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 고대시대 조경
1. 고조선시대
2. 삼국시대
● 고구려
● 백제
● 신라
1. 고조선시대
2. 삼국시대
● 고구려
● 백제
● 신라
본문내용
1. 고조선시대
# 대동사강
- ‘노을왕’ 이 유를 조성하여 짐승을 키웠다는 기록 -> 정원에 관한 최초의 기록
- ‘의양왕’ 청류각을 후원에 세워 군신과 더불어 큰잔치를 열었다는 내용 -> 누각에 후원 존재 추측
- ‘제세왕’ 10년경에 동지로부터 수일이 지난 뒤 궁원에 복숭아꽃과 배꽃이 만발했다는 기록 -> 정원수로
복숭아나무/ 배나무식재
2. 삼국시대
● 고구려
- 진취적이며 패기와 정열이 넘친다
- 규모가 크고 장엄하다
- 정연하고 정형화 된 유형
# 동명왕릉의 진주지
- 못 바닥에 자갈, 연화씨 발견/ 고구려의 붉은 기와조각(건축물)
- 못 안에 4개의 섬 -> 봉래/ 방장/ 영주/ 호량 : 신선사상 배경
- 건축물에 곁들어진 하나의 연못
- 한무제 태액지원의 영향
# 안학궁 (장수왕 15년) 427년
- 한 변이 620m 되는 마름모꼴
- 정전, 중궁, 정침이 남북 일직 축 선상에 배치/ 궁전 중심부 엄격히 대칭/ 주변 건물들은 기하학적
배치 -> 중국의 영향
- 고구려 왕궁의 배치 -> 사기의 [천궁서] 에 의한 오성좌위에 따라 배치
- 정전의 서편(남문과 서문 사이) : 자연스러운 연못조성/ 동산(조산) 만들고 정자터를 발견/ 경석 배치
: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자연식 정원
: 가장 규모가 크다
- 침전과 북문 사이 : 동산(조산-높이 8m)을 만들고 정자터/ 괴석 배치/ 연못이 없음
: 동서 120m, 남북 70m
: 사적 기능의 정원]
- 평전회랑 앞 : 돌로 축대를 쌓고 그 위에 괴석을 배치
- 동남쪽 아래 구석에 연못(70mX70m)에서 뱃놀이가 행해짐
- 대성산성 : 170여개의 연못 발굴(잉어못/ 사슴못/ 구룡못/ 장수못) -> 지하수 수원, 나머지 빗물 의존
: 정방형/ 장방형/ 삼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
# 대동사강
- ‘노을왕’ 이 유를 조성하여 짐승을 키웠다는 기록 -> 정원에 관한 최초의 기록
- ‘의양왕’ 청류각을 후원에 세워 군신과 더불어 큰잔치를 열었다는 내용 -> 누각에 후원 존재 추측
- ‘제세왕’ 10년경에 동지로부터 수일이 지난 뒤 궁원에 복숭아꽃과 배꽃이 만발했다는 기록 -> 정원수로
복숭아나무/ 배나무식재
2. 삼국시대
● 고구려
- 진취적이며 패기와 정열이 넘친다
- 규모가 크고 장엄하다
- 정연하고 정형화 된 유형
# 동명왕릉의 진주지
- 못 바닥에 자갈, 연화씨 발견/ 고구려의 붉은 기와조각(건축물)
- 못 안에 4개의 섬 -> 봉래/ 방장/ 영주/ 호량 : 신선사상 배경
- 건축물에 곁들어진 하나의 연못
- 한무제 태액지원의 영향
# 안학궁 (장수왕 15년) 427년
- 한 변이 620m 되는 마름모꼴
- 정전, 중궁, 정침이 남북 일직 축 선상에 배치/ 궁전 중심부 엄격히 대칭/ 주변 건물들은 기하학적
배치 -> 중국의 영향
- 고구려 왕궁의 배치 -> 사기의 [천궁서] 에 의한 오성좌위에 따라 배치
- 정전의 서편(남문과 서문 사이) : 자연스러운 연못조성/ 동산(조산) 만들고 정자터를 발견/ 경석 배치
: 신선사상을 배경으로 한 자연식 정원
: 가장 규모가 크다
- 침전과 북문 사이 : 동산(조산-높이 8m)을 만들고 정자터/ 괴석 배치/ 연못이 없음
: 동서 120m, 남북 70m
: 사적 기능의 정원]
- 평전회랑 앞 : 돌로 축대를 쌓고 그 위에 괴석을 배치
- 동남쪽 아래 구석에 연못(70mX70m)에서 뱃놀이가 행해짐
- 대성산성 : 170여개의 연못 발굴(잉어못/ 사슴못/ 구룡못/ 장수못) -> 지하수 수원, 나머지 빗물 의존
: 정방형/ 장방형/ 삼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태
추천자료
고대의 놀이에 대하여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의 주거형태
고대의 불교사상
사찰건축의 전반적 개관
[쟁점 한국사] 신라시대의 여왕들에대한 분석과 나의 비평
한국 여성지위의 역사
도현철(1994) 「고려시대 유교의 전개와 성격」『한국사』6 한길사
한성시대의 도성, 풍납토성 발굴의 역사적 의의
한국의 역사와 문화 - 사찰이야기
조선시대 이전 한국 복지정책의 역사
[한국사의 재조명] 삼국시대의 왕릉 - 무열왕릉(신라) & 무령왕릉(백제) & 악3호분(...
[한국문화사] <쌀의 역사> 쌀의 기원과 원산지 및 전파경로, 우경법과 이앙법, 일제의 쌀수탈...
[한국문화사] <술> 우리나라 술의 이해 - 술의 어원과 기원, 술의 종류와 역사(청주, 막걸리,...
한국복식문화)고구려, 백제, 신라, 고려의 공복제도에 대해 설명하시오. (각 시대의 공복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