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헌고찰
질병명 : 위식도역류질환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질환
간호사정
일반정보
가계도 & 가족 병력
입원과 관련된 정보
과거력
추가정보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간호정보 조사지
간호과정
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욕창 위험성
간호진단: 침습적 치료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피로
간호진단 추가
간호과정
간호진단: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
낙상 위험군 사정 척도
조기 치매검사(MMSE)
결론
질병명 : 위식도역류질환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질환
간호사정
일반정보
가계도 & 가족 병력
입원과 관련된 정보
과거력
추가정보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간호정보 조사지
간호과정
간호진단: 부동과 관련된 욕창 위험성
간호진단: 침습적 치료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진단: 질병과 관련된 피로
간호진단 추가
간호과정
간호진단: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일상생활 활동 측정도구
낙상 위험군 사정 척도
조기 치매검사(MMSE)
결론
본문내용
이 혼자서 하십니까?
1. 도움 없이 혼자서 화장실에 가고 대소변 후에 닦고 옷을 입는다.
2. 화장실에 가거나 변기 위에 앉는 일, 대소변 후에 닦는 일이나 대소변 후에 옷을 입는 일, 또는 실내용 변기를 사용하고 비우는 일에 대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3.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도 화장실 출입을 못하거나 실내용 변기를 이용해 대소변을 볼 수 있다.
대소변
대변이나 소변보기를 참거나 조절하는 능력
3
질문
어르신께서는 대변이나 소변을 지리거나 흘리지 않고 잘 보십니까?
1. 대변과 소변을 본인 스스로 조절한다.
2. 대변이나 소변 조절을 가끔 실패할 때가 있다.
3. 대변이나 소변을 전혀 조절하지 못한다.
출처: 원장원(2004). 일상생활 기능평가(K-ADL, K-IADL)
낙상 위험군 사정 척도
항목
0
1
2
3
점수
입원 일수
30일 이상
15~29일
8~14일
1~7일
0
연령
19세 이하
20~60세
61~74세
75세 이상
3
낙상 과거력
지난해
낙상력 없음
6개월~1년 내에 낙상
1~5개월 내에 낙상
지난 4주 내에 낙상
0
균형
정상
보조기구 이용하여 혼자 보행
보조 기구 및 2명 이상의 도움 필요
도움이 있어야 설 수 있음
3
인지 기능
지남력 있음
지남력
지남력
혼돈 상태
3
흥분 상태
(초조)
없음
거친 용어를 사용, 때로 욕설
소리를 지르거나 위협적인 언어를 사용
전투적이고 안정제가 필요함
0
우울
없음
식욕부진, 체중저하
자존감의 저하, 수면장애
집중력 저하, 식욕없음, 체중감소
3
불안
없음
인지기능은 좋으나 안절부절못할 때가 있음
확인을 자주함, 말이 빠름, 질문을 반복함
어떤 것에 매우 집중, 목이 막히는 느낌, 피해망상
3
시력
정상
안경 착용 혹은 한쪽 눈 시력 없음
시야가 흐림
백내장/녹내장
시야 장애
0
의사소통
정상
청력 장애
언어 장애
청력 및 언어 장애
0
약물
없음
CV med
CNS med
CV와 CNS med
CV med: 이뇨제, 베타 차단제, digitalis, 혈관확장제 등
CNS med: 항우울제, 수면제, 진통제, 진정제, psychotropic
만성 질환
ㆍ순환기계
ㆍ신경계
ㆍ호흡기계
ㆍ종양 등
없음
1가지
2가지
3가지 이상
3
비뇨기계 문제
ㆍ야뇨
ㆍ긴급뇨
ㆍ빈뇨
없음
1가지
2가지
3가지 모두
3
계
X > 21
골밀도 검사
(T-Score)
≥ -1
> -2
> -3
≤ -3
※ 고위험군>14점. T-Score≤-3
※ 대퇴골 경부 부전골절, 척추 압박골절 등의 스트레스 골절 위험이 높음
조기 치매검사(MMSE)
항목
반응
점수
지남력
시간
(5점)
년 (1)
무반응
0
월 (1)
무반응
0
일 (1)
무반응
0
요일 (1)
무반응
0
계절 (1)
무반응
0
지남력
장소
(5점)
나라 (1)
무반응
0
시, 도 (1)
무반응
0
무엇을 하는 곳 (1)
무반응
0
현재 장소명 (1)
무반응
0
몇 층 (1)
무반응
0
기억등록
(3점)
비행기 (1)
무반응
0
연필 (1)
무반응
0
소나무 (1)
무반응
0
주의집중
및
계산
(5점)
100 -7 (1)
무반응
0
-7 (1)
무반응
0
-7 (1)
무반응
0
-7 (1)
무반응
0
-7 (1)
무반응
0
기억회상
(3점)
비행기 (1)
무반응
0
연필 (1)
무반응
0
소나무 (1)
무반응
0
언어
(8점)
이름대기
시계
무반응
0
볼펜
무반응
0
명령시행
종이를 뒤집고
무반응
0
반으로 접은 다음
무반응
0
저에게 주세요.
