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상자의 건강수준이나 운동능력 등을 기초로 하여 작성을 해야 하나 대개 준비운동을 하고 난 후 유산소 운동을 하고 근력 운동을 하고 나서 정리 운동으로 진행을 하므로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프로그램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 운동 프로그램 진행 과정]
- 스트레칭 실시 : 5분에서 10분 정도로 실시. 본격적인 운동을 시작하기 전 스트레칭을 통해 굳어있던 몸을 이완시킴으로써 상해 등을 예방하도록 한다.
- 걷기 : 30분 정도로 실시. 걷기 운동은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이며 운동 초보자 들도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이다.
- 근력 운동 : 10분 정도로 실시. 현재 대상자는 거의 운동이 없는 상황이므로 무리한 근력 운동을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그러나 중년이 되면 근육이 크게 감소되고 그로 인해 다치는 경우 등이 있으므로 근력 운동을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근력 운동은 운동방법에 맞게 해야 하므로 이때 트레이너가 곁에 서서 운동 과정을 지켜보고 잘못된 점에 대해서 조언을 해주도록 한다.
- 정리 운동 : 5분 정도로 실시. 운동을 마친 후 호흡을 정리하도록 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탈수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③ 마무리 단계(약 10분 소요 예상)
본 교육을 통해 대상자가 느낀 점이나 향후 운동계획 등에 대해서 들어보도록 하고 다시 한 번 대상자에게 운동의 중요성은 이식시키고 차후 원조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도록 한다.
4. 결론
본 과제물에서는 그린의 PRECEDE-PROCEDE 모델을 기초로 하여 본인의 이웃집에 거주하는 61세의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하여 1시간 분량의 보건교육안을 작성해보았다.
해당 대상자의 경우 현재 운동이 거의 없는 상황이고 비만인 상황이며 고혈압 증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체중을 조절할 수 있는 운동교육 계획안으로 작성을 하였으며 시작 단계(10분)-진행 단계(40분)-마무리 단계(10분)로 구성을 하였다. 그러나 본 교육안을 실제로 실시해보지는 못하였기 때문에 PROCEDE 과정에 대해서는 생략을 하였는데 차후 대상자에게 본인이 작성한 운동교육안 대로 간단히 교육을 진행해보고 그 실행과정을 통해 PROCEDE를 실시해 봄으로써 ‘보건교육 지도안’의 가치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참고문헌
우경희(2010), 수업사례로 배우는 수업 속 책 만들기, 즐거운 학교.
장남수(2008), 지역사회영양학, 광문각.
한인영(2000), 의료사회사업론, 학문사.
[ 운동 프로그램 진행 과정]
- 스트레칭 실시 : 5분에서 10분 정도로 실시. 본격적인 운동을 시작하기 전 스트레칭을 통해 굳어있던 몸을 이완시킴으로써 상해 등을 예방하도록 한다.
- 걷기 : 30분 정도로 실시. 걷기 운동은 대표적인 유산소 운동이며 운동 초보자 들도 쉽게 할 수 있는 운동이다.
- 근력 운동 : 10분 정도로 실시. 현재 대상자는 거의 운동이 없는 상황이므로 무리한 근력 운동을 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그러나 중년이 되면 근육이 크게 감소되고 그로 인해 다치는 경우 등이 있으므로 근력 운동을 포함시키는 것이 좋다. 그리고 근력 운동은 운동방법에 맞게 해야 하므로 이때 트레이너가 곁에 서서 운동 과정을 지켜보고 잘못된 점에 대해서 조언을 해주도록 한다.
- 정리 운동 : 5분 정도로 실시. 운동을 마친 후 호흡을 정리하도록 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탈수 등을 방지하도록 한다.
③ 마무리 단계(약 10분 소요 예상)
본 교육을 통해 대상자가 느낀 점이나 향후 운동계획 등에 대해서 들어보도록 하고 다시 한 번 대상자에게 운동의 중요성은 이식시키고 차후 원조 방안에 대해서 제시하도록 한다.
4. 결론
본 과제물에서는 그린의 PRECEDE-PROCEDE 모델을 기초로 하여 본인의 이웃집에 거주하는 61세의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하여 1시간 분량의 보건교육안을 작성해보았다.
해당 대상자의 경우 현재 운동이 거의 없는 상황이고 비만인 상황이며 고혈압 증세를 갖고 있기 때문에 체중을 조절할 수 있는 운동교육 계획안으로 작성을 하였으며 시작 단계(10분)-진행 단계(40분)-마무리 단계(10분)로 구성을 하였다. 그러나 본 교육안을 실제로 실시해보지는 못하였기 때문에 PROCEDE 과정에 대해서는 생략을 하였는데 차후 대상자에게 본인이 작성한 운동교육안 대로 간단히 교육을 진행해보고 그 실행과정을 통해 PROCEDE를 실시해 봄으로써 ‘보건교육 지도안’의 가치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참고문헌
우경희(2010), 수업사례로 배우는 수업 속 책 만들기, 즐거운 학교.
장남수(2008), 지역사회영양학, 광문각.
한인영(2000), 의료사회사업론, 학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