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통풍성 관절염
1. 통풍의 정의
2. 통풍성 관절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
3. 통풍성 관절염의 분류
4. 통풍성 관절염의 증상
5. 통풍성 관절염 검사
6. 통풍성 관절염 진단
7. 통풍성 관절염의 치료와 간호
(1) 약물적 치료
(2) 비약물적 치료
8.합병증
9.참고문헌
1. 통풍의 정의
2. 통풍성 관절염의 원인 및 병태생리
3. 통풍성 관절염의 분류
4. 통풍성 관절염의 증상
5. 통풍성 관절염 검사
6. 통풍성 관절염 진단
7. 통풍성 관절염의 치료와 간호
(1) 약물적 치료
(2) 비약물적 치료
8.합병증
9.참고문헌
본문내용
), 비 스테로이드 항염제(naproxen, indomethacin), 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용량은 0.6~1.0mg에서 시작하여 통증이 없어질 때 까지 0.5mg/hr씩 증가시킨다(최고 8mg까지). 치료를 빨리 시작하면 빠르고 효과적으로 증상이 호전될 수 있으므로, 통풍발작이 나타나면 즉시 약물 투여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간헐기 동안의 통풍발작의 예방
소량의 콜히친(1~2mg/일)을 매일 복용하면 급성 통풍발작을 매우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3~6개월 간의 예방적 사용 후에 콜히친 복용을 중단할 수 있지만, 이때 급성 통풍발작이 악화될 수 있다. 콜히친의 예방적 사용은 급성 염증반응을 멈추게 할 수는 있지만 조직 내에 쌓인 요산결정을 제거하지는 못하므로 급성 통증과 같은 경고 증상 없이 연골과 뼈의 파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만성 결절성 통풍의 치료
항고요산혈증 약물을 이용하여 고요산혈증을 조절하면 요산이 조직에 침착되는 것을 예방하고 혈중 요산농도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 알로퓨리놀(allopurinol), 프로베네시드(probene cid) 등의 요산배설촉진제가 주로 사용된다.
(2) 비약물적 치료
① 식이요법
요산은 알칼리성 소변에서 잘 녹으므로 알칼리성 식이, 즉 감귤이나 우유 등을 권장한다. 과거에는 저퓨린 식이를 권유했지만, 이 식이는 단백질을 많이 제한하므로 쇠고기와 내장 류를 제외하고는 특별히 식이를 바꾸지 않아도 된다.
통풍성 관절염은 식이제한이 중요하며 곡류, 과일, 감자와 야채 등의 저퓨린 함유 음식을 섭취하게 한다. 급성기에는 100gm당 150mg 이상의 퓨린을 함유한 고퓨린 식이(고등어, 육즙, 정어리, 새우, 말린 콩, 편두 신장, 간과 뇌 등 )는 금하고, 단백질은 체중 1kg 당 1g 이상이 초과되지 않도록 섭취하고 육류는 가능한 줄인다. (단백질이 부족할 수도 있으므로 치즈, 달걀과 우유 등을 통해 단백질을 보충하는 것도 좋다.)이 외에도 지방질을 제한하며 , 알코올은 금하도록 한다.
② 신장기능 감시
탈수 및 체액의 산성화를 방지하기 위해 신장, 심장에 이상이 없으면 1일 3L 이상의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신결석을 예방 하기 위해 소변의 알칼리성을 유지해야 하므로 알칼리식이 및 충분한 수분 섭취 외에도 필요시 중조를 복용하고 소변검사를 자주 해야 한다.
점진적인 신기능 부전 시에는 혈액투석이 필요하므로 신기능의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③ 교육
통증은 작은 외상, 음주와 수술 등으로 인해 유발되므로 원인이 되는 상황은 피하도록 하고, 관절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체중조절이 필요하다. 체중조절 만으로도 요산 수치와 발병률을 감소 시킬수 있다.
그리고 드물긴 하나 colchicine 이나 indocine 같은 제제들이 장기사용시 부작용, 즉 탈모, 골수기능 억제, 간손상 등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해주어야 한다.
통증 간호
흔히 나타나는 관절의 발적, 압통, 부종 등 으로 인한 압박은 크래들을 사용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통증이 심할 때는 휴식을 취하고, 통증이 없을 때는 ROM 운동을 실시하고, 증상 완화를 위해 열이나 냉요법을 시행한다.
8. 합병증
신장질환 : 요산이 배설되는 과정에 과다한 요산이 신장에 축적되면서 신장 기능이 서서히 나빠져서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혈액 투석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통풍 환자의 10-25%에서는 신장, 요관, 방광에 요산으로 된 요로 결성이 생겨 혈뇨 및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고혈압 : 통풍 환자 중 25-50%에서는 고혈압이 동반되고 고혈압 환자의 2-14%에서는 통풍이 동반된다.
비만 : 비만은 통풍과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비만으로 인해 고요산혈증, 고혈압,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가 악화될 수 있다.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 : 통풍 환자의 80%에서는 고지혈증이 동반되고, 통풍의 원인 물질인 요산이 혈관에도 쌓여서 동맥이 딱딱해 진다. 이로 말미암아 중풍(뇌출혈 또는 뇌경색)이 생기고, 심장병(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증)이 생길 수 있다.
