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목차
1. 제안의 개요
1.1 사업의 제안배경
1.2 사업제안의 목적
1.3 제안의 특징 및 범위
2. 기초조사
2.1 조사 및 분석기법
2.2 관련계획분석
2.3 인문사회적 현황분석
2.4 공공디자인현황
2.5 국내외 사례조사
2.6 과제도출 및 시사점
3. 과업수행계획
3.1 사업추진전략
3.2 분야별 가이드라인 수립
3.3 법제화 방향
3.4 공공시설물 표준 디자인 개발
4. 사후관리계획
4.1 사업관리계획
4.2 성과물 활용을 통한 공공행정운영
4.3 디자인매뉴얼북 활용
4.4 전문가 자원 및 연계 프로그램
5. 과업수행 조직체계
5.1 사업수행조직체계
5.2 용역 진행일정 등
1.1 사업의 제안배경
1.2 사업제안의 목적
1.3 제안의 특징 및 범위
2. 기초조사
2.1 조사 및 분석기법
2.2 관련계획분석
2.3 인문사회적 현황분석
2.4 공공디자인현황
2.5 국내외 사례조사
2.6 과제도출 및 시사점
3. 과업수행계획
3.1 사업추진전략
3.2 분야별 가이드라인 수립
3.3 법제화 방향
3.4 공공시설물 표준 디자인 개발
4. 사후관리계획
4.1 사업관리계획
4.2 성과물 활용을 통한 공공행정운영
4.3 디자인매뉴얼북 활용
4.4 전문가 자원 및 연계 프로그램
5. 과업수행 조직체계
5.1 사업수행조직체계
5.2 용역 진행일정 등
본문내용
담양군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 수립 학술용역 제안서
“그곳에 가면 …
쉼과 치유를 얻는다.”
담양
1. 제안의 개요
╋━━━━━━━━━━─────────
1.1. 사업제안의 배경
담양의 고유정체성을 찾는 도시브랜드 형성 및
관광도시로서의 공공디자인 전략수립
- 담양의 역사성 · 문화성등을 연계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공공디자인 비전과 정책 수립 및 실행
- 공공디자인 각 영역의 디자인 원칙과 세부디자인 규정을 제시
- 도시이미지와 브랜드를 형성하기 위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실행방법을 제시하여
담양의 도시디자인 수준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향상시킴
(여건 변화)(제도적 근거)(도시이미지 창출)(도시위상 정립)
· 창평 슬로시티 지정
· 관광도시 담양 기반구축
· 녹생성장정책의 추진으로
담양이미지 제고
· 전라남도 경관기본계획
·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 2020 광주권 광역도시기본계획
· 2020 군기본계획
· 대숲맑은 생태도시 담양의 고유정체성 형성
· 관광도시로서의 공공디자인 전략수립
1. 제안의 개요
╋━━━━━━━━━━─────────
1.1. 사업제안의 배경
담양의 공공디자인 수요자 = 사람+자연
민간영역 공공영역 OUTDOOR INDOOR
≪ … 중 략 … ≫
2. 기초조사
╋━━━━━━━━━━─────────
2.1. 조사 및 분석기법
≪ 글 - 그림 파일 ≫
2.2. 경관자원조사 및 경관구조 분석
≪ 글 - 그림 파일 ≫
〓〓〓〓〓〓〓〓〓〓〓〓〓〓〓〓〓〓〓〓〓〓〓〓〓〓〓〓〓〓〓〓〓〓〓〓〓〓〓〓〓〓〓〓〓〓〓〓〓〓〓
8월의 한가로운 금요일 오후에 저희 수석연구원들은 담양톨게이트를 걸러서 죽녹원까지 관찰을 하였습니다. 좋은것과 나쁜것, 그리고 필요한것,필요없는 것들을 카메라속에 담으로 본 사업에 대한 관찰과 호흡을 하였습니다. 본 사업의 조사에서 저희들이 밝히는 핵심은 “객관적인 조사바법과 함께 감성과 문화를 더해” 담양의 스토리텔링을 이끌어 내는작업입니다.
기본계획 및 가이드라인 수립 학술용역 제안서
“그곳에 가면 …
쉼과 치유를 얻는다.”
담양
1. 제안의 개요
╋━━━━━━━━━━─────────
1.1. 사업제안의 배경
담양의 고유정체성을 찾는 도시브랜드 형성 및
관광도시로서의 공공디자인 전략수립
- 담양의 역사성 · 문화성등을 연계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공공디자인 비전과 정책 수립 및 실행
- 공공디자인 각 영역의 디자인 원칙과 세부디자인 규정을 제시
- 도시이미지와 브랜드를 형성하기 위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실행방법을 제시하여
담양의 도시디자인 수준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향상시킴
(여건 변화)(제도적 근거)(도시이미지 창출)(도시위상 정립)
· 창평 슬로시티 지정
· 관광도시 담양 기반구축
· 녹생성장정책의 추진으로
담양이미지 제고
· 전라남도 경관기본계획
· 전라남도 공공디자인 기본계획
· 2020 광주권 광역도시기본계획
· 2020 군기본계획
· 대숲맑은 생태도시 담양의 고유정체성 형성
· 관광도시로서의 공공디자인 전략수립
1. 제안의 개요
╋━━━━━━━━━━─────────
1.1. 사업제안의 배경
담양의 공공디자인 수요자 = 사람+자연
민간영역 공공영역 OUTDOOR INDOOR
≪ … 중 략 … ≫
2. 기초조사
╋━━━━━━━━━━─────────
2.1. 조사 및 분석기법
≪ 글 - 그림 파일 ≫
2.2. 경관자원조사 및 경관구조 분석
≪ 글 - 그림 파일 ≫
〓〓〓〓〓〓〓〓〓〓〓〓〓〓〓〓〓〓〓〓〓〓〓〓〓〓〓〓〓〓〓〓〓〓〓〓〓〓〓〓〓〓〓〓〓〓〓〓〓〓〓
8월의 한가로운 금요일 오후에 저희 수석연구원들은 담양톨게이트를 걸러서 죽녹원까지 관찰을 하였습니다. 좋은것과 나쁜것, 그리고 필요한것,필요없는 것들을 카메라속에 담으로 본 사업에 대한 관찰과 호흡을 하였습니다. 본 사업의 조사에서 저희들이 밝히는 핵심은 “객관적인 조사바법과 함께 감성과 문화를 더해” 담양의 스토리텔링을 이끌어 내는작업입니다.
추천자료
국내 게임산업의 발전전략
실버 관광 산업
공중화장실의 효율적인 유지관리 방안
북한 경제 발전을 위한 국내외 자금 조달 방안
[장애인고용][장애인고용정책][장애인고용촉진제도][장애인직업재활][장애인복지][장애인문제...
[소각처리][소각처리법][소각처리(소각처리법) 비용][폐타이어소각][다이옥신]소각처리(소각...
[창업] 창업기업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
[스포츠 시설관리] 학교 체육 (시설) 관리+α - 국내, 국외의 학교체육 (24p)
새만금, 시화테크노밸리, 화용호
국내외 초고층 빌딩 건설과 불황&경제위기와의 함수관계
교과교육론
예산결정이론관점에서 본 노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분석 (경기도 고양시 사례를 중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