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타액선의 구조 및 종류
Ⅱ. 타액의 분비량과 조성
1. 타액분비량
2. 타액의 조성 및 특성
Ⅲ. 타액의 기능
1. 일반적인 타액의 기능
2. 타액기능의 새로운 개념(타액의 역할)
Ⅳ. 타액분비 기전
1. 선포세포의 일차 타액분비 기전
2. 분비관의 원타액 조성 조절기전
3. 원타액의 흐름과 속도
Ⅴ. 타액분비 조절
Ⅵ. 타액과 위장관계 기능
1. 타액과 치아보호
2. 타액과 구강-식도점막의 보호
3. 타액과 맛감각
4.타액과 연하
Ⅶ. 타액과 질환
1. 타액과 치아우식증
2. 타액과 치아주위질환
3. 타액과 전신성 질환(쉐그렌증후군, 바이러스성 질환)
Ⅷ. 타액분비 저하의 치료
1. 일반적인 방법
2. 타액분비 저하 치료를 위한 분자생물학적 시도
Ⅱ. 타액의 분비량과 조성
1. 타액분비량
2. 타액의 조성 및 특성
Ⅲ. 타액의 기능
1. 일반적인 타액의 기능
2. 타액기능의 새로운 개념(타액의 역할)
Ⅳ. 타액분비 기전
1. 선포세포의 일차 타액분비 기전
2. 분비관의 원타액 조성 조절기전
3. 원타액의 흐름과 속도
Ⅴ. 타액분비 조절
Ⅵ. 타액과 위장관계 기능
1. 타액과 치아보호
2. 타액과 구강-식도점막의 보호
3. 타액과 맛감각
4.타액과 연하
Ⅶ. 타액과 질환
1. 타액과 치아우식증
2. 타액과 치아주위질환
3. 타액과 전신성 질환(쉐그렌증후군, 바이러스성 질환)
Ⅷ. 타액분비 저하의 치료
1. 일반적인 방법
2. 타액분비 저하 치료를 위한 분자생물학적 시도
본문내용
균작용에 관여하여 치아주위질환의 발생을 방지한다,
그림 Ⅴ-5. 치주질환의 진행순서 그림 Ⅴ-6. 정상치주조직과 치아주위질환
3. 타액과 전신성 질환
쉐그렌 증후군
구강건조증, 건조성 각결막염, 결합조직 병변의 3대 징후를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
폐경 후의 여성에게 자주 발생하며, 대다수의 환자가 구강건 조증을 가장 큰 고통으로 호소
타액분비 감소로 타액기능이 상실되어 저작 연하곤란, 맛감 각 장애, 궤양형성, 구강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남.
그림 Ⅴ-7. 쉐그렌 증후군
바이러스성 질환
B형간염바이러스,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 허피스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타액으로 배설됨. 단순포진 바이럿 보 유자가 증상을 보이지 않아도 장기간 타애그로 바이러스가 배설.
에이즈 바이러스는 구강내에서 타액이 섞여 있으므로 치과의 사 및 보조자는 충분한 예방조취가 필요.
Ⅷ. 타액분비 저하의 치료
1. 일반적인 방법
타액분비 저하는 여러 가지 약물(항콜린성 약물, 항히스타민 성 약물, 항우울증 약물, 정신병 치료약물, 고혈압 치료제, 항이뇨제, 파킨슨병 치료약물 등) 또는 특정한 전신질환, 노 화, 저작 감소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구강건조증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방사선 조사로써, 악안면부의 암종 치료를 위해 방사선 조사를 받은 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한다.
타액분비 저하의 치료는
타액선의 기능이 일부 유지되고 있는 경우
: 타액선을 맛에 의한 자극, 저작, 구강내 연조직과 치아주위 조직에 있는 감각신경의 자극 등에 의하여 타액분비를 유발 시킬 수 있다. 가장효과적인 방법으로는 껌이나 파라핀 씹 는 것으로 껌은 설탕 포함하지 않은 것 사용.
타액선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었을 경우
: 타액 대체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
2. 타액분비 저하 치료를 위한 분자생물학적 시도
재조합 아데노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필요한 유전자를 타액선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타액선과 매개체를 접촉시키기 위하여 타액선 도관의 출구에 도관을 거꾸로 삽입하는 방법을 이용.
유전자 치료
타액선 선포세포가 비가역적으로 손상을 받은 경우 이를 치 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비관세포를 선포세포와 유사한 기 능이 있는 세포로 바꾸어 주는 것.
유전자 치료학
정상적으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 타액선에 특정 유전자를 유입시켜 원하는 단백질을 다량 포함한 타액을 얻고자 하는 방법
-5장 정리 끝-
감사합니다
그림 Ⅴ-5. 치주질환의 진행순서 그림 Ⅴ-6. 정상치주조직과 치아주위질환
3. 타액과 전신성 질환
쉐그렌 증후군
구강건조증, 건조성 각결막염, 결합조직 병변의 3대 징후를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질환의 일종
폐경 후의 여성에게 자주 발생하며, 대다수의 환자가 구강건 조증을 가장 큰 고통으로 호소
타액분비 감소로 타액기능이 상실되어 저작 연하곤란, 맛감 각 장애, 궤양형성, 구강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남.
그림 Ⅴ-7. 쉐그렌 증후군
바이러스성 질환
B형간염바이러스, 유행성이하선염 바이러스, 허피스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타액으로 배설됨. 단순포진 바이럿 보 유자가 증상을 보이지 않아도 장기간 타애그로 바이러스가 배설.
에이즈 바이러스는 구강내에서 타액이 섞여 있으므로 치과의 사 및 보조자는 충분한 예방조취가 필요.
Ⅷ. 타액분비 저하의 치료
1. 일반적인 방법
타액분비 저하는 여러 가지 약물(항콜린성 약물, 항히스타민 성 약물, 항우울증 약물, 정신병 치료약물, 고혈압 치료제, 항이뇨제, 파킨슨병 치료약물 등) 또는 특정한 전신질환, 노 화, 저작 감소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구강건조증을 유발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방사선 조사로써, 악안면부의 암종 치료를 위해 방사선 조사를 받은 환자에게 흔하게 발생한다.
타액분비 저하의 치료는
타액선의 기능이 일부 유지되고 있는 경우
: 타액선을 맛에 의한 자극, 저작, 구강내 연조직과 치아주위 조직에 있는 감각신경의 자극 등에 의하여 타액분비를 유발 시킬 수 있다. 가장효과적인 방법으로는 껌이나 파라핀 씹 는 것으로 껌은 설탕 포함하지 않은 것 사용.
타액선의 기능이 완전히 상실되었을 경우
: 타액 대체물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
2. 타액분비 저하 치료를 위한 분자생물학적 시도
재조합 아데노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필요한 유전자를 타액선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타액선과 매개체를 접촉시키기 위하여 타액선 도관의 출구에 도관을 거꾸로 삽입하는 방법을 이용.
유전자 치료
타액선 선포세포가 비가역적으로 손상을 받은 경우 이를 치 료 하기 위한 방법으로 분비관세포를 선포세포와 유사한 기 능이 있는 세포로 바꾸어 주는 것.
유전자 치료학
정상적으로 기능을 발휘하고 있는 타액선에 특정 유전자를 유입시켜 원하는 단백질을 다량 포함한 타액을 얻고자 하는 방법
-5장 정리 끝-
감사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