9. 참고문헌
●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 서울
● Joyce M. Black 외(2009), 성인간호학 개정판, 정담미디어 : 서울
● 이은옥 외(2002), 성인간호학(4권), 신광출판사 : 서울
● 서문자 외(2000), 성인간호학 하(Ⅱ), 수문사 : 서울
● http://www.google.co.kr/images
간헐기 동안의 통풍발작의 예방
소량의 콜히친(1~2mg/일)을 매일 복용하면 급성 통풍발작을 매우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3~6개월 간의 예방적 사용 후에 콜히친 복용을 중단할 수 있지만, 이때 급성 통풍발작이 악화될 수 있다. 콜히친의 예방적 사용은 급성 염증반응을 멈추게 할 수는 있지만 조직 내에 쌓인 요산결정을 제거하지는 못하므로 급성 통증과 같은 경고 증상 없이 연골과 뼈의 파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만성 결절성 통풍의 치료
항고요산혈증 약물을 이용하여 고요산혈증을 조절하면 요산이 조직에 침착되는 것을 예방하고 혈중 요산농도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 알로퓨리놀(allopurinol), 프로베네시드(probene cid) 등의 요산배설촉진제가 주로 사용된다.
(2) 비약물적 치료
① 식이요법
요산은 알칼리성 소변에서 잘 녹으므로 알칼리성 식이, 즉 감귤이나 우유 등을 권장한다. 과거에는 저퓨린 식이를 권유했지만, 이 식이는 단백질을 많이 제한하므로 쇠고기와 내장 류를 제외하고는 특별히 식이를 바꾸지 않아도 된다.
통풍성 관절염은 식이제한이 중요하며 곡류, 과일, 감자와 야채 등의 저퓨린 함유 음식을 섭취하게 한다. 급성기에는 100gm당 150mg 이상의 퓨린을 함유한 고퓨린 식이(고등어, 육즙, 정어리, 새우, 말린 콩, 편두 신장, 간과 뇌 등 )는 금하고, 단백질은 체중 1kg 당 1g 이상이 초과되지 않도록 섭취하고 육류는 가능한 줄인다. (단백질이 부족할 수도 있으므로 치즈, 달걀과 우유 등을 통해 단백질을 보충하는 것도 좋다.)이 외에도 지방질을 제한하며 , 알코올은 금하도록 한다.
② 신장기능 감시
탈수 및 체액의 산성화를 방지하기 위해 신장, 심장에 이상이 없으면 1일 3L 이상의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신결석을 예방 하기 위해 소변의 알칼리성을 유지해야 하므로 알칼리식이 및 충분한 수분 섭취 외에도 필요시 중조를 복용하고 소변검사를 자주 해야 한다.
점진적인 신기능 부전 시에는 혈액투석이 필요하므로 신기능의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③ 교육
통증은 작은 외상, 음주와 수술 등으로 인해 유발되므로 원인이 되는 상황은 피하도록 하고, 관절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체중조절이 필요하다. 체중조절 만으로도 요산 수치와 발병률을 감소 시킬수 있다.
그리고 드물긴 하나 colchicine 이나 indocine 같은 제제들이 장기사용시 부작용, 즉 탈모, 골수기능 억제, 간손상 등에 대해 환자에게 설명해주어야 한다.
통증 간호
흔히 나타나는 관절의 발적, 압통, 부종 등 으로 인한 압박은 크래들을 사용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통증이 심할 때는 휴식을 취하고, 통증이 없을 때는 ROM 운동을 실시하고, 증상 완화를 위해 열이나 냉요법을 시행한다.
8. 합병증
신장질환 : 요산이 배설되는 과정에 과다한 요산이 신장에 축적되면서 신장 기능이 서서히 나빠져서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하여 혈액 투석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또한 통풍 환자의 10-25%에서는 신장, 요관, 방광에 요산으로 된 요로 결성이 생겨 혈뇨 및 극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고혈압 : 통풍 환자 중 25-50%에서는 고혈압이 동반되고 고혈압 환자의 2-14%에서는 통풍이 동반된다.
비만 : 비만은 통풍과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비만으로 인해 고요산혈증, 고혈압,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가 악화될 수 있다.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 : 통풍 환자의 80%에서는 고지혈증이 동반되고, 통풍의 원인 물질인 요산이 혈관에도 쌓여서 동맥이 딱딱해 진다. 이로 말미암아 중풍(뇌출혈 또는 뇌경색)이 생기고, 심장병(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증)이 생길 수 있다.
9. 참고문헌
● 전시자 외(2009),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 서울
● Joyce M. Black 외(2009), 성인간호학 개정판, 정담미디어 : 서울
● 이은옥 외(2002), 성인간호학(4권), 신광출판사 : 서울
● 서문자 외(2000), 성인간호학 하(Ⅱ), 수문사 : 서울
● http://www.google.co.kr/images
추천자료
백내장(cataract) 문헌고찰
Ⅰ. 제왕절개와 자연분만의 문헌고찰
심근경색과 고혈압에 대한 문헌고찰
소화기계 A형 간염(Hepatitis A) 문헌고찰 간호과정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문헌고찰
위암(Gastric cancer)에 관한 문헌고찰 및 병태생리
SPR 스키조 정신분열 문헌고찰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 ...
[아동간호] 가와사키 문헌고찰
[간호] 뇌 동맥류 문헌고찰
[기본간호학] 임종간호에 대한 문헌고찰
[간호학] 화상 문헌고찰 (화상 분류, 종류, 증상 및 징후, 치료적 관리, 예후 및 합병증)
만성신부전 케이스(연구의 필요성부터 ~ 문헌고찰,간호과정, 간호사정, 간호진단, 느낀점 ) A...
성인간호학) 대동맥판막질환 사전학습자료, 문헌고찰
소개글