무반응
0
따라 말하기
“백문이 불여일견”
무반응
0
읽기
“눈을 감으세요”
무반응
0
쓰기
“오늘 기분이나 오늘 날씨에 대해서 써보십시오”
0
시각적 구성
(1점)
보고그리기
무반응
0
총점
평가기준
24점 이상
정상
20~23점
치매 의심
15~19점
경증 치매 의심
14점 이하
중증 치매 의심
결론
연구결과
사례조사 환자는 역류성 식도염을 가진 환자이며 이에 대한 사례조사를 진행하던 도중 역류성 식도염은 빙산의 일각처럼 이미 Medical history에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른 질병이 많았다.
빈혈부터 시작해서 부종, 간염, Pnemonia 등... 많은 질병이 있엇지만 역류성 식도염을 초점으로 한 사례조사를 진행했다.
사례조사를 하는 도중 다른 질병들 때문에 간호과정을 1-2개로 끝내기엔 무리가 있엇고 진단 자체가 다른 질병 때문에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려움을 알면서도 진행하였다. 결과는 당연히 좋지 못했고 이미 간호사 선생님들도 병동에서 상태가 가장 안좋은 환자라고 하셨다.
참고문헌
www.druginfo.com
NANDA 간호진단(2011)
http://ko.wikipedia.org/wiki/%EC%8B%9D%EB%8F%84%EC%97%BC
위키피디아:식도염
http://wikipedia.org/hearburn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selectedTab=detail&diseaseSymptomTypeCode=AA&diseaseSymptomCode=AA000599&cpId=ja2&move=con
네이버 건강: 역류성 식도염
[병원이름]
의치 관리
의치 관리 및 예방
관리
&
예방
노인들은 혈류 공급의 감소와 이에 따른 조직영양 결핍 및 산소 공급의 결여로 치은, 즉 잇몸과 치조 골이 동시에 줄어드는 현상으로 치주 질환 즉 풍치로 고통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의치를 끼고 있는 노인들은 잊어버리거나 귀찮다는 이유로 하루종일 의치를 끼고 있는 경우가 있으나 하루 8시간이상 착용해서는 안됩니다.
2) 하루에 한번은 잇몸과 접촉하는 의치 부분을 깨끗이 닦고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잇몸을 마사지 해주어야 합니다.
3) 의치를 끼고 있는 동안, 자극으로 상처가 생기면 의치를 며칠간 빼놓고 증상이 10일 이상 지속될 때는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4) 의치도 자연치와 마찬가지로 색깔이 변색되고 치태와 치석 등이 생기게 됩니다.
5) 의치 청결을 소홀히 할 경우 턱관절 질환은 물론 씹는데도 어려움이 있게 됩니다.
6) 가장 중요한 것은 의치보다 3배이상 기능을 가진 자연치를 잘 보존하고 관리하는 일입니다.
내용출처: 안산1대학 실버케어센터
1. 도움 없이 혼자서 화장실에 가고 대소변 후에 닦고 옷을 입는다.
