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 (결과) 실험 02: 가변저항 값 LCD에 디스플레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이크로프로세서응용실험] (결과) 실험 02: 가변저항 값 LCD에 디스플레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문제 1. 저항값을 변화하면서 LCD에 디스플레이 되는 값이 어떻게 바뀌는지 확인하시오. 실험 키트의 회로도와 주어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압 값이 어떤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 되는지 간략히 설명하시오. (반 페이지 이내)

문제 2. 아래의 서브루틴 IniAdc(void)의 프로그램을 한 문장으로 바꾸고, 동작을 확인하시오.
왜 이렇게 할 수 있는지 설명 하시오.

문제 3. (a) 서브루틴 AdcSample(void)에서의 지연시간을 최소 어느 정도 이상 주어야 하는지 ADC0804의 datasheet를 통해 설명하시오.

문제 4. ADC 입력을 저항 대신 CDS(조도센서)로 바꾸고, 동작을 확인하시오. 조도센서의 원리 및 회로도(8051 키트 회로도 참고)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값에 관해 설명하시오.

※검토 및 고찰

본문내용

이 작아진다. 이것이 ADC의 입력이 되는 것이다. LCD에 디스플레이 되는 과정은 가변저항 실험과 마찬가지로 ADC에서 아날로그 입력을 받아 디지털로 변환되고 Hexa 값이 decimal변환과 전압계산이 돼서 LCD에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 ASCII 값으로 변환되고 LCD로 전송이 되어서 우리가 눈으로 광량에 따른 전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검토 및 고찰
- MUX의 입력을 변화시킴에 따라서 우리가 원하는 아날로그 입력을 ADC를 통해 디지털로 바꾸어서
그 변화를 LCD로 확인할 수 있었다. 효율성을 위해 최소지연이 필요하지만 타이밍도와 데이터시트를 통해 이론적으로 계산가능하지만 실험을 통해서는 정확한 최소지연을 구할 수 없는 것이 아쉬웠다.
LCD는 ASCII 값을 통해 디스플레이 되는 사실도 처음 알았다. 실험을 점차 하면서 느끼지만 자주 사용되는 delay나 여러 함수들을 잘 이해하고 있으면 다른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에도 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실험이 끝나도 중요한 함수들은 다시한번 봐야할 것 같다. 실험시간에 보니 target 옵션을 잘 못 설정해서 컴파일이 안되는 사람들이 여럿 있었는데 항상 실험할 때마다 주의해야할 것 같다.
  • 가격2,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4.03.16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82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