제 2조)
*재한 외국인: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지 아니한 자로서 대한민국에
거주할 목적을 가지고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는 자로 정의
*결혼이민자: 대한미국 국민과 혼인한적이 있거나 혼인관계에 있는
재한 외국인으로 정의.
(국적취득 이전과 이후로 분리하고 있음)
한국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 가족실태 조사를 분석한 결과
결혼 후 적응하는데 소요기간은 1년 미만이 가장 많음.
결혼 후 가장 큰 어려움은 의사소통임.
한국배우자에 의한 폭력발생률은 47.8%.
폭력에 그냥 참고 산다는 비율이 16.7%로 가장 높다.
취업비율은 결혼이민자가 19.4%, 한국인배우자는90.6%로
단순노무직 종사자와 임시근로자가 가장 많음.
일하면서 느끼는 어려움은 자녀양육 , 가사, 부담이 지적되었다.
가구부채비율은45.3%로 주된 부채원인은 주거비,주택마련 이었다.
자녀양육상의 어려움은 한국어소통능력과 양육비,교육비지출 등임 .
노부모 부양비율은 43.9%이었다.
필요한 복지 서비스는 한국어교육이 54.5%로 가장 많음.
추천자료
다문화가족과 가족복지
가족과 청소년 복지 - 다문화가족의 이해와 다문화청소년 복지의 필요성 -
청소년과부모 3공통) 우리 사회에서 가족환경의 대표적인 변화특성 중 하나인 다문화 가족의 ...
우리 사회에서 가족환경의 대표적인 변화특성 중 하나인 다문화 가족의 증가현상에 대해 그 ...
다양한 가족유형 (이혼가족, 재혼가족, 다문화가족 등)중 하나의 유형을 선택하여 사회복지실...
우리나라 사회복지제도와 관련된 법 하나를 골라 제정과정 및 내용에 대해 분석 - 다문화가족...
다문화교육론2공통)국제결혼이주여성 혹은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책을 읽고 답. 기존에 본인이...
국제결혼이주여성 혹은 다문화가족과 관련된 책_완득이 1.기존 자신이 가지고 있던 편견 세가...
사회복지법의 체계를 사회보험법, 공공부조법, 사회복지서비스법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사회서...
[가족복지론]다문화가족
지역사회간호학) 다문화 사회의 이해 A+ - 다문화의 개념과 우리나라 다문화가족 현황 -
다문화가족의 다양한 문제점들과 대책에 대하여 기술 [다문화]
[다문화가족]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향후 과제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
가족상담및치료)다문화가족의 가족기능 회복을 위해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에 대해서 각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