2. 화장실에 가거나 변기 위에 앉는 일, 대소변 후에 닦는 일이나 대소변 후에 옷을 입는 일, 또는 실내용 변기를 사용하고 비우는 일에 대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다.
3.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도 화장실 출입을 못하거나 실내용 변기를 이용해 대소변을 볼 수 있다.
대소변
대변이나 소변보기를 참거나 조절하는 능력
3
질문
어르신께서는 대변이나 소변을 지리거나 흘리지 않고 잘 보십니까?
1. 대변과 소변을 본인 스스로 조절한다.
2. 대변이나 소변 조절을 가끔 실패할 때가 있다.
3. 대변이나 소변을 전혀 조절하지 못한다.
출처: 원장원(2004). 일상생활 기능평가(K-ADL, K-IADL)
낙상 위험군 사정 척도
항목
0
1
2
3
점수
입원 일수
30일 이상
15~29일
8~14일
1~7일
0
연령
19세 이하
20~60세
61~74세
75세 이상
3
낙상 과거력
지난해
낙상력 없음
6개월~1년 내에 낙상
1~5개월 내에 낙상
지난 4주 내에 낙상
0
균형
정상
보조기구 이용하여 혼자 보행
보조 기구 및 2명 이상의 도움 필요
도움이 있어야 설 수 있음
3
인지 기능
지남력 있음
지남력
지남력
혼돈 상태
3
흥분 상태
(초조)
없음
거친 용어를 사용, 때로 욕설
소리를 지르거나 위협적인 언어를 사용
전투적이고 안정제가 필요함
0
우울
없음
식욕부진, 체중저하
자존감의 저하, 수면장애
집중력 저하, 식욕없음, 체중감소
3
불안
없음
인지기능은 좋으나 안절부절못할 때가 있음
확인을 자주함, 말이 빠름, 질문을 반복함
어떤 것에 매우 집중, 목이 막히는 느낌, 피해망상
3
시력
정상
안경 착용 혹은 한쪽 눈 시력 없음
시야가 흐림
백내장/녹내장
시야 장애
0
의사소통
정상
청력 장애
언어 장애
청력 및 언어 장애
0
약물
없음
CV med
CNS med
CV와 CNS med
CV med: 이뇨제, 베타 차단제, digitalis, 혈관확장제 등
CNS med: 항우울제, 수면제, 진통제, 진정제, psychotropic
만성 질환
ㆍ순환기계
ㆍ신경계
ㆍ호흡기계
ㆍ종양 등
없음
1가지
2가지
3가지 이상
3
비뇨기계 문제
ㆍ야뇨
ㆍ긴급뇨
ㆍ빈뇨
없음
1가지
2가지
3가지 모두
3
계
X > 21
골밀도 검사
(T-Score)
≥ -1
> -2
> -3
≤ -3
※ 고위험군>14점. T-Score≤-3
※ 대퇴골 경부 부전골절, 척추 압박골절 등의 스트레스 골절 위험이 높음
조기 치매검사(MMSE)
항목
반응
점수
지남력
시간
(5점)
년 (1)
무반응
0
월 (1)
무반응
0
일 (1)
무반응
0
요일 (1)
무반응
0
계절 (1)
무반응
0
지남력
장소
(5점)
나라 (1)
무반응
0
시, 도 (1)
무반응
0
무엇을 하는 곳 (1)
무반응
0
현재 장소명 (1)
무반응
0
몇 층 (1)
무반응
0
기억등록
(3점)
비행기 (1)
무반응
0
연필 (1)
무반응
0
소나무 (1)
무반응
0
주의집중
및
계산
(5점)
100 -7 (1)
무반응
0
-7 (1)
무반응
0
-7 (1)
무반응
0
-7 (1)
무반응
0
-7 (1)
무반응
0
기억회상
(3점)
비행기 (1)
무반응
0
연필 (1)
무반응
0
소나무 (1)
무반응
0
언어
(8점)
이름대기
시계
무반응
0
볼펜
무반응
0
명령시행
종이를 뒤집고
무반응
0
반으로 접은 다음
무반응
0
저에게 주세요.
무반응
0
따라 말하기
“백문이 불여일견”
무반응
0
읽기
“눈을 감으세요”
무반응
0
쓰기
“오늘 기분이나 오늘 날씨에 대해서 써보십시오”
0
시각적 구성
(1점)
보고그리기
무반응
0
총점
평가기준
24점 이상
정상
20~23점
치매 의심
15~19점
경증 치매 의심
14점 이하
중증 치매 의심
결론
연구결과
사례조사 환자는 역류성 식도염을 가진 환자이며 이에 대한 사례조사를 진행하던 도중 역류성 식도염은 빙산의 일각처럼 이미 Medical history에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른 질병이 많았다.
빈혈부터 시작해서 부종, 간염, Pnemonia 등... 많은 질병이 있엇지만 역류성 식도염을 초점으로 한 사례조사를 진행했다.
사례조사를 하는 도중 다른 질병들 때문에 간호과정을 1-2개로 끝내기엔 무리가 있엇고 진단 자체가 다른 질병 때문에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려움을 알면서도 진행하였다. 결과는 당연히 좋지 못했고 이미 간호사 선생님들도 병동에서 상태가 가장 안좋은 환자라고 하셨다.
참고문헌
www.druginfo.com
NANDA 간호진단(2011)
http://ko.wikipedia.org/wiki/%EC%8B%9D%EB%8F%84%EC%97%BC
위키피디아:식도염
http://wikipedia.org/hearburn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selectedTab=detail&diseaseSymptomTypeCode=AA&diseaseSymptomCode=AA000599&cpId=ja2&move=con
네이버 건강: 역류성 식도염
[병원이름]
의치 관리
의치 관리 및 예방
관리
&
예방
노인들은 혈류 공급의 감소와 이에 따른 조직영양 결핍 및 산소 공급의 결여로 치은, 즉 잇몸과 치조 골이 동시에 줄어드는 현상으로 치주 질환 즉 풍치로 고통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의치를 끼고 있는 노인들은 잊어버리거나 귀찮다는 이유로 하루종일 의치를 끼고 있는 경우가 있으나 하루 8시간이상 착용해서는 안됩니다.
2) 하루에 한번은 잇몸과 접촉하는 의치 부분을 깨끗이 닦고 혈액순환이 잘 되도록 잇몸을 마사지 해주어야 합니다.
3) 의치를 끼고 있는 동안, 자극으로 상처가 생기면 의치를 며칠간 빼놓고 증상이 10일 이상 지속될 때는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4) 의치도 자연치와 마찬가지로 색깔이 변색되고 치태와 치석 등이 생기게 됩니다.
5) 의치 청결을 소홀히 할 경우 턱관절 질환은 물론 씹는데도 어려움이 있게 됩니다.
6) 가장 중요한 것은 의치보다 3배이상 기능을 가진 자연치를 잘 보존하고 관리하는 일입니다.
내용출처: 안산1대학 실버케어센터
추천자료
제주지역아동시설방문기
지역사회 아동 청소년 사업 실천 사례와 앞으로의 과제
(예 보육시설, 지역아동센터) 시설을 방문하여 자유화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사회복지현장(복지관, 지역아동센터, 생활시설, 이용시설 등)을 방문하여 사례 관리적용 사례...
사회복지현장(복지관, 지역아동센터, 생활시설, 이용시설 등)을 방문하여 사례 관리적용 사례...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사례관리 사례(사회복지현장-복지관, 지역아동센터, 생...
아동발달환경과 지역사회
우리지역의 아동복지시설에 대하여 조사하고 아동복지시설의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시...
사회복지현장실습일지 : [사회복지현장실습일지 3일] 지역아동센터사회복지현장실습일지 3일 ...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시설(아동복지관, 어린이집, 지역 아동센터 등) 중 하나를 골라 활동 프...
우리나라의 아동복지시설(아동복지관, 어린이집, 지역 아동센터) 하나를 선택하